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9 Download: 0

태국인 학습자의 텍스트의 완성도와 한국어 응결 장치 사용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태국인 학습자의 텍스트의 완성도와 한국어 응결 장치 사용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ext Quality and the Use of Korean Cohesive Devices by Thai Learners
Authors
Phengsomboon, Chanamas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텍스트 완성도와 응결 장치 사용의 상관관계를 살피고 텍스트의 완성도에 따른 응결 장치 사용을 관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응집성 (cohesion)은 문법적, 어휘적 응결 장치의 사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동안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다각도로 진행해 왔는데 한국어 응결 장치 사용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는 미비하였다. 또한 한국어 응결 장치 사용이 텍스트의 완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핀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텍스트의 완성도와 응결 장치 사용의 상관관계와 함께 텍스트의 완성도에 따른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어 텍스트에서 사용한 응결 장치 사용을 관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중ꞏ고급 태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은 작성한 작문의 점수에 따라 하위 집단 학습자, 상위 집단 학습자,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 총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영어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의 완성도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과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응결 장치 사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텍스트의 개념, 텍스트성, 응결 장치의 개념, 응결 장치 분류, 그리고 텍스트의 완도성을 판단하는 기준 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다루었다. 텍스트성, 응결 장치 분류 등에 대한 견해는 학자마다 다양한데 본 장에서 그러한 견해와 입장을 정리하여 연구자의 입장을 밝히면서 본 연구의 실험에서 사용될 분석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방법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험 도구로 사용될 쓰기 과제를 설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 실험 단계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실험에서 사용될 실험 도구를 수정하고 텍스트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기준도 채점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에 참여한 태국인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예비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본 실험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다루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실험 도구를 통해 수집된 작문 자료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 참여자의 텍스트의 완성도와 응결 장치 사용의 상관관계와 함께, 텍스트의 완성도에 따른 응결 장치 사용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텍스트의 완성도와 응결 장치 사용의 상관관계, 응결 장치 사용 빈도, 응결 장치 오류, 그리고 응결 장치의 다양성을 분석하였고, 본 장에서 모든 분석 결과를 순서대로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텍스트의 완성도와 응결 장치 사용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응결 장치 사용 빈도, 사용 오류, 그리고 다양성 혹은 사용된 유형의 수는 텍스트의 완성도와 통계적으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결 장치 사용은 텍스트의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완성도에 기여하는 요인은 응결 장치 외에도 다른 요인이 있으므로 응결 장치 사용만으로 텍스트의 완성도를 예측하거나 보장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에 관한 대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하위 집단 학습자, 상위 집단 학습자,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텍스트에서 각각 5.4어절, 5.9어절, 그리고 7.0어절마다 응결 장치가 1회로 사용되었다. 응결 장치 사용 오류를 보았을 때는 하위 집단 학습자, 상위 집단 학습자,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텍스트의 순으로 응결 장치 오류가 제일 많이 발견되었다. 마찬가지로 텍스트에서 사용된 응결 장치의 유형의 수도 하위 집단 학습자, 상위 집단 학습자,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순서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응결 장치 사용을 보았을 때 지시의 응결 장치의 경우, 모든 집단에서 주제 1에서 ‘이’ 계열의 지시의 응결 장치가 더 많이 사용되었고, 작문 주제 2에서 ‘그’ 계열의 지시의 응결 장치가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지시의 응결 장치 사용은 주제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대용의 응결 장치는 사용 빈도 측면에서 ‘이’ 계열과 ‘그’ 계열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모든 집단에서 ‘그’ 계열의 대용보다 ‘이’ 계열의 대용을 선호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 집단은 앞에 나온 내용을 대명사 ‘이’보다 대명사 ‘이것’을 더 많이 사용한 반면에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은 반대 사용 양상을 보여주었다. 접속의 응결 장치와 관련하여 모든 집단에서 ‘첨가’, ‘원인’, 그리고 ‘조건’의 의미 기능을 가진 응결 장치의 순서로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휘적 응결 장치의 사용 빈도를 보았을 때 모든 집단이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동일어로 일반적으로 주제와 관련된 핵심어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5장은 본 연구의 결론이다. 본 장에서 4장에서 제시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 텍스트의 완성도를 예측하거나 보장할 수 있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또한 응결 장치의 사용이 텍스트의 완성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xt quality and the use of Korean cohesive devices by Thai learners and to investigate the use of such devices according to text quality. Cohes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form textuality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use of grammatical and lexical cohesive devices. Up to the present, studies on Thai learners of Korean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reas, but studies related to the use of Korean cohesive devices are rare. In addition, to the best of my knowledge, there has not yet been research on how the use of Korean cohesive devices affects the quality of the text produced by Thai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 of cohesive devic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text, alo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the text and the use of cohesive devices by Thai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In order to observe the use of cohesive devices by Thai learners of Korean in written text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n experiment in which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er group learners, upper group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ir writings. Chapter 1 examines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quality of English text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use of Korean cohesive devices by foreign learners and presents research problems. Chapter 2 deal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text and textuality, the concept of cohesive devices, the classification of cohesive devices,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text quality. Opinions on textuality and cohesive device classification vary from scholar to scholar, and this chapter summarizes those views and presents the researcher’s view, setting up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Chapter 3 deals with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s, a preliminary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al stage, the data collection tools to be used in the actual experiment were revised, and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ext quality were also amend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corers. Chapter 3 also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group of Thai learners and the group of Native Korean speak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well as presents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and discusses how the findings c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experiment. Chapter 4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written text data collected using the experimental tools presented in Chapter 3.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opics analyzed and discussed in this chapter compris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quality and the use of cohesive devices, the use of cohesive devices themselv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ext, the frequency of use and usage errors of cohesive devices, and the variety of cohesive devices. With regard to Research Question 1, which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ext quality and the use of cohesive device use,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frequency of cohesive device use, errors, and the type counts of cohesive devices used are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ext quality. However,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cohesive devices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the text; as there are other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the text, the use of cohesive devices alone cannot predict or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text. As for Research Question 2, which aims to investigate the use of cohesive devic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text, the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frequency, errors, and the number of types of cohesive devices us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hesive devices were used once every 5.4 words, 5.9 words, and 7.0 words, respectively, in the texts of the lower group learners, upper group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Errors o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were found most in the texts by the lower group learners, followed by the upper group learners and the Native Korean speakers. Similarly, the number of types of cohesive devices used in the texts was also found to be largest among the lower group learners, followed by the upper group learners and the Native Korean speakers. In the case of reference cohesive devices, all groups of participants used ‘i gyeyeol(이 계열)’ more in Text Topic 1, but used ‘geu gyeyeol(그 계열)’ more in Text Topic 2. Accordingly,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use of reference cohesive devices varies according to the topic of the text. As for substitution cohesive devices, the use of ‘geu gyeyeol(그 계열)’ was found more than the use of ‘i gyeyeol(이 계열) in both topics across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the learner groups used the pronoun “i-geot(이것)” more than the pronoun ‘i(이)’, while the Korean native speaker group showed the opposite usage pattern. Concerning the cohesive devices of conjunction, it was found that all groups used the cohesive devices that denote the meaning of “addition”, “cause”, and “condition”. Finally,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use of lexical cohesive devices, the most frequently used by all groups was “same word,” which was generally repetition of the key words related to the topic. Chapter 5 summarizes the experimental results presented in Chapter 4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ion on what factors can predict or guarantee text quality in future studies and how to use cohesive device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text will prove benefic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