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5 Download: 0

스며드는 여름의 감각

Title
스며드는 여름의 감각
Other Titles
A Staining Sensation of Summer
Authors
김연홍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호
Abstract
본 논문은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으로 이미지를 지각하는 나의 감각에 대한 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표현한 나의 회화 작품을 분석한 연구이다. 나의 작업은 사진 이미지에서의 지각과 감정이 포착된 결과물이며, 이는 회화 작업 내에서 색채와 물감의 우연적인 혼합으로 발현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적인 감각에 대한 탐구를 현시대의 감각 방식에 대한 이해로 확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의 작품과 현시대의 감각 방식을 연결한다. 현대인의 지각 방식은 현실 세계 너머 인터넷 세계로 확장된다. 디지털에 친숙한 현대인은 축약된 여러 정보를 넘나들고, 끊임없이 생산되었다가 사라지는 방대한 양의 이미지를 받아들인다. 그러므로 현대인은 하나의 데이터에 대한 꾸준한 지각 및 사유의 지속이 쉽지 않다. 현시대의 감각은 한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빠르게 휘발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나는 이런 현시대의 모습에서 대상에 대해 옅은 흔적만 남긴 채 쉽게 휘발되는 감각을 포착한다. 이러한 포착을 기반으로 현시대의 감각이 투영된 풍경화는 어떻게 회화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 질문한다. 그리고 그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세상을 얇게 감각하는 방식을 여름 해변가 연작으로 표현한다. 사진 이미지는 사건의 찰나를 보여준다. 사진 이미지에서는 상황적 배경이 사라지고 그 단면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진 이미지 자체에는 포착될 당시에 갖는 정서가 담기지 않는다. 이에 나는 사진에 담기지 않는 감정이나 감각을 회화 작업에 불어넣고자 한다. 사진 이미지의 또 다른 측면은 사건의 찰나를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 이미지에는 그 시간, 그 장소, 그 계절에만 만들어지는 고유의 색채와 운동감이 있다. 이 색채와 운동감을 가진 대상은 들뢰즈의 개념 <이것임>(heccéité)이 말하듯이 고유한 개체성을 갖는다. 순식간에 한데 모여 생성된 입자들은 하나의 개체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사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정서와 개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와 표현 기법을 탐색했던 과정을 담고 있다. 이 과정을 이미지에 대한 나의 관점 변화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한다. 첫 번째 시기는 일상의 사진과 영화 스크린 샷을 기반으로, 이미지에 대한 나의 감정이나 정념을 회화 작업으로 재구한다. 사진에는 담기지 않던 나의 감정이나 영화 등장인물의 정서를 내 작업의 색면과 여백에 담는다. 두 번째 시기는 자연의 사진 이미지를 수집하고, 사진으로 평면화된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사진 이미지 속 세부 요소가 고유한 빛깔과 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포착한다. 나아가 세부 요소의 각 개체가 갖는 유일무이함에 대해 고찰한다. 교체될 수 없는 개체의 개성을 열매, 파도, 대자연의 동세에서 발견한 뒤, 이 세부 요소가 모여 만드는 풍경의 생동감을 배틱 기법과 스테인 기법으로 표현한다. 세 번째 시기는 여러 가지 실험을 진행한 앞의 두 시기를 종합한다.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 표면으로 이미지를 보는 시지각적 특성에 주목하며, 현시대의 감각이 투영된 풍경화 제작을 목표로 한다. 여름 해변가 이미지를 토대로 한 이 연작은 장소를 특정하지 않는 성격을 지니며, 이미지에서 상상된 비가시적인 요소의 표현, 모니터에서 느낀 얇은 표면과 고채도의 지각을 특징으로 한다. 여름 해변가 이미지에서 느껴지는 감각 중 색채와 바람의 운동감을 극대화하여 스테인 기법으로 여름 해변가에 부는 바람이 화면 자체에 스며들게 하고자 한다. 나는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에서 본 시각적 인지의 착시에 따라, 디지털 사진 이미지에서 상상한 운동감의 회화적 표현에 관해 연구한다. 디지털 기기를 통해 보는 사진 이미지는 단지 빛나는 평면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공간감을 인지할 수 없다. 평평한 화면에서 보는 이미지는 3차원적 공간의 형태와 배경이 아닌, 2차원적 평면의 양영역과 음영역으로 나타난다. 내가 캔버스에 붓질할 때 사진 이미지의 양영역과 음영역 중 어느 쪽을 더 유심히 지각했는지에 따라 캔버스 화면에서 두드러지는 영역이 달라진다. 이처럼 화면에 운동성을 부여하고, 관객이 보는 시점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의 모양이 지각될 수 있는 화면을 만든다. 나는 작품을 통해 현시대가 갖는 시지각의 특성에 관한 질문을 한다. 실제로 자신이 체험한 자연에 대한 감각과 본질을 작품에 담아내고자 했던 과거 풍경 화가들과 달리, 나는 몸으로 체험한 감각의 기억이 아닌 사진 이미지에서 상상된 자연을 체화한다. 나와 화면과의 호흡을 통해 실제로 체험한 듯 작품에 드러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색채, 운동감, 제스처라는 회화의 본질에 더욱 다가가려는 나의 태도이다. 또한 이론적 모색으로 세상을 이루는 세부 요소의 소중함과 표면적인 것 안에서 고유한 깊이를 발견한다.;This paper analyzes my paintings, which were expressed based on my understanding of my sense of perceiving images through the screens of digital devices. My work is the result of capturing perception and emotion in photography, and this is manifested through the coincidental combination of color and paint in painting work.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 of personal sense is expanded by an understanding of sensory methodology in the modern day, and based on this, my work and modern sensory methodology are connected. The modern-day people's method of perception goes beyond reality and expands into the online world. The modern-day people, familiar with the digital, transcends numerous abbreviated forms of information and accepts the formidable number of images, endlessly produced before disappearing. Thus, consistent perception and the continuation of consideration on one datum is difficult for the modern-day people. Today's senses do not stay in one spot but demonstrate the tendency of rapid volatilization. I capture these emotions in the modern-day world, rapidly volatilizing after leaving only a faint trace of the subject. Based on this capturing, I question how