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9 Download: 0

외로움의 서사

Title
외로움의 서사
Other Titles
A narrative of solitude : an explorer of life and aesthetic pictorial world
Authors
윤예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The series 『Being a Solitary Person』 is meaningful in reevaluating the loneliness which is essential to living a life. Loneliness is universal because it exists in everyone, and it is unique because each individual feels different. I first divided loneliness into negative and positive meanings. The negative meaning was referred to as isolation, and the positive was referred to as “Solitude competency”. Solitude competency means an individual's internal growth power. I focused on this positive meaning and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expression of my fictional world. For example, it was the first manifestation of solitude competency that the protagonist decided to leave her original place to explore in order to escape from isolation in the narrative. A narrative of solitude was conveyed through a pictorial expression that referred to as “Disclosure”. “Disclosure” can be summarized as improvising and expressing life by selecting elements that attract my subjective interest from the fictional world. I realized "Disclosure" by using red hue designers gouache on Korean paper. The protagonist, who constantly missed those who left her in one island, soon began to explore. The journey to reach a lighthouse formed the basic plot of the narrative. In the first part of the narrative, the protagonist realized that her original place was “Island of Isolation” and soon falls into agony. This is because there was a cycle of ecosystems that deepened the sense of isolation on the island. After knowing that, her desire to go back confused her. Meanwhile, the helpers and the interrupters continued to create a tension in the narrative. When she left the island of isolation and arrived at another place, the protagonist learned that the power to maintain and sustain the world was the sublimation of isolation. At this time, the sense of isolation, which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protagonist's journey, was an emotional fuel and had power of sustaining the world. It was always the helpers who supported her senses to stay awake that revealed the truth of the world and helped her not give in to harsh nature. Nature, which is threatening to the protagonist throughout the series, showed that individuals who feel isolated judge the surrounding situation as a threat to them. Most of these distorted perceptions worked against her, but they also helped to manifest solitude competency within the narrative. The protagonist, who finally reached her destination, looked at the lands beyond the horizon without feeling threatened anymore. What I prioritiz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each scene of the series w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inting scenes rather than the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narratives. I believed that making a full-length narrative through painting is different from novels and movies. Unlike watching novels and movies with time sequence, there is no fixed order of appreciation in paintings. Therefore, I inserted a clue that suggests the story before and after the scene in a scene. This allowed the accidental creation method to be maintained by inserting another scene between the scene and the scene. Therefore, in the end, it could be inferred that loneliness is a sudden sensation in any aspect of our lives. As in the description so far, I created a fictional world and interpreted loneliness subjectively. In future studies, I intend to supplement the scenes that have not yet been completed in this series, while conducting a more detailed exploration of painting materials such as designers gouache. In addition, visual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conditions of painting expressing the full-length narrative will also be actively conducted.;살아가는 데 있어 누구에게나 외로움은 필연적이며, 이는 ‘외로움’이라는 단어에 상투적 의미들을 부여했다. 