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4 Download: 0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

Title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
Other Titles
The thoughts of young children about rough and tumble play
Authors
유승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일대일 면담을 통해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생각과 유형별로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은 어떠할 것 같은지 그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1.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2. 거친 신체 놀이 시 유형별로 교사의 반응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90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영상자료를 활용한 일대일 면담 방식을 사용하였다. 면담에서 사용된 영상은 거친 신체 놀이를 신체적 접촉 여부에 따라 분류한 싸움 놀이와 일반적인 거친 신체 놀이에서 각각 3가지씩 총 6가지 에피소드 영상을 사용하였다. 면담 과정은 각 에피소드 영상을 보여준 후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이러한 놀이를 할 때 교사의 반응에 대해 생각을 묻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 정리, 범주화, 빈도산출, 의미 해석 및 사례 추출의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유아들의 답변은 다음과 같이 범주화할 수 있었다.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긍정, 부정, 긍정·부정으로 분류하였으며,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은 ‘놀이를 제지한다’, ‘놀이를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한다’, ‘놀이를 허용한다’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은 비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유형에서 긍정적이라는 응답의 비율이 더 높았다.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가 재미있고 하고 싶은 놀이이기 때문에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들이 거친 신체 놀이를 긍정 또는 부정으로 생각하는 기준에는 공간의 크기, 놀이의 물리적·사회적 위험성, 교사의 반응 3가지가 있었다. 첫째, 유아들은 공간의 크기를 기준으로 놀이에 대한 생각을 결정하였다. 즉, 거친 신체 놀이는 놀이의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에 놀이 공간이 넓은 곳에서 일어날 때 놀이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적합한 공간에서 놀이를 한다면, 긍정적, 그렇지 않다면 부정적으로 생각을 표현하였다. 둘째, 물리적·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놀이에 대한 생각을 결정하였다. 물리적 위험성은 놀이 공간 환경의 사람과 사물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과 사물의 밀도가 높다면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놀이 공간의 환경이 위험성이 낮을 때 긍정적, 반대의 상황에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사회적 위험성은 거친 신체 놀이에서 보이는 유사 공격 행동, 과격하고 거친 행동이 상대 유아에게 해를 가하거나, 불편함을 주는지를 기준으로 생각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의 놀이 행동에서 실제로 해를 가하려는 의도가 없다면, 즐거운 놀이이며, 하고 싶은 놀이라고 표현하였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서는 안되는 놀이, 하고 싶지 않은 놀이라고 표현하였다. 셋째, 교사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였다. 이 결정 기준은 유아들이 교사가 놀이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는 것이다. 둘째, 유아가 거친 신체 놀이 시 교사의 반응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한 가지 유형을 제외하고 모든 유형에서 교사가 실내에서는 거친 신체 놀이를 제지할 것이고 실외에서는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빙 돌거나 흔들거리기는 실내에서 유아가 거친 신체 놀이를 할 시 교사가 놀이를 허용하되 안전을 당부할 것이고, 실외에서는 놀이를 격려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일하게 비교적 허용적인 놀이 유형이었다. 유아들은 교사가 안전을 이유로 대체로 거친 신체 놀이를 제한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들은 공간의 환경적 위험성과 놀이 행동의 위험성을 통해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첫째, 공간의 환경적 위험성은 놀이 공간 주변의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유아가 다칠 수 있는 위험성을 의미한다. 둘째, 놀이 행동의 위험성은 거친 신체 놀이의 놀이 자체 행동으로 인한 위험성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거친 신체 놀이에 관한 인식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관점에서 유아 개개인의 목소리를 듣고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놀이의 주체자인 유아에게 거친 신체 놀이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새롭게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hought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6 types of Rough and Tumble play (R&T play) and how they would predict their teacher’s responses would be during the 6 types of R&T play through 1:1 interview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1. How do young children think according to the type of R&T play? 2. What do young children think about the teacher’s responses to each type of R&T play? The study subjects were 90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wo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video data. A total of 6-episode videos were used, 3 each from fighting games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cal contact and 3 from general R&T play. Next, interviews proceeded by showing the video of each episode and asking the children’s thoughts about the play and the teacher’s responses when playing this gam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content arrangement, categorization, frequency calculation, meaning analysis, and case extraction. Accordingly, the children’s answers could be categorized. Their thoughts about R&T play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negative, positive, and negative, and teacher’s responses to R&T play were classified into ‘restrain play,’ ‘allow play but ensure safety,’ and ‘allow pla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R&T play,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was higher in all types. Children explained that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 the R&T play because it was fun and drew their interest to play. Specifically, there were three criteria for children's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 of R&T play: space size, the physical and social risks of play, and the teacher's response. First,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on play based on the size of the space. In other words, since R&T play an active play, the children expressed their thoughts as positive if they judged that they could engage in the R&T play in a wide enough appropriate space and negative if otherwise. Second, the children determined their thoughts on R&T Play according to physical and social risks. Physical risk represents the density of people and objects in the environment of play space, and the risk of injury increases if the density is high. Thus, the children thought of R&T play as positive if the play space environment had a low risk and as negative if otherwise. Next, thoughts on social risk are decided based on whether pseudo-aggression, violent and rough behaviors seen in R&T play harm or disturb the other child. If the children do not intend to cause harm in the play behavior of R&T play, they expressed it as a play they wanted to enjoy, and they should not or do not want to if not. Third, the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according to the teacher's response and attitude toward play Second, about the teacher's response during R&T play,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restrain R&T play indoors in all types except for one type and allow it outdoors but ensure safety. The R&T play was a relatively permissible type of play, as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allow the R&T play but ask for safety in spinning or wobbling indoor and the teacher would encourage the play outdoor. Also, the children thought that the teacher would generally restrict the R&T play due to safety reasons. They explained the reason through the space’s environmental risk and the risk of play behavior. First, the space’s environmental risk means that the children may be injured due to the play space’s physical environment. Second, the risk of play behavior means the risk caused by the R&T play. While most of the studies on R&T play perception have been conducted on adults so far, this study listened to the voice of each child from his or her perspectiv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m, and presented the results.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an opportunity to ponder the true meaning of R&T play to young children, who are the subjects of play, and to reconsider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R&T play. Thus it is hoped that young children’s R&T play is respected as 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