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9 Download: 0

내적 심상이 투영된 이미지 표현 연구

Title
내적 심상이 투영된 이미지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age Expression with Inner Image Projection : Focused on My Paintings
Authors
조하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호
Abstract
본 논문은 심상의 표현을 위해 추상적 이미지를 사용한 본인 작품 세계의 형성 배경과 시기별 변화에 따른 특징 분석에 목적을 두었다. 초기 작업에서는 반복적 대상 묘사가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감정의 해소와 표출, 승화의 단계를 거치며 작업 이미지는 추상적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일련의 조형적 변화는 무의식 속 기저에 존재하였던 부정적인 정서를 대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극복에 이르기까지 심리변화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나 작품의 제작 과정을 통해 불안 감정에 대한 해소를 통하여 인지적 관점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본인의 작업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이라는 확신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내면의 응시를 통해 얻은 긍정적인 심리변화에 기인한 이미지의 변화를 시기별로 살펴보고, 회화의 실천 행위에 대한 다각적 이해를 분석을 시도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억압적 무의식의 세계가 구현되었던 시기를 살펴본다. 방어기제의 측면에서 세상과의 단절을 시도하며 스트레스 자극으로부터 유발되는 부정 적인 정서를 무의식적으로 표상한 시기였다. 고통을 마주하는 단계에 대해 기술한 후, 고통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작품 이미지가 단순하고 추상성을 띄게 되는 계기에 대해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심적 변화에 따른 이미지가 추상으로 발현되었던 시기를 분석한다. 내면이 추상적 패턴으로 이미지화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조형적 측면으로 서술한다. 심리변화가 반영된 색과 형이 가지는 성질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형뿐만 아니라 색이 가지는 특성에도 관심으로 이어져 이는 본인의 전반적인 작업에 중요한 시발점이 되었다. 앞선 시기의 작업에서는 부정적인 정서 속에서 아픔 을 불안함을 표출하고자 하였던 행위가 주를 이루었으나 해당 시기에서는 점차 내면을 응시하며 심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비가시적인 심상을 재현하기 위해 추상적인 형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작업의 패턴의 이미지에서 상상력으로 재현되는 무형의 심상을 드러내었다. 마음속에서 재생된 상(像)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자 2차원의 평면 이미지 속에서 상상의 공간을 구현하였다. 감정이나 심리적 측면의 변화를 고유의 회화적 제스처로 변환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데 집중하였다. Ⅳ장에서는 자연적 요소로의 심상을 탐구하였던 가장 최근의 작업 시기를 살펴보았다. 관심 대상이 내가 아닌 모든 것, 즉 외부 혹은 자연물로 시선이 옮겨가고 있었다는 점이 해당 시기의 주요 특징이다. 대상을 관찰하고 파악하는 기본적 인 자세를 기반으로 하여 내면으로부터 비롯하는 불안을 애도하거나 표출하는 것이 아닌 본인의 정체성을 깨닫고 이를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인의 감정과 정서를 우선시하는 것이 아닌 화면 내에서의 형과 색 간의 관계성을 고려하며 패턴적 이미지가 작품에서 중요한 조형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하늘과 바다 혹은 자연풍경 자체로 점차 시선을 옮겨가기 시작하면서 은유적 의미의 자연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심리적 위안과 해방감을 얻고 그것을 작품에 담아냄으로써 스스로에게 그린다는 행위가 가지는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상의 흐름을 통해 본 논문은 본인에게 회화 실천 행위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작업은 전반적으로 기억, 감각, 감정, 경험을 통해 내러티브를 형성하였다. 이는 조형적 요소로 치환되어 평면의 캔버스에 표출되었으며 이후에는 시각적인 색과 형의 탐구를 통해 심상을 추상적 이미지로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내면을 표출하는 쾌를 느꼈다. 감각되는 심상이 달라지는 일련의 과정에 따라 다소 복잡하고 강렬한 색채는 완화되어 추상적인 패턴을 통해 심상이 담긴 이미지로 거듭났다. 본 논문은 시기별 내면의 변화 혹은 감정의 해소를 통해 얻은 인지적 관점의 변화가 작품의 변화를 어떻게 가져오게 되었는가에 관하여 이를 주체적인 관점에서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my own artwork of abstract images used for expression of imagery, based on personal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In initial artworks, repetitive depictions were prevalent themes, but this gradually grows into abstract figures as sentiments are expressed, effused, and sublimated. Such a string of formative shifts can be attributed to the series of psyche alteration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facing and overcoming personal distress. Shifts in cognitive perspectives were prominent during the resolution of anxiety by dint of creation. Such changes come from the assertion that positive outlooks on existence was acquired during the process of creation. Thus alterations in imagery from the positivity from contemplation will be covered by phase, moving on to versatile inquiry on the practice of portrayal. Chapter II covers the phase where oppressive subconsciousness was surfaced. This was a phase where solitude emerged as a form of defensive mechanism, and tension was subconsciously expressed. The 66 narration covers stages from facing agony, to how such agony emerges in art. Further analysis elaborates on the rationale of abstractness and simplicity of imagery. Chapter III covers phases where psyche alternations were manifested through abstraction of imagery. Formational perusals are made on how the mentality is evinced in abstract patterns. The traits of color and form derived from alternated psyche is highlighted. Such approaches were important commencements for future artworks as traits of color, as well as forms were found intriguing. This phase shows progressive emerge of metaphoric articulation of imagery vis-à-vis personal reflection, whereas past artworks contain endeavor of anxiety expression in midst of distress. Intangible imageries were realized through abstracted icons. Therefore, the intangible imageries recalled by patterns within the artwork are uncovered. Intimate impressions were depicted through establishment of imaginary space within the leveled canvas. Changes in emotion and mentality were made eminent through bona fide gestures in painting. Chapter IV looks over recent works, where nature advents as core components of imagery.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is phase is that the center of interest has now shifted from my own self to external factors, such as natural entities. Observation and comprehension of objects expedites realization and expression of identity, instead of utterance and condolence towards anxiety. Furthermore, relational utilization of color and form becomes a pivotal aspect of formation, rather than prioritization of personal emptions and yeaning. The metaphoric essence of nature is explored as gaze now shifts toward skies, oceans, or scene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