그 상투적 의미들은 대부분 고립된 상태에 놓여있는 인간의 감정에 관한 것들이다. 이 고립은 인간 스스로 초래한 것이기도, 타인이나 외부 상황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주체의 “외롭다”는 외침은 부정적 감정들, 특히 쓸쓸함, 고립감을 더욱 유발한다. 다른 한편, 특히 본인에게 외로움은 인생에서 늘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상태, 혹은 생의 감각으로 이해된다. 『외로운 사람되기』 연작은 외로움에 관한 전자의 부정적 견해로부터 후자의 본질적 견해로 향하는 과정을 우화적 여정으로 창작하는 작업이다. 외로움을 하나의 지속적인 상태이자 생의 모험적 감각으로 재평가할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외로운 사람되기’라는 연작의 제목은, 외로움이라는 추상적 개념에 관한 본인의 재해석 방식을 담고 있다. ‘사람’이라는 존재로서, 다시금 “사람이 된다”는 말은 어딘가 낯설게 느껴진다. 그러나 우리말에 이미 ‘사람 됨됨이’, 혹은 ‘된 사람’이라는 표현이 있듯, ‘진정한 사람’에 가까운 인간은 품성과 인격을 갖춘 자임에 이미 드넓은 사회적 동의가 존재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표현은 도덕적 인격 수양의 자세를 갖추는 것이 사실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라는 일종의 사회 교훈적 함의를 강하게 갖는다. 그러나 ‘사람’과 ‘된 사람’이라는 두 개념 사이에 만일 실제로 어떤 틈이 존재한다면, 그것이 어떤 맥락에서건, 모든 인간이 자신의 삶에서 기꺼이 떠나야 할 진정한 여정은 바로 그 틈에서부터 비롯될 것이라는 기대를 품어볼 수 있다. 인간은 삶 속에서 낯선 대상, 상황 및 장소에 끊임없이 노출되는데, 이 모든 경험을 전부 특별한 ‘모험’이나 ‘탐험’이라 부르지는 않는다. 다만 인생에서 겪는 낯선 상황들을 반복해 견뎌내는 주체는, 어느 순간 자신을 세계 속에 내던져진 존재가 아닌, 내던지는 존재로 다시금 인식하게 된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주체로서, 인간은 모든 이에게 공통으로 주어진 삶의 공간, 즉 세계를 각자 다른 방식으로 체험한다. 타인과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으면서도 타인과는 다른 경험, 지식, 가치관, 종교, 혹은 세계관을 갖고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인간의 삶과 각각의 경험은, 특별하진 않더라도 고유하며, 생을 살아가는 것에는 보편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이 혼재될 수밖에 없다. 외로움 또한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부분은 철저히 자기만의 외로움이다. 이러한 점에서 외로움을 생의 모험적 감각으로 빗대는 것은 합당해 보이는데, 특히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인 ‘세계관’의 측면에서 그렇다. 주체가 삶의 모든 국면을 완전히 주관적으로 재해석해 받아들이는 과정은, 모두 그 주체가 가진 개인적 세계관의 작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세계관은 다음의 두 가지 의미를 함께 내포한다. 1. 『외로운 사람되기』 서사의 기저에 놓인 모든 표현 및 설정 2. 생의 감각으로서의 외로움과 결을 같이하는, 개인이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 이 두 의미의 총체로서의 세계관은 본인이 외로움을 인생의 모험적 감각을 다루는 서사로서 재해석하는 방법론이 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관은 작업 내에서 외로움이 가진 긍정적 힘인 ‘고독 역량’과 결합하며, 외로움의 서사를 전개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연작 회화에서 본인은 획의 한 무리가 강한 색조와 결합해 간결하면서도 두꺼운 흔적을 남기며 조립되는 방식, 그리하여 본인의 주관적 흥미에 따라 세계관 속 대상들을 화면에 끌어낸 방식을 ‘드러내기’라고 명명했다. 이렇게 드러난 대상 및 물체들은 모두 현실에 있는 것과 설령 그 모양새는 유사하더라도, 서사 내에서는 기존과 전혀 다른 맥락에 놓인 채 장면들을 만들어나가게 됨으로써 회화 내 공간이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놓여있음을 알린다. 회화적으로는 물감을 침잠시키는 장지에 도리어 강한 색조를 유발하는 공업용 재료인 포스터컬러를 사용함으로써, 굴곡진 세계의 지형과 여정의 동적인 느낌을 극적으로 나타냈다. 여기에는 본인에게 외로움의 색채를 상징하는 붉은 색조가 깊이 관여했다. 이러한 회화 연작의 뼈대를 이루는 서사에는 기본 플롯이 존재하지만, 실제 작업에서 회화적 장면들이 모여 서사를 이루는 방식은 순차적이라기보다 즉흥적, 파생적이다. 다시 말해 본 연작은 플롯으로부터 비롯된 장면들이 개수를 늘려갈수록 본 연작의 전체 세계관 또한 더욱 풍성해지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작품 속 세계는 완성과 미완성, 폐쇄성과 개방성 사이를 오가며 계속 팽창한다. 한 마디로 본 작업은 장면과 장면 사이에 또 다른 장면을 끼워 넣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외로움이 기승전결의 선형성을 따르기보다는 삶의 어느 단계, 어느 국면에서나 갑작스레 침투해 들어오는 감각인 것을 상기시킨다. 그러나 매번 낯설게 다가오는 감각, 즉 외로움을 생을 살아가는 장면들의 집합 속에서 능동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우리의 삶은 비로소 풍성해질 것이다. 외부의 자극을 승화해 자신의 세계 안에 조화롭게 머무르도록 하는 것, 이러한 과정은 곧 한 생명력 있는 주체가 세계를 받아들이고 자신의 고유한 서사를 만들어가는 외로운 생의 과정과도 같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