to use painting to express modern-day sensibilities projected on a landscape. To answer this question, I demonstrate the method of sensing the world thinly in a series depicting a beach in the summer. Photography shows the momentary instance of an incident. As photography eliminates circumstantial background and leaves only a section to grasp, photographs in and of itself do not contain the affect experienced when capturing the image. Thus, I attempt to endow painting with the emotion and sensibility not shown in photography. Another aspect of photography is that one can closely observe the split second an instance occurs. In photography, color and a sense of movement unique to and innate to that moment, that place, and that season are present. As conceptualized in Deleuze's idea of heccéité, the subject with this color and sense of movement has an inherent individuality. This is because particles, created instantaneously in one spot, can be seen as one individual entity. In order to express affect and individuality on the basis of photography, this paper contains the process of researching a variety of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This process is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based on my changing perspective regarding images. In the first phase, I reconstructed my emotions and sentiments regarding images based on photographs from my daily life and screenshots from films. Emotions that were not captured in photographs or the affect of characters in films are contained in the color field and blank space of my work. In the second phase, photographs of nature were collected, and the images, flattened into photographs, were formatively analyzed. Also, the detailed aspects in the photographs revealing innate color and form were captured. Furthermore, the uniqueness of each individual detailed aspect was considered. Upon discovering the irreplaceable uniqueness of each individual in the movement of fruit, waves, and nature, the vivacity of the landscape, forged from an amalgamation of these detailed aspects, was expressed with stain painting and batik. In the third phase, the two preceding phases, in which many experiments were conducted, were organized. The goal was to produce a landscape image with modern-day sensibilities projected on it while focusing on the visual perceptive characteristics of seeing images on the screen of a digital device. This series, based on the image of a beach during the summertime, is not specific to a certain location, and is characterized by the expression of imagined, invisible factors, the thin surface felt on the monitor, and the perception of high-saturation colors. Out of the senses felt on the image of a summer beach, by emphasizing the sense of movement of color and wind, the wind blowing on the beach is soaked into the canvas itself through stain painting. I study the painting expression of the imagined sense of movement in digital photographs depending on the illusion of visual recognition, as seen on the screens of digital devices. As photographs, when seen through digital devices, only exist as glistening flat surfaces,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a detailed sense of space. Images seen on a flat screen are seen not as a form in three-dimensional space and background, but rather as a two-dimensional plane's positive image and negative image. When I brush the canvas, different images are emphasized based on which, between positive image and negative image, I was more aware of. As such, I endowed the screen with a sense of movement, and created a screen that can be recognized in the shape of a variety of images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the viewer. I ask questions regarding the visual percep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day life through my work. Unlike landscape artists of the past, who aimed to capture the senses and essence of nature that they experienced first-hand in their work, I embody imagined nature in my photography rather than the senses and memory I experienced with my body. I aim to emulate actual experience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screen and me. Studies such as this represent my attitude of aspiring to approach color, movement, and gesture - the essence of painting - even closer. Also, through theoretical seeking, I discover the value of detailed aspects and the unique depth within superficial th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