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8 Download: 0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Title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on Process-Based Assessment : Using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Authors
한서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중요도-수행도를 조사·분석하여 음악 수업에서 과정중심 평가가 활성화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을 논의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학교 음악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7개의 하위영역(과정중심 평가의 목적, 성취기준 분석 및 평가계획 수립, 과정중심 평가 과제 개발, 과정중심 평가 채점 기준 개발, 과정중심 평가 실시 및 채점, 과정중심 평가에서의 피드백 및 평가 결과 기록, 과정중심 평가 결과 활용) 37문항, 개방형 서술형 1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성실한 응답 108개를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 통계, 대응표본 t-검증,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중요도-수행도 인식을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서 확인해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요도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연수경험, 수업 시수, 학교 규모, 교직 경력으로 변인을 나누어 IP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정중심 평가에서의 피드백 및 결과 기록’영역에 속한 문항들은 대개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4사분면(집중 우선 추진)에 분포하였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 채점 기준 개발’영역은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높은 2사분면(과잉 노력 지양)에 분포하였다. 하지만 서술형 문항 응답을 통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보다 음악 교과의 다양한 평가 내용에 대한 채점 기준 개발, 채점자 간의 차이가 없는 공정한 채점 기준 개발에 대한 실제적인 수행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기 때문에 2사분면에 분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변인을 나누어 IPA 분석을 해본 결과, 거의 모든 집단의 1사분면(현상 유지)에 ‘과정중심 평가 채점 및 실시’영역이 분포하였다. 하지만 세부 문항 IPA 결과에서는‘음악 과제 수행 과정에서 어떤 사고나 역할 등을 하였는지에 대한 평가를 다각적으로 수집’문항은 수행도가 낮은 3사분면, 4분면에 분포하였다. 다섯째, 수업 시수로 변인을 나누어 중요도-수행도 인식을 분석한 결과, 20시수 이상 집단은 모든 영역의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았고, 서술형 응답에도 시간 및 시수로 인해 과정중심 평가 수행이 어렵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 수업에서 과정중심 평가가 활성화되기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과정중심 평가 수행을 돕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되어, 미래 음악교육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practical methods for stimulating process-based assessment in music class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cess-based assessment through a questionnaire targeting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3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nationwide.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7 sub-areas(purpose, achievement criterion analysis and assessment plan establishment, task development, scoring standard development, assessment implementation and scoring, feedback and assessment result recording, assessment result utilization), and consisted of a total of 37 questions and 1 descriptive question that could describe free opinions. Among the collected responses, 108 sincere response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sample t-test,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for statistic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on process-based assessment was confirmed through paired-sample t-tes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was higher in all sub-areas. Second, IPA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variables related to process-based assessment into educational experience, class hours, school size, and teaching experience. As a result, items belonging to the area of ​​‘feedback and assessment result recording in process-based assessment’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4th quadrant(priority promotion). Third, the area of ​​‘scoring standard development for process-based assessment’was distributed in the second quadrant(avoiding excessive effort). The reason for these results could be found through descriptive responses. This is not becaus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is low, but because teachers spent a lot of time preparing scoring standards for various evaluation contents of music subjects and developing fair scoring standards that do not differ between scorers. Fourth, as a result of IPA analysis by dividing variables, the ‘implementation and scoring for process-based assessment’area was distributed in the first quadrant(maintaining the status quo) of almost all groups. However, in the results of the respective question IPA, the question ‘collecting various evaluations of what kind of thinking or role they play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usic task’was distributed in the third and fourth quadrant with low performance.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importance-performance perception by classifying variables into class hours, the importance of all areas was higher in the teacher group responsible for more than 20 class hours a week.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was difficult because descriptive responses also lacked tim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an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stimulate the process-based assessment of music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data for contributing to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helping to actively conduct process-based assess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