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1 Download: 0

'문화원형' 담론과 그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Title
'문화원형' 담론과 그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Discourse Analysis study of 'cultural archetype' and Developmental Aspects : Focusing on the debates since 2000s
Authors
이경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천경효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만들어진 용어인 ‘문화원형’ 인식의 계보와 그 담론을 분석하고 한국 사회문화 환경과 함께 변화하여 온 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2000년대 초 시작된 정부 주도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문화원형사업)을 계기로 전개되기 시작한 문화원형 담론에는 글로벌 시대와 함께 하는 한국의 사회와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이에 문화원형과 관련된 연구자료를 포함하여 온‧오프라인 매체 상의 담화와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면 문화원형 담론에 참여한 다양한 주체들의 문화와 원형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문화원형사업에 대한 온라인서비스(문화콘텐츠닷컴 사이트)가 2021년 12월 종료된 현 시점에서 문화원형 담론의 종합·정리는 유의미한 연구가 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원형 담론의 전개 양상을 범주화하기 위하여 문화원형을 주제어로 하는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기사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들의 키워드들을 대상으로 단어 분석을 시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문화원형 담론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내용은 한국사회에서 문화원형에 대한 관심도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수집자료를 바탕으로, 2003년 처음으로 정책용어로 정의된 문화원형 개념을 연구의 기준으로 하여, 문화원형의 의미와 용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원형 담론에 대하여 형성 단계에서 ‘정책적 논의’와 ‘학술적 논의’, 전개 단계에서 ‘정부 정책에서의 담론’과 ‘민간에서의 담론’으로 구분하였다. 문화원형 담론 형성 단계에서의 학술적 논의는 중앙정부 주도의 정책적 논의 간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문화원형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 분석 결과, 사회적 형식[맥락], 형식을 구성하는 내용[질료], 사회의 변동, 문화의 전유·창발이라는 보편타당한 창의적 조합의 산물인 ‘산업적 활용’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그 유무를 알 수는 없지만 문화의 원형이라는 핵심을 상정하는 ‘학문적 연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논의의 두 가지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문화원형 담론 전개 단계에서 정부 정책에서의 담론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 의한 만들어진 전통의 발굴과, 만들어진 전통의 활용 양상으로 구분된다. 문화원형의 담론 전개 양상에서 민간에서의 담론은 초기에 정부 정책에서의 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형식[맥락], 형식을 구성하는 내용[질료], 사회의 변동, 문화의 전유·창발이라는 조합을 통한 문화원형의 활용 관련 긍정적 혹은 비판적 논의들이 전개되었다. 이렇게 문화원형 담론의 전개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원형 단어 용례의 경우 학술 정책적 용어로서는 그 단어 표현 그대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사회 전반적인 차원에서는 점차 ‘문화의 원형’, ‘한류의 원형’ 등으로 문화와 원형을 풀어쓰는 경향이 높아졌고, ‘원형’ 이라는 애매한 용어보다는 그 유의어 중 상대적으로 객관성을 가지고 있는 ‘뿌리’, ‘모티브’, ‘범본’ 등의 표현을 선호하였다. 둘째, 문화원형의 개념에 대해서는 연구자, 창작자, 소비자 등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문화의 활용성에 주목한 전통문화자원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문화원형의 기능적 측면에서는 민족 정체성이나 민족 문화 등의 용어와 함께 국가 위기 혹은 전환의 시기에 주요 원동력이 되는 키워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문화원형의 활용 측면에서는 콘텐츠 분야뿐만이 아니라 미술, 음악, 공연 등 다양한 K-컬처 장르에서 창작자와 수요자 간 상호작용을 하고 글로벌 시대에 걸맞게 문화와 원형 요소를 도입하여 대체 불가능한 고유성을 표출하기 위한 창작소재화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문화의 재현과 관련하여, 아날로그 매체를 통해서는 사회적 맥락이 바뀌게 되면 사회문화적 형식은 소멸되고 그 내용이 소극적으로 남게 되는 경향이 높다. 하지만 정보 접근성과 재현 용이성을 겸비한 디지털 매체를 통해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즉 다양한 콘텐츠의 수요에 부응해 이전 사회문화의 내용뿐만이 아니라 잊힌 사회적 형식까지도 현대적 변용을 통해 창작소재로써 적극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으며, 신기술이 융합한 디지털콘텐츠로의 구현을 통해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디지털정보화 시대에는 누구나 콘텐츠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오픈소스를 창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향유가 일반화된 현대사회에서는 과거의 사회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식과 내용이 전승을 넘어선 전유 및 변동 과정과 교차해 수많은 문화원형 창작소재화에 대한 경우의 수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초 문화원형사업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20여 년 간의 문화원형 담론 전개 양상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글로벌 시대의 한국 문화와 원형에 관련된 다양한 논의와 후속 연구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social perceptions of the concept of ‘cultural archetype [munhwawonhyung]’ and to explore its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sociocultural changes in Korea. Discourses around cultural archetype began with the Korean government’s ‘Cultural Heritage Digitalization Scheme [Project]’ in the early 2000s, and examining their trajectory provides a way to address sociocultural aspects of Korea and its increasingly globalized influences. Analyzing discourses and debates in regard to cultural archetype appeared in scholarly texts and media help to explaining Korean society’s own understanding of its own ‘culture’ and the idea of ‘archetype.’ This thesis, which was undertaken when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ization Scheme’online service (culturecontent.com) was discontinued in 2021, aims to comprehensively catalogue the discourse to date. In order to categoriz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rchetype discourses, this thesis looked into theses, journal articles that contain cultural archetype as a keyword. A word-based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map out the general features of cultural archetype discourses. This revealed the variable degrees of interest in cultural archetype in Korean Society. Noticing that,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archetype, defined and used as a policy term in 2003, and analyzed the diversified meanings and usages of the term onward. In comparing the uses of the term to the initial concept generated in policy-making context, four developmental aspects of cultural archetype discourses are observed: ‘policy discussion’ and ‘academic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discourse formation; ‘discourse in government policy’ and ‘discourse in the private sector’ in the process of discourse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academic discussion’ and its interaction with ‘policy discussion,’ produced mainly by government, two lines of discussion emerge. The main discussion is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cultural archetype, which is the product of creative combinations of four elements, namely social form(context), formative content(matter), social change, and cultural exclusive possession/emergence. Based on this main discussion, there follows a secondary discussion on ‘academic research’ at the core of cultural archetype, whether it existed or not. When it comes to ‘discourse in the private sector’ which is affected initially by ‘discourse in government policy,’ produced mainly by government, there follows positive or critical discussion of cultural ‘industrial applica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lthough the term cultural archetype was used in academic and policy contexts, there was a tendency to use the alternative term of ‘archetype of culture [munhwaui-wonhyung]’ in general usage, along with a preference for relatively objective expressions such as ‘roots’or ‘motif’ rather than the ambiguous term of‘archetype.’ Second, the concept of a cultural archetype was used by researchers, content creators, and consumers as a synonym for a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 Third, cultural archetype is frequently used as a keyword associated with such terms as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culture’symbolizing a major driving force in the midst of regional and global conflicts and conversion. Fourth, in terms of applicability, in addition to digital content, creative resources for expressing ‘uniqueness’of Korean culture are sought for and these efforts combined cultural and archetypal elemen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ors and consumers in various K-culture genres such as art, music, and performances. When it comes to representation of culture, through analog media, the social form(context) often disappears and only the content(matter) passively survives.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digital media associated with convergence integration in ICT, both cultural historical content and forgotten social form can be activated by modernized transformation. In the digital information era, anyone can utilize open-source creative platforms. This means interaction and combination among four cultural elements - social form(context), formative content(matter), social change, and cultural exclusive possession/emergence – can be born from various ‘numbers cases’ on ‘creative materials’ of cultural archetype in global high-tech society. As a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cultural archetype discourses in Korean society over 20 years, it contributes to the analysis of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and can be informative for future studies of cultural archetyp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