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활동량, 운동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질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활동량, 운동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질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Exercise Self-efficacy, and Sleep Quality on Fatigue among Shift Work Nurses
Authors
정효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활동량, 운동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 질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서울 소재 2개의 300병상 초과의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교대근무 간호사 116명을 편의 표집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세계 보건기구가 개발한 한국어판 단축형 국제 신체활동 설문지(IPAQ), Marcus 등이 개발하여 강경순, 구미옥이 수정, 보완한 운동 자기효능감 도구, Buysse 등이 개발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Schwartz 등이 개발한 도구를 토대로 장세진 등이 재구성한 다차원 피로 척도(MF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성은 16명(13.8%), 여성은 100명(86.2%)로 나타났으며, 나이는 평균 28.45세였다. 최종학력은 4년제(학사학위과정 포함) 대학졸업자가 102명(87.9%)으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미혼이 91명(78.4%)이었다. 근무부서는 중환자실 42명(36.2%), 응급실 39명(33.6%), 외과계 병동 9명(7.8%), 내과계 병동 20명(17.2%)이었다. 총 임상 재직기간 평균은 4.99년, 현재 근무하는 부서에서의 재직기간 평균은 3.65년이었으며, 최근 3달간의 한 달 평균 야간근무 개수는 평균 6.14개로 나타났다. 2.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대답한 대상자는 총 51명(44%)으로 헬스/웨이트 트레이닝(33.7%), 필라테스/요가(15.1%) 등의 운동을 한다고 답하였다. 주당 운동 횟수는 평균 3.1회로 나타났으며, 평균 1일 운동시간은 79.8분, 운동을 시행한 기간은 평균 17.61개월이었다. 3. 근무를 제외한 신체활동량의 평균은 3063.02(±2988.48)MET-min/wk로, 중간 신체활동 수준의 그룹이 52명(44.8%)으로 가장 많았으며, 높은 신체활동 수준 34.5%, 낮은 신체활동 수준 20.7%였다. 운동 자기효능감 점수는 23.79(±7.45)점 이었다. 수면의 질은 7.04(±2.97)점으로 7가지 하부항목 중 수면 잠복기의 점수가 1.71(±0.9)점으로 가장 높았다. 피로의 총 점수 평균은 92.63(±15.89)점이었고, 3가지 하부항목 중 일상생활 기능장애 항목의 평균이 5.2(±0.9)점으로 가장 높았다. 4. 신체활동량은 결혼 여부(t=5.413, p<.001), 총 임상 재직기간(F=3.691, p=.028)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 자기효능감은 성별(t=2.026, p=.045), 현 부서 재직기간(F=3.132, p=.047)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면의 질은 나이(F=3.241, p=.041), 현 부서 재직기간(F=6.933, p=.013), 한 달 평균 야간근무 개수(F=3.560, p=.038)에 영향을 받았다. 5. 다중 회귀분석 결과 운동 자기효능감(β=-.231, p=.019)과 수면의 질(β=.273, p=.003)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에 미치는 영향으로 운동 자기효능감과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수면장애 조절을 통한 피로를 감소시키려는 방안이 지속해서 모색되어야 하며, 피로에 대한 운동 자기효능감의 긍정적 효과와 운동의 간접적인 효과에 관한 반복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외 신체활동, 운동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 질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exercise self-efficacy and sleep quality on fatigue among shift work nurse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performed on 116 shift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at two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Participants consisted of 16 males (13.8%) and 100 females (86.2%), and the mean age was 28.45 years old, and 91 participants (78.4%) were unmarried. By department, 42 participants (36.2%) we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39 participants (33.6%) were in the emergency room, 9 participants (7.8%) were in the surgical ward, and 20 participants (17.2%) were in the internal medicine ward. The average of total clinical career was 4.99 years, the average of current department career was 3.65 years, and the average number of night shifts per month was 6.14 for the last 3 months. 2. A total of 51 participants (44%) answered that they exercised regularly, with 29 (33.7%) gym/weight training and 15.1% (15.1%) Pilates/Yoga. The average number of exercises per week was 3.1 times, the average daily exercise time was 79.8 minutes, and the average exercise period was 17.61 months. 3. The averag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excluding work was 3063.02 (±2988.48) MET-min/wk. As for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group with the moder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the largest with 52 participants (44.8%), high level physical activity group was 34.5%, and low level physical activity group was 20.7%. The self-efficacy of exercise score was 23.79 (±7.45). The sleep quality was 7.04 (±2.97) scores, and among the 7 sub-items, the score of sleep latency was the highest at 1.71 (±0.9). The fatigue score was 92.63(±15.89), and among the three sub-items, the average of daily life dysfunction was the highest at 5.2(±0.9).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5.413, p<.001) and total clinical career (F=3.691, p=.028). The exercise self-efficacy was determined by gender (t=2.026, p=.045) and current department career (F=3.132, p=.047). Sleep quality was affected by age (F=3.241, p=.041), current department career (F=6.933, p=.013), and number of night shifts per month (F=3.560, p=.038).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impact of physical, self-efficacy of exercise, and sleep quality on fatigu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xercise self-efficacy (β=-.231, p=.019) and sleep quality (β=.273, p=.003)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factors on fatigue. In summary, exercise self-efficacy and sleep qualit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tigue of shift nurs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ek efforts ways to reduce fatigue through sleep disorder control in shift nurses, and repeated studies on the positive effects of exercise self-efficacy and the indirect effect of exercise on fatigue are needed. This study has significant benefits in terms of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ealth of shift nurses by confirming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utside of work, exercise self-efficacy, and sleep quality on fatigue in shift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