View : 430 Download: 0

학교 급식 노동자의 모순적 경험과 대응

Title
학교 급식 노동자의 모순적 경험과 대응
Other Titles
The contradiction experienced by women laborers in school catering job and their responses.
Authors
정다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아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 급식 노동이 대표적인 기혼여성 일자리로 여겨지고 있는 가운데 학교 급식이 ‘여성 일자리’로 구성되어온 사회적인 맥락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들의 경제참여는 한국의 산업화 이후 꾸준히 늘어 왔으나 전통적인 성별 고정관념에 따른 여성의 성역할이 여성의 경제참여를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정부는 성역할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일·가족을 여성이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정부는 여성의 사회참여가 가능하도록 여성의 일·가족 부담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성들의 자아실현 이 가능해져 여성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여성의 경영 활동 참여 확대를 통해 부족한 노동력 문제를 해소하고, 여성 고용률 상승을 통해 국가 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학교 급식은 확대실시 되었으며 2003년에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학교 급식 일자리도 확대되었다. 학교 급식은 해방, 전쟁 이후 사회의 빈곤 속에서 구호의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나 이후 정부의 여성의 사회참여라는 목표와 결부되면서 이후 일하는 기혼여성의 일·가족 부담을 완화하는 정책으로 변화한다. 한편 학교 급식 일자리는 유휴인력으로 인식되어온 ‘주부’를 노동시장으로 진입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목적 안에서 주부 적합 직종으로 홍보되고 있었다. 학교 급식이 기혼여성에게 괜찮은 일자리로 만들어진 배경에는 또다시 기혼여성의 일·가족 양립이 가능하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교 급식일이 가사일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기혼여성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로 여겨지며 주부 재취업에 적합한 일자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성별 분업에 대한 숙고 없이 기혼여성의 일자리로 구성된 학교 급식 노동 안에서 실제로 기혼여성들의 일가족 양립이 표면적으로만 가능하며 이 안에서 여성들은 모순을 경험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일상과 노동 시장에 만연한 여성의 일에 대한 평가절하, 시간제 일자리나 비정규직이라는 불안정 고용 형태에 대한 고민 없이 양산된 정부 주도의‘여성 일자리’는 여성들을 중첩적인 차별에 처하게 만들었다. 특히 이같은 ‘여성 일자리’는 노동시장 내 성별임금격차와 같은 성차별의 주요 원인인 성별 직종분리를 더욱 더 공고히 하였다는 점에서 정부가 노동시장 내 차별을 재생산했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정부의 몰성적인 여성 일자리 창출은 그 직종에서 일하고 있는 실질적인 여성 노동자의 노동 조건과 노동 환경을 열악하게 만들고 있었다. 여성들의 육체노동은 ‘남성=힘, 여성=부드러움’과 같은 성별 고정관념에 의해 비가시화되고 있었고, 이들의 노동이 집안일로 이해되면서 평가절하되고 있었다. 학교 급식 노동자는 학교 안에서 물리적·위계적으로 고립되고 있었고 이는 노동자들을 유의미한 정보로부터 차단하고 있었으며 타 교직원들과 동등한 교직원으로 스스로를 인식하지 못하게 만들고 있었다. 게다가 학교 급식 노동은 빠른 출퇴근으로 일·가족 양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혼여성 친화적 일자리로 홍보되었지만 가족 내 성별분업의 재분배에 대한 논의 없이 여성 친화적 일자리로 구성된 ‘학교 급식’에 종사하는 여성들은 일과 가족의 이중부담을 짊어지며 노동력을 재생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여성들은 일터의 업무와 집에서의 일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일이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고 느꼈으며 이는 여성들의 신체적·정신적 소진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학교 급식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노동의 의미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학교 급식을 ‘아무나 할 수 없는 일’로 의미를 구성하면서 자신들의 전문성을 드러내기도 하고, 특히 급식 노동을 음식을 조리하는 일을 넘어서 학생을 먹이고 돌보는 ‘돌봄 노동’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노동자들은 ‘아줌마’와 ‘노동자’ 정체성을 넘나들며 혼돈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여성들에게 노동을 가중시키는 요소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힘든 노동을 버틸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급식 노동이 여성 일자리로 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함과 동시에 학교 급식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을 통하여 이들이 다양한 차별에 노출되어 있음을 밝혔다. 여성 노동자를 둘러싼 저숙련, 불안정 노동자와 같은 차별적 인식에 대한 재고 없이 만들어진 여성 친화적 일자리는 여성들의 노동 조건, 환경을 열악하게 만들고 있었고 여성들이 노동자 정체성을 형성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하였다. 한편으로 여성들은 이같은 차별에 침체되어 있기보다 노동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 급식 노동의 의미를 구성하고 있었다. 일을 통해 집이라는 고립된 공간으로 벗어나 동료들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였으며 학교 급식 일을 협력이 필요한 일, 전문적인 일, 돌봄 노동으로서 의미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는 학교 급식 노동이 숙련/비숙련, 정신/육체와 같은 노동 범주로는 이해될 수 없으며 육체노동, 정신노동, 돌봄노동, 숙련노동 등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노동 범주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교 급식 노동자들의 주체적이고 숙련된 노동자로서의 모습을 연구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context and process in which school cafeteria work was constituted as women's work.'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has steadily increased in South Korea, but a problem has been raised that women's gender roles based on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s are hindering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policy that supports women who feel the burden of gender roles. The government promoted policies to ease women's work and family conflict to enable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said that this would enable women's self-actualization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ut the government solved the problem of shortage of labor and achieved the goal of national development by increasing the female employment rate through the increase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n