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3 Download: 0

한국과 중국의 노인주거복지시설에 관한 법제적 고찰

Title
한국과 중국의 노인주거복지시설에 관한 법제적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welfare hou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China and Korea
Authors
Jin, Na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승원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And nowadays,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s also gradually shifting to the nuclear family, which has led to a gradual change in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is phenomenon makes the issue of elderly care no longer just a family issue, but society and government should also take more responsibility. The issue of elderly care is a social problem that is branching out from the “population ageing”, and the government has the obligation to solve this livelihood problem. Social welfare refers to the system or program that offers assistance to individuals and families in need.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ho have difficulty living alone without care due to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physical illness, elderly care service guided by institutional care are needed. Considering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e current needs of the elderly,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ich provide centralized housing an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heir daily lives, has become significant. China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in 2021 and is expected to enter the Post-aged Society in 2031.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population ageing, a series of policies on elderly welfare facilities have been introduced since 1999, and government support has been strengthened. However, the lack of legal basis for senior welfare facilities has led to many problems i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and the solution to these problems must be reformed at the legislative level. In 1981, Korea enacted the Welfare of the Aged Act, which aims to contribute to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elderly by preventing or detecting diseases in the elderly at an early stage, maintain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rough appropriate treatment and recuperation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taking necessary measures to promot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elderly. Article 32 of the Act divides the types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to elderly facilities, family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nd elderly welfare residences. In addition, since 2000, Korea has been steadily promoting various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to address the problems of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to ensure a comfortable life for the elderly and to strengthen social welfare policies on the elderly. Compared to Korea, China enacted the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Elderly on August 29, 1996, through the 21st meeting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8th National People's Congress, which came into force from October 1, 1996. Although this law provides for provisions o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Chapter 4 Social Services,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as well as classification, so there is a need for clearer provisions o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rom establishment to supervision. According to the "Basic Standards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 for the Aged" issued by the Ministry of Civil Affairs in February 2001,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are classified as Social Welfare Institution for the Aged. Homes for the Aged, Homes for the Device-aided Elderly, Hostels for the Elderly, Nursing Homes,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s, Nurseries for the Elderly, and Centers of Service for the Elderly. Although there are many types of facilities, there is no specific legal definition and basis for each facility, and a lack of corresponding standards from establishment to supervision and management. There should be rules and regulations for priority admissi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professional staff, and service personnel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residents, and hardware facilities and conditions for different facilities, etc. Legal basis should be further implemented. Because of the imperfect regulations, it will hinder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elderly housing and welfare facilities and will also affect the inconvenience of busin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all these reasons will make it difficult to implement the elderly housing and welfare policies. In this paper, we consider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s a solution to the needs of the elderly in view of the population ageing problem. By analyzing the legal basis and the main purpose of the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China and Korea, we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summarize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laws on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China, and propose corresponding improvement suggestions and prospects based on the experience of Korea combined with the appropriate parts of China.;오늘날 의학기술의 발전과 삶의 질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고령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핵가족화로 인해 전통적 가족구조인 대가족제도가 변화를 맞게 되면서 고령자에 대한 부양의식은 저하되고 있다.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가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는 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고령화로 인한 노인부양의 문제는 오로지 가족의 책임만이 아닌, 사회적·국가적 책임이라는 점에 대한 인식도 확대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가족기능의 약화와 핵가족화 현상이 사회와 가족으로부터 소외되는 노인인구의 증가로 나타남에 따라 노인부양이 국가적인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노인부양 문제는 변화되는 환경 속에서 나타난 사회적 문제인 만큼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서비스는 도움이 필요한 국민에게 정상적인 사회생활의 가능하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노인의 경우 경제적 수입의 한계와 노령으로 인하여 혼자 거주하기 어렵거나 가정에서 부양받기 어려운 처지에 있을 때는 시설보호 중심의 서비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노인에게 가정을 대신하여 주거를 포함한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중요성이 부각되게 된다. 2021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중국은 2031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급속도로 증가하는 노인인구와 그로 인한 노인부양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1999년부터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일련의 정책을 실행해왔으며 정부 지원의 실효성 또한 꾸준히 강화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법적 근거나 공공부문의 준비가 미흡하여 전반적인 설치·운영부터 관리·감독까지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노인주거복지시설은 노인주거의 하나의 대안으로서,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설치·운영 기준, 관리·감독, 시설평가 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이 필수적이며 이를 뒷받침할 법제정비의 중요성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1981년에 한국은 「노인복지법」을 제정하였으며,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법 제1조에서는 노인의 질환을 사전예방 또는 조기발견하고 질환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요양으로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노후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노인의 보건복지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동법 제32조는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종류를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설치·운영, 관리·감독, 사업자에 대한 처벌 규정 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 2000년부터 고령화사회에서의 노인문제를 대비하고 노인의 안락한 생활과 사회복지의 증진을 보장하기 위해 각종 노인복지정책을 꾸준히 추진해오고 있다. 반면, 중국은 1996년 8월 29일 제8차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21차 회의를 통해 헌법을 근거로 《노인권익보장법》이 통과되었으며 1996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이 법은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규정을 제4장 사회서비스에서 규정하고는 있지만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조직체계를 규정한 것은 아니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종류도 따로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2001년 2월에 민정부가 공포한 《노인사회복지기구 기본규범》에 의거하여 양로기관(養老機構)를 노인사회복지원(Social Welfare Institution for the Aged), 양로원(Homes for the Aged), 호노원(Homes for the Device-aided Elderly), 노인아파트(Hostels for the Elderly), 호양원(Nursing Homes), 경로원(Homes for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s), 탁로소(Nursery for the Elderly), 노인서비스센터(Center of Service for the Elderly) 등 8개로 분류하고 있다. 시설은 다양하지만 매개 시설에 대한 구체적 법적 정의 및 분류에 대한 근거가 없으며, 설치·운영에서도 구체적인 기준이 없다. 다만 《노인권익보장법》에서는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우선적 입소 대상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점, 설치·운영에 관련해서는 명칭·주소·정관을 구비하고, 서비스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자금과 전문 관리인력과 서비스 인원의 수를 충족한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규정한 바가 있으나, 시설마다 전문인력에 대한 배치는 어떠한 기준으로 할 것인지, 법에서 규정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어떠한 시설이나 설비조건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관한 세부적인 규정 사항이 없다. 따라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세부 규정의 미비는 노인주거복지시설에 관련 사업의 추진과 정비에 있어서 중앙과 지역간의 업무상의 불편을 일으킬 수 있으며 노인주거복지 실현을 통한 사회통합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노인문제에 직면하여 한국의 노인주거복지시설 관련 법제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중국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