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6 Download: 0

교사의 가족사별 경험이 갖는 전환학습적 의미와 교육적 영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교사의 가족사별 경험이 갖는 전환학습적 의미와 교육적 영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into Consequences of Teachers’ Family Berea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ve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Effects
Authors
강영애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teachers’ family berea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ve Learning and the influences 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pecific directions were investigated. 1. What is the consequences of teacher’s bereav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2. How does teacher’s transformative learning influence their mode of education? This study’s participants are two teachers who went through a bereavement of a family member. To understand in depth their unique experience,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which is effective in exploring individual experienc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5 to August 25, with 6 individual interviews and additional questions by email. The overall methodology was done using the 5 stages of narrative inquiry proposed by Clandinin & Connelly(2000). The findings to the research question presented is as follows. 1. What is the meaning of teacher’s bereav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First, the transformative learning of the two teachers who experienced family bereavement began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on pain’. Though the participants were frustrated with their situation in the beginning, they did not stay in that space. Rather, they established a new perspective on pain, which allowed them to continue their new lives. Second, participants redefined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ir own role both in the family and school. They developed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disorienting dilemma’ and reset their role in relationships around them. Especially, redefining the role as a teacher led to a change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and shifted from the educational field to implementation. Third, the attempt of a new education caused by perspective transformation became a driving force for another transformative learning. Teachers gained a wider perspective and deeper insight into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new education, which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another transitional learning. 2. How does teacher’s transformative learning influence their mode of education? First, the participants who renewed their perspectives on education practiced a pioneering and more active style of education. Second, participants shifted to a style of education that reflects their experience, rather than remaining focused on exam-oriented or curriculum-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n the meaning and educational influenc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induced by family bereavement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ransformative learning interacts with educational values and affects educational activit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education is bas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change in individual perception of teach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in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lain and understand transformative learning triggered by family bereavement in the light of affective components and social-cultural domains, rather being confined to the rational dimensions. This is because it was confirmed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caused by negative life events such as family bereavement, requires emotional stability first even though the role of rational thinking is emphasized in the theory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is needed for the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of teachers suffering from painful life events. Life events can happen to anyone, and teachers are no exception. Considering the impact of teachers' emotions and perspectives on students, support for teachers’ recovering from their trauma should be treated as an educational issue, not limited to teacher welfare. Issues related to improving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of teachers should be dealt with in terms of educational importance. Second, concerning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on various situations in which teachers' transformative learning may occur. Life events including negative events, anticipated events, and non-events were expected to occur. Research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at occur in various situations is need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eacher development an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겪은 생애전환 사건으로서의 가족사별 경험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전환학습의 의미와 그것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교사에 대한 이해가 학교교육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면에서, 교사의 개인적 삶에 대한 연구는 교육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족사별을 경험한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교사가 경험한 전환학습의 의미와 교육현장에서의 변화를 탐색함으로써,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의 가족사별 경험이 갖는 전환학습적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가족사별을 경험한 교사들의 전환학습은 교육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생애사건으로서 가족사별을 경험한 두 명의 전·현직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IRB 승인 직후 2022년 7월15일부터 8월25일까지 각각 3차례씩 단독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후 분석과 해석 과정을 거치면서 추가적인 질의 응답과 검토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인간의 개별적인 경험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5단계 절차, 즉 현장에 머물기, 현장에서 텍스트로 이동하기, 현장 텍스트 작성하기, 잠정적 텍스트 작성하기, 연구텍스트 구성하기에 따라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대해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교사의 가족사별 경험이 갖는 전환학습적 의미는 무엇인가? 첫째, 가족사별을 경험한 두 교사의 전환학습은 ‘고통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에서 시작되었으며 가족사별 경험은 참여자 자신의 역할과 주변과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여자 자신 의 내면적 인식변화를 통한 주변 관계와 자신의 역할을 재설정한 후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실천함으로서 새로운 삶에 통합을 이루었다. 가족과의 사별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처한 상황에 대해 절망하고 좌절하지만,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고통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정립하였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삶을 이어나갈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관점의 전환을 통해 주변관계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정의를 재구성한다. 즉, 자신의 내면을 성찰한 결과 얻게 된 새로운 의미 관점이 주변 관계로 이어지며 가족과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개념을 다시 설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사들의 관점 전환으로 인해 교육관에도 변화가 생겼으며 이는 교육활동에서 구현되었다. 이러한 변화된 교육활동은 교육에 관한 보다 깊은 통찰과 넓은 사고의 전환으로 이어졌다. 2. 가족사별을 경험한 교사들의 전환학습은 교육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첫째,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관점에 변화를 공통적으로 경험했으며 이전보다 적극적인 교육활동을 통해 변화된 가치관을 실천에 옮겼다. 둘째, 지식전달 중심의 교육에서 학생의 경험을 존중하는 교육을 실천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교사의 가족사별 경험이 주는 전환학습의 의미와 교육적 영향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전환학습은 교육관과 상호작용하며 교육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은 교사와 학생의 소통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교사 개인의 인식 변화는 교육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둘째, 가족사별과 같은 비극적인 생애사건으로 인한 전환학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성적 사고 이외에도 감정적 요인과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이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 전환학습 이론에서는 이성적 사고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의 사별같이 삶에 극심한 충격을 주는 생애사건으로 인한 전환학습의 경우, 감정 정리가 먼저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감정 작용에는 사회적 분위기나 인간관계적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사별과 같은 고통스러운 생애사건으로 인해 고통을 겪는 교사들의 정서적 안정과 위로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생애사건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일이며 교사도 예외일 수 없다. 교사의 정서와 관점이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한다면 이는 교사 복지로만 국한시킬 문제가 아니라 교육적 문제로 본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둘째, 후속 연구 차원에서 교사들의 전환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생애사건은‘예상되는 사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일어나지 않는 ‘비사건’ 등 다양한 경우가 존재한다.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교사들의 전환학습에 대한 연구는 교사 능력 개발과 교육활동에 대한 이해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와 중요성을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