this context, school catering services has expanded in 2003, and school catering works have also expanded accordingly. School catering services were implemented for relief in poverty in society after Korean war, but later changed to a policy to ease work and family conflict for married women as it was linked to the government's goal of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Meanwhile, school catering work was being promoted as a suitable work for housewives, within the government's goal of bringing 'housewives', who had been recognized as idle workers, into the labor market. The fact that school catering services were created as a friendly job for married women was once again suggested that married women can balance their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Also, school catering work is similar to housework, it is considered a job that any married woman can do and it is composed of jobs suitable for re-employment as housewives. This study revealed that married women's work-family balance is not possible within the school catering work composed of married women's jobs without consider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that women experience contradictions within this. The devaluation of women's work and the government's creating 'women's work' without consideration of unstable employment such as part-time or non-regular jobs, put women in discrimination. In particular, such ‘women’s work’ is criticized for reproducing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in that the government has further strengthened the separation of occupations by gender, which is the main cause of gender discrimination, such as the gender wage gap in the labor market. Alternatively, the government's gender-blind job creation for women was making the women’s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poor. Women's manual labor was being invisible due to gender stereotypes such as 'male=strength, woman=softness', and their labor was devalued as it was understood as housework. As a result, school catering workers were isolated within the school as they failed to establish a worker identity, and this blocked workers from important information. Additionally, school catering work was promoted as a married woman-friendly work because it enables work-family balance through getting off work fast. but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re is a gender role stereotype that women are solely responsible for their families. Without discussing the redistribution of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family, women engaged in ‘school catering service’, which are female-friendly jobs, were carrying the dual burden of work and family. Additionally,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catering work' and 'work at home' women felt that work was constantly going on which caused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of women. However, school catering workers were 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ir labor in various ways. Constructing the meaning of school catering service as ‘a professional work’, they also reveal their expertise and the meaning of school catering service work as ‘care work’ beyond just cooking food to feed and take care of students. On the one hand, the school catering workers showed confusion between the identities of ‘mom(ajumma)’ and ‘worker’. This is an element that makes women's labor excessive,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also makes them able to endure hard work.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by which school catering service workers are composed of' female friendly work’ and reveals that school catering service workers are exposed to various types of discrimination through their labor experience. Women-friendly work created without rethinking discriminatory, such as low-skilled and unstable workers, made women's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poor and made it difficult for women to form a worker identity. On the one hand, school catering worker constructed the meaning of school catering work based on their labor experience rather than depressed by discrimination. They tried to bulid a social network through work to escape from isolated space of home and also they construct the meaning 'a work that requires cooperation, a professional work and care work. Also women can build the meaning of labor in various factors through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internalize the characteristic of careing to school catering service. This reserch was intended to argue that school catering work cannot be understood in the labor category such as skilled/unskilled, mental/mannual works and should be understood in the integrated labor category covering manual, mental, caring labor and skilled lab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