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3 Download: 0

감정 소화하기

Title
감정 소화하기
Other Titles
Digesting Emotions : Liberation of Repressed Memories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논문은 오랜 시간 동안 연구자 안에 축적 되어왔던, 숨겨두고 싶었던 본인의 어두운 이면에 대한 소화 과정을 담아낸 논고이다. 지금까지 연구자는 부정적인 감정의 소용돌이가 밀려올 때,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애써 외면해왔다. 이렇게 적절히 처리되지 못한 감정과 기억들은 연구자의 내면에 점차 쌓여갔고, 결국 억눌린 것들은 악몽과 같은 가벼운 정신적인 증상으로부터 시작되어 신체적인 증상으로까지 발현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억누르고자 노력했던 감정이나 기억들을 다시금 마주하고 이를 소화하는 과정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자신의 일부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이를 소화시키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위해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요제프 브로이어(Josef Breuer)의 히스테리 연구를 살펴보았다. 히스테리는 히스테리자가 경험했던 어떤 사건으로 인하여 생겨난 감정들이 해소되지 못하고 남아 있다가 정신적, 신체적인 증상으로 발현되는 신경증의 일종이다. 히스테리자는 히스테리의 해소를 위해서 최면을 통해 증상이 원인이 된 기억과 당시의 감정을 되살려내야 하며, 이렇게 소환된 것들을 상담자에게 언어로써 풀어내야 한다. 후대의 정신분석학자 장-다비드 나지오(Juan-David Nasio)는 히스테리자는 분석가와의 분리, 자기와의 분리를 통해 히스테리의 종결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두 가지 분리를 통해 히스테리자가 진정한 자신의 삶을 살 수 있게 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의 연구는 연구자의 증상의 이론적 근거가 되어주었고, 나지오의 연구는 연구자가 지금까지 행해왔던 일기를 쓰는 행위가 일종의 자기 분리의 과정이었음을 깨닫게 해주었다. 그러나 연구자의 글은 부정적인 감정을 그대로 쏟아낸 것이었기에, 해소의 역할보다는 분출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에 연구자는 본인의 글들을 다시 이미지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완벽히 소화되지 못한 연구자의 감정과 기억들을 반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는 글이라는 매체에서 이미지라는 매체로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기에, 매체가 바뀌면 생겨나는 변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호매체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호매체성’은 서로 구별되는 둘 이상의 매체가 관련되는 현상을 말하며, ‘매체 옮김’, ‘매체 간 지시’, ‘매체 조합’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진다. 연구자의 글을 이미지로 옮기는 것은 ‘매체 옮김’으로, 이는 소설이나 웹툰이 영화화되듯이 한 매체가 다른 매체로 옮겨가는 것이다. ‘매체 옮김’이 일어나면 새로운 매체와 기존의 매체의 표현 방식 차이로 인해 대상을 더욱 다양하게 감각하고 지각할 수 있다. 연구자의 글을 이미지화하는 것은 연구자의 감정에 대해서 새롭게 감각하게 해주었고, 이는 곧 프로이트와 나지오가 말한 히스테리의 원인이 된 과거의 기억과 감정을 새로운 경험으로 재구성하여 덮어쓰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도자 매체로 작업하는 과정을 통해서 연구자는 피하려고만 했던 감정과 기억들을 다시금 마주할 수 있었고, 결국 이는 연구자의 작업에 예술적인 영감이 되어주었다. 연구자의 아픔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부정적인 에너지를 예술 활동의 동력으로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연구 과정의 끝에서 연구자는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어루만지며 스스로를 위로하는 법을 터득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 갈 수 있는 추진력을 얻게 되었음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thesis that illustrates the digestion process of emotions and memories I had accumulated and kept hidden within myself over a long period of time. Up until this point, I have only tried to turn blind eye when going through whirlwind of emotions rather than accepting them as they are. These pent-up emotions and memories gradually piled up inside me, and ended up manifesting through mild mental symptoms including nightmares, and even developed into physical symptoms. Through this study, I attempted to capture the process of standing up against suppressed emotions and memories, and in return, finally relieving them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ng text into images. The researcher first looked into hysteria studies of Sigmund Freud and Josef Breuer as a theoretical bas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ully embracing one’s inner darkness, and finally relieving it. Hysteria is a type of psychological disorder in which suppressed emotions, triggered by certain events and remain unrelieved, are manifested into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To cure hysteria, these suppressed memories and emotions, which are the root cause of symptoms, must be recalled through hypnosis, and should be freely expressed in discussion with a counselor. According to the studies of Juan-David Nasio, a later psychoanalyst, a hysteric can be relieved from hysteria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on from the analyst’ and ‘separation from himself’, ultimately allowing him to truly live his life. Overall, Freud’s study has become a theoretical basis for my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and Nasio’s study has allowed me to realize that the act of writing a diary I had been doing so far was a form of self- separation process. However, as my writing was just an outpouring of negative emotions, it only ended up functioning as an eruption rather than an alleviation. Realizing this, I went through a process of ruminating suppressed emotions and memories, which had not been fully digested and relieved, by expressing text as an artistic image. This process, which is ultimately a change from one media to another, led me to further my research into a study on ‘intermediality’ to better examine its effect. ‘Intermediality’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wo or more distinct media are interconnected. I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media transposition’, ‘media combination’, and ‘intermedial reference’. Expressing my writing as an image is a form of ‘media transpostion’, which is a conversion of one media to another just as a novel is made into a movie.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realize that through a ‘media transposition’, objects can be sensed and perceived from more diverse aspects due to differences between the new media and the previous one. Thus, the process of turning my written text into an image allowed me to go through whole new sensory experience. This also soon led to a process of overwriting my memories and emotions, which had been the cause of hysteria as Freud and Nasio mentioned, with new experiences. The study allowed me to confront with emotions and memories that I only tried to hide and avoid. Furthermore, I was able to experience moments when those suppressed emotions became my artistic inspi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sublimating my pain into art, I was finally able to use negative energy as a driving force for art activities. In the end, I found this study significant in that I was able to learn how to console myself by touching upon my own emotions and finally to move forwar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