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가족관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족관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Gender
Authors
황세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사회복지영역에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가 공동으로 수집한 [제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의 원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65세 이상 2,464명의 노인을 표본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Hayes(2018)가 제안한 SPSS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여 자아존중감이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가족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졌다. 배우자 관계와 자녀 관계로 나누어진 가족관계의 두 경로 모두 여성 노인보다 남성 노인의 간접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남성 노인이 여성 노인보다 자아존중감을 통해 높은 삶의 만족도를 인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 만족도와 노인의 삶의 만족도 사이에 양적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노인세대의 삶의 만족도 개선을 위해 가족관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안과 공적 제도의 마련을 제시하였다. 둘째, 배우자와 자녀와의 유대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자아존중감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노년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환경적 변화 속에서 정확한 인식과 수용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함양으로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을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과 결합한 형태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제시하고, 지역 기관을 활용해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사회적 구조가 만들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세분화된 가족관계 유형에서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성별에 의해 조절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성 역할 변화에서 영향을 받은 결과로써 추정해볼 수 있으며, 간접효과의 영향력이 노인의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듯 실천적 개입 및 노인복지 정책 수립에서 성인지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를 배우자 관계와 자녀 관계로 세분화하여 경로별 영향력을 검증하고, 성별 차이에 초점을 두고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에서 가족관계와 노인의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본 연구결과는 노인세대의 삶의 만족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gender in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to derive implications in the social welfare sphere. This study analyzed the original data, [16th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a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jointly collected. A sample of 2,464 elderly people, who are 65 years or older and whose responses indicated that they have a spouse and children, was used. A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28.0 program. To examine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the Process Macro of SPSS that Hayes(2018) proposed was us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elationship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hig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leads to high elderly life satisfaction. Second, elderly self-esteem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Higher satisfaction with spouse relationship and child relationship leads to higher self-esteem. As self-esteem increases,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well, so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effect that family relationship affect life satisfaction, where self-esteem mediates, gender ha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both paths, spouse relationship and child relationship, which are sub-types of family relationship, the indirect effect among male elderly was stronger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The result indicates that elderly males with highe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perceive higher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than older females. The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present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program that may improve the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and, related public systems. Second,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cognition of self-esteem, form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and children. The elderly experience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making efforts to cultivate self-esteem and create high life satisfaction through accurate recognition and acceptance is necessary. In this vein,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engrafted upon a family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and proposed that a robust social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can be enhanced by utilizing local institutions.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at self-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amily relationship subtypes; the result that the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as regulated by gender was obtained, which is assumingly influenced by the changes in gender roles in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 that the influence of indirect effects showed different patterns per gender, this study suggested that a gender-sensitive approach is needed in practical inter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This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because it subdivides family relationships into spouse and child relationship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ach path, and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y focusing on differences caused by gender and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he findings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sum,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elderly life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