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7 Download: 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사 역량 연구동향 분석

Title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사 역량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eacher Competency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before and after COVID-19-
Authors
김예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해 교육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필수역량에 대해서도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015 및 2022 국가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 개념을 강조함에 따라 교사 역량의 중요성 또한 함께 대두되었고, 최근까지도 교사 역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이 학교급별, 역량별, 관점별로 다소 산발적으로 수행되는 경향이 있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전후로 총 6년 간의 교사 역량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며, 교사 역량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종합함과 동시에 코로나19 이후 여전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역량과 새롭게 강조되는 역량을 함께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Web of Science의 KCI(Korea Journal Database) 카테고리 내에서 논문의 제목, 초록, 저자 키워드에‘교사’및‘역량’키워드가 포함되는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결과적으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코로나 이전 시기에 해당하는 논문은 총 1,348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 이후 시기에 해당하는 논문은 1,620편이었다. 수집한 학술지 논문의 저자 키워드에 대하여 VOSviewer를 활용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키워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이전 교사 역량에 대한 연구 논문의 저자 키워드를 바탕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5,824개의 키워드 중 최소 5회 이상 등장하는 단어는 103개로 나타났다. 그중 빈도수 상위 10개 키워드는‘핵심역량’,‘역량’,‘예비교사’,‘교사교육’,‘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유아교사’,‘인성교육’,‘교사역량’,‘교수역량’순이었다. 한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 주제를 보여주는 클러스터는 총 9개로 확인되었다. 둘째, 코로나 이후 교사 역량 관련 학술지 논문의 저자 키워드에 대한 빈도 분석 결과, 총 7,191개의 키워드 중 최소 5회 이상 출현한 단어는 156개로 나타났다. 그중 빈도수 상위 10개 키워드는‘예비교사’,‘교사교육’,‘핵심역량’,‘유아교사’,‘역량’,‘예비유아교사’,‘코로나19’,‘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과정’,‘교사역량’순이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총 10개의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셋째, 코로나 전후 교사 역량 연구에 대한 키워드 네크워크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최소 빈도수 5 이상인 키워드의 수와 비율 그리고 전체 링크(Link)의 수와 그 크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코로나 전후 교사 역량 연구의 클러스터 주제를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교육과정, 예비교사 및 유아교사, 진로·특수·문화 교육 역량,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클러스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코로나 이전 클러스터에서는 창의·인성 교육 역량과 관련된 주제가, 코로나 이후 클러스터에서는 융합교육 역량에 대한 주제가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이전에는‘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 역량’클러스터에 포함되었던 키워드들이 코로나 이후에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인공지능과 관련된 3개의 클러스터에 나뉘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코로나 전후 출현빈도 상위 20개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예비교사’,‘예비유아교사’,‘유아교사’,‘초등교사’,‘핵심역량’,‘2015 개정 교육과정’,‘역량 기반 교육과정’,‘교사교육’,‘교사역량’,‘교수역량’ 키워드가 나타났다. 차이점으로는, 코로나 이전 시기의 경우‘인성교육’,‘4차 산업혁명’,‘소프트웨어 교육’,‘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 융합인재교육)’,‘창의성’키워드가 빈번하게 나타난 반면, 코로나 이후 시기에는‘코로나19’,‘온라인 학습’,‘원격 교육’,‘AI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공지능)’,‘특수 교사’키워드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여섯째, 코로나 전후 최소 5회 이상 출현한 교사 및 학교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동일하게‘예비교사’와‘유·초등교사’,‘초등학교’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한편, 특정 과목에 대한 교사 키워드로는 코로나 이전의 경우‘영어’와‘과학’교사 키워드를, 코로나 이후에는‘한국어’,‘과학’,‘진로’교사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 키워드와 관련해서는 코로나 이전에는‘초등학교’만 나타난 반면, 코로나 이후에는‘고등학교’,‘직업계 고등학교’,‘중학교’,‘혁신학교’와 같이 다양한 학교 키워드가 발견되었다. 일곱째, 코로나 전후 최소 5회 이상 등장한 역량 관련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10회 이상 빈번히 출현한 키워드는‘교수역량’,‘창의성’,‘의사소통’역량이었다. 한편,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빈도수가 크게 상승하였거나 빈도수 10회 이상으로 새롭게 등장한 역량 키워드는‘디지털 리터러시’,‘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진로 개발 역량’,‘미디어 리터러시’,‘놀이 지원 역량’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코로나19 키워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역량 키워드를 확인하기 위해, 코로나 이후 교사 역량 키워드 네트워크 맵 상에서‘코로나19’키워드와 연결되어있는 단어와 근접하게 위치한 단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디지털 리터러시’와‘미디어 리터러시’,‘TPACK’이 코로나19 키워드와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교사 역량 연구의 동향’및‘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사 역량’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국내 교사 역량 연구의 동향과 관련해서는 연구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주제가 다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 역량 관련 연구들이 국가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주로 유아교사 및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사 역량과 관련해 진로·특수·문화교육 역량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사 역량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교수역량’과‘의사소통 역량’,‘창의성’의 경우 코로나19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교사 역량 연구에서 여전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로 밝혀졌다. 한편,‘디지털 리터러시’,‘미디어 리터러시’,‘TPACK’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교사 역량 연구에서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역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전후로 국내 교사 역량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비교함으로써, 여전히 중요한 교사 역량 및 새롭게 요구되는 교사 역량을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이는 이후 시대의 흐름 및 교육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교사 핵심역량 기준을 마련하는 데도 기초적인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다소 산발적으로 수행되어 온 국내 교사 역량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그 동향과 특징을 확인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이후 더욱 정교한 정제 및 분석기법을 활용해 교사 역량 연구의 동향 및 세부 역량 요소를 보다 깊이있게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rapidly due to COVID-19, teachers' essential competencies are also being re-examined. Meanwhile, as the concept of competency was emphasized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eacher competency has also gained importance, and research on i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until a recent d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studies tend to be carried out somewhat sporadically by school level, competency, and perspectiv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hem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eacher competency for a total of six years before and after COVID-19, synthesizing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er competency, and confirming the competencies that are still important and newly emphasized after COVID-19. Papers containing‘teacher’and‘competency’keywords in the title, abstract, and author keywords were collected within the KCI (Korea Journal Database) category of Web of Science. A total of 1,348 papers were included in the pre-COVID-19 period