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5 Download: 0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Diagnosed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Authors
강민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faced by children living i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erein art therapy is used to develop their expressive skills after being diagnosed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and explore the experiences of its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children living in special facilities and children diagnosed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May 7, 2022 to July 23, 2022, a total of twelve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1-2 times a week and for 60 minutes each. The goal of this therapy was to help these children experience emotional relax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sensory stimuli, self-awareness, and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and to provide them with a sense of psychological fulfillment and achievement through appropriate media and activities, ultimately developing their abilities to express themselves. Art therapy sessions were subsequently organized around these goals. Data collection was then performed through interviews with those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nd teachers in charge of general life at the institution wherein the research participants lived. Recorded files and verbatim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sessions prior to art therapy were also used, alongside images of relevant art works and the participants’ clinical journals for each session. For data analysis, an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process was reviewed repeatedly, and the meanings included in the participants' significant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ere analyzed through a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a total of 4 predominant themes and 10 sub-topics were derived. These predominant themes included , , , and . Taking into the accoun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n what kind of experience children living in the facilities diagnosed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earn from the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 expansion of their linguistic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capabilities by visualiz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e course of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Second, in the course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succeeded in recognizing themselves in social relationships by way of symbolic expression; the learning of social support systems; and the experiencing of positive interactions. Third, the participants expressed and satisfied their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needs through art therapy, which contributed to the self-recognition of their strength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self-image. In summary, this study provided emotional stability and the opportunity for self-expression to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way of art therapy. Participants were able to recognize and express themselves, while forming positive self-images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children were able to flexibly accep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freely express themselves; and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s. Art therapy served as a useful means by which to develop the capacity of self-expression in children diagnosed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helped promote appropriate self-expression skills by facilitating their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their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이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장애인 시설에 거주 중인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아동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5월 7일부터 2022년 7월 23일까지 주 1~2회, 60분씩, 총 12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목표는 정서적 이완 및 감각 자극, 자기인식 및 자기표현의 기회를 경험하는 것이며, 적절한 매체와 활동 경험을 통해 심리적 충족감과 성취감을 경험하게 하여 자기표현을 증진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가 거주하는 기관 담당 사회복지사와 생활 담당 선생님과의 면담 자료, 참여자의 미술치료 전 회기 녹음 파일과 축어록, 미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자료, 연구자의 회기별 임상일지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살펴보고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들을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의 주제와 10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상위 주제는 <비언어적 수단을 통해 미술치료에 대한 흥미와 기대감을 표현함>, <미술 작품을 통해 나를 바라봄>, <미술 활동이 주는 즐거움으로 나의 자원을 찾게 됨>, <미술치료 안에서 적극적인 수용과 만족감을 경험함>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이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시각화함으로써 언어적, 비언어적 자기표현이 확장됨을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는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상징적 표현을 통해 사회적 관계 안에서 자기를 인식하고 사회적 지지 체계를 탐구할 수 있었으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는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심리적, 발달적 욕구를 표출하고 충족함으로써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은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서 정서적 안정감과 자기표현의 기회를 경험하게 되었다. 아동은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안에서 자신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다양한 자기표현을 확장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아동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연하게 수용하고 자유로운 자기표현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미술치료가 중증 지적장애를 진단받은 시설거주 아동의 자기표현에 있어 중요한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었으며,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고 아동의 내적, 외적 자원을 강화함으로써 적절한 자기표현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