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8 Download: 0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교수 실행에 대한 탐색

Title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교수 실행에 대한 탐색
Other Titles
Explor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the Implem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uthors
전소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현주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해 학습의 결과에 초점을 맞춘 평가(Assessment of learning)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또는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를 강조하는 평가로 변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교육부(2011)에서도 학습결과를 상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소하고자 교과목별 학업성취 도달 수준을 평가하는 절대평가의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구현 방식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중심으로 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서 성취평가제에 관한 인식, 성취평가제가 교사의 평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취평가제 운영으로 인해 변화되거나 개선된 점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내신 석차 등급 미표기 이후 성취평가제가 기대하는 교육적 의미가 현장에 반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성취평가제로 인해 ‘변별’에서 벗어난 과학수업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학생의 성취에 주목함에 따라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결과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남으로써 과학과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과학 교과의 본질적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된 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적정 성취수준을 교사 스스로 설정하지 못하거나, 학생 활동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평정하는 과정에서 난해함으로 인하여 성취평가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기고 하였다. 또한, 내신 석차 등급이 산출되지 않은 이후,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이는 의욕과 열의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 상황에서 수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the implem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SA) in science teaching. To achieve the aim,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science teachers who had implemented ASA.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asked to share their opinions of the ASA implemtation, the effects of ASA on the changes of their teaching, and students’ reactions to ASA.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nitial intention to the ASA implementation only began to be acutalized in schools after subject rankings were not requried to be indicated. Some teachers felt that ASA let them pay attention to the student's progress, rather than ranking students by their achievment scores. It also helped them find students having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support them. In addition, they admitted that they were able to reorganize their science lessons following the essential goals of science subjects in the curriculum, and to provide more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achievement. However, some teachers expressed difficulties in seting an appropriate level of achievement for their lessons or in evaluating students’ progress by qualiative manners. In addition, the teacher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remarkably lower motivation and enthusiasm of some students for learning science after the indication of class rank was not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