from 2017 to 2019, and 1,620 papers in the post-COVID-19 period from 2020 to 2022. Keywords network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VOSviewer for the author keywords of the collected academic journal paper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author keywords of the paper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y before COVID-19, 103 words appeared at least 5 times out of a total of 5,824 keywords. Among them, the top 10 keywords of frequency were ‘core competency’,‘competency’,‘pre-service teacher’,‘teacher training’,‘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curriculum’,‘early childhood teacher’,‘character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and‘teaching competency.’Meanwhile, as a result of keywords network analysis, a total of 9 clusters showing research topics were reveal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author keywords of the academic paper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y after COVID-19, 156 words appeared at least 5 times out of a total of 7,191 keywords. Among them, the top 10 keywords of frequency were ‘pre-service teacher’,‘teacher training’, ‘core competency’,‘early childhood teacher’,‘competency’,‘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COVID-19’,‘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and‘teacher competency.’ As a result of keywords network analysis, a total of 10 clusters were identified.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word network for the research of teacher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and ratio of keywords with a minimum frequency of 5 or more and the number and strength of all links increased in the period of post-COVID-19 compared to pre-COVID-19.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luster topics for the study of teacher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clusters for curriculum, pre-servic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career, special and cultural education,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in comm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e-COVID-19 cluster, topic related to competency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showed up, and in the post-COVID-19 cluster, topic related to competency for convergence education was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keywords included in the‘Educational Competency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cluster before COVID-19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VID-19, and AI after COVID-19. Fif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p 20 keywords of frequ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in common, keywords such as ‘pre-service teach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early childhood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core competency’,‘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competency-based curriculum’,‘teacher training’,‘teacher competency’, and‘teaching competency’appeared. The difference is that before COVID-19,‘character education’,‘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ftware education’,‘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and ‘creativity’keywords appeared frequently, while after COVID-19,‘online learning’,‘distance education’,‘AI(Artificial Intelligence)’, and‘special education teacher’keywords showed up newly. Sixth, as a result of comparing teacher and school keywords with at least five frequencies before and after COVID-19,‘pre-service teacher’,‘elementary school teacher’, and‘elementary school’keywords had a high frequency in both periods. On the other hand, as teacher keywords for a specific subject, ’English’and‘science’teacher keywords were identified before COVID-19, and ‘Korean’,‘science’, and‘career’teacher keywords appeared after COVID-19. Regarding school keywords, only‘elementary school’showed up before COVID-19, while after COVID-19, various school keywords such as‘high school’,‘vocational high school’,‘middle school’, and‘innovative school’ were found. Seventh, as a result of comparing competency keywords that appeared at least five times before and after COVID-19,‘teaching competency’,‘creativity’, and‘communication competency’were the keywords with a frequency of more than 10 times in both periods. Meanwhile,‘digital literacy’,‘TPACK’,‘career development competency’,‘media literacy’, and‘play support competency’ were keywords tha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or appeared more than 10 times since COVID-19. Among them, to identify competency words directly related to the COVID-19, words connected and located close to the‘COVID-19’keyword were searched for on the network map in the post-COVID-19 period. As a result,‘digital literacy’,‘media literacy’, and‘TPACK’were found to have a high relevance to the COVID-19 keyword.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conclusions on‘the research trend of teacher competency’and‘teacher competency in the post-COVID-19 era’were drawn. First, regarding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teacher competency, the number of studie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subtopic tended to be diversified. Also, studie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y have been closely conduct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re were many cases mainly target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nally, it was found that academic interest in competency of career, special, and cultural education was high in relation to teacher competency. Next, summarizing the conclusions on teacher competency in the post-COVID-19 era, it was found that‘teaching competency’,‘communication competency’, and‘creativity’are still important topics in teacher competency research regardless of the occurrence of COVID-19. Meanwhile,‘digital literacy’,‘media literacy’, and‘TPACK’were newly emphasized in the research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still important and newly required teacher competency by comparing academic discussions on domestic teacher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This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to arrange core competency standards for teachers considering the trend of the times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valuable in that it comprehensively grasped the research on domestic teacher competenc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confirmed its trends and characteristic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fter tha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examine in more depth the trends and detailed competency elements of the teacher competency research using more sophisticated refinement and analysis techniq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