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3 Download: 0

한국어교육을 위한 감정형용사 유의어 변별 연구

Title
한국어교육을 위한 감정형용사 유의어 변별 연구
Other Titles
A Distinction Study on Emotional Adjective Synony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in terms of semantics, syntax, and pragmatics for ‘만족스럽다’
Authors
이원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differentiating the difference between synonyms of emotional adjectives in Korean. Among many adjectives, emotional adjectiv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because emotional expressions in Korean play a critical role in language education. As human communication involves the act of understanding one's own emotions and expressing them with appropriate vocabulary, this emotional expression research coincides with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Since the complex and abstract characteristics of emo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include various and diverse synonyms,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basic data otherwise it will be challenging to distinguish emotional adjectiv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revious studies used various methods to offset the limitation of the obvious circulation of definitions when dictionaries are used to distinguish emotional adjective synonyms. For example, an analysis of semantic components, co-occurrence, pragmatic analysis, and utilization of corpus were such methods. Among them, the co-occurrence analysis was mainly emphasized for syntactic distinction, and it was found that copious Korean emotional adjectives had not been sufficiently scrutinized yet. This study selected the emotional adjective, ‘만족스럽다’ as it has not been scrutinized properly while it carries an important posi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research subject. Also, the study tried to assume‘뿌듯하다, 흐뭇하다, and 흡족하다’to be its synonyms, and to distinguish between them in semantic, syntactic, and pragmatic aspects based on the corpus.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operated a semantic component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all four words showed a common quality of [만족함], and three words except '만족스럽다' shared the quality of [자랑스러움]. And ‘satisfied, proud, and pleased’ had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너그러움], [성취감], and [훈훈함], respectively. In the syntactic aspect, the study analyzed the noun co-occurrence relationship. It showed, '만족스럽다' is combined with the most diverse types of nouns, and '뿌듯하다' and‘흐뭇하다' stand out in harmony with emotional nouns and nouns indicating appearance, respectively, and‘흡족하다’shares the co-occurring nouns of the three vocabularies above. Lastly, in the pragmatic aspect, the study analyzed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corresponding vocabulary based on ‘event’ and ‘object’. '만족스럽다' was often matched with the context representing the outcome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event, and ‘뿌듯하다’was often matched with the context related to oneself or achievement assuming an event did not happen. ‘흐뭇하다’ was used in all contexts regardless of the event and object, and in the event context of '흡족하다', it showed the least match and showed characteristics that it was not used well in the context of achievement. Based on the distinctions described above, the study outlined the necessary aspect that teachers should cultivate as background knowledge and precautions when selecting example sentences for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aithfully served the role as basic data by providing educational example sentences for each vocabulary after synthesizing them. This study can be seen as a reliable basic study as it dealt with differences in semantic, syntactic, and pragmatic aspects using three corpora.;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감정형용사의 유의어 간 차이를 변별하여 한국어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여러 형용사 중에서도 감정형용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 한국어교육에서 감정표현을 교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의사소통에는 나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적합한 어휘로 표현하는 행위가 수반된다. 즉 이와 같은 감정표현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라는 한국어교육의 궁극적 목표와 일치하는 것이다. 특히 복합적이고 추상적인 감정의 특성과 유의어가 많다는 한국어의 특징으로 인해 감정형용사를 변별하여 교수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기초자료를 꾸릴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감정형용사 유의어 변별에 사전을 활용할 경우 정의의 순환이라는 한계에 봉착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자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의미성분 및 공기관계 분석, 화용적 분석, 말뭉치 활용 등이 그 예이다. 여러 방법 중에서도 공기 관계 분석을 통한 통사적 변별을 중시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아직까지 무수한 한국어 감정형용사가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지금껏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고 한국어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감정형용사‘만족스럽다’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뒤‘만족스럽다’류로 간주할 유의어‘뿌듯하다, 흐뭇하다, 흡족하다’를 상정하였으며, 말뭉치를 토대로 이들의 차이를 의미적, 통사적, 화용적 측면에서 변별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의미적 측면에서는 의미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 어휘 모두 [만족함]이라는 공통자질을 발견할 수 있었고,‘만족스럽다’를 제외한 세 어휘는 [자랑스러움]이라는 자질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리고‘만족스럽다, 뿌듯하다, 흐뭇하다’는 각각 [너그러움], [성취감], [훈훈함]이라는 변별자질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통사적 측면에서는 명사 공기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만족스럽다’는 가장 다양한 종류의 명사와 결합한다는 점, 그리고‘뿌듯하다’와‘흐뭇하다’는 각각 감정명사, 겉모양을 가리키는 명사와의 어울림이 두드러진다는 점, ‘흡족하다’는 상기 세 어휘의 공기명사를 두루 공유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화용적 측면에서는‘사건’과‘대상’을 기준으로 해당 어휘의 상황 맥락을 분석하였다. ‘만족스럽다’는 사건의 의도성에 관계없이 결과를 나타내는 맥락과 자주 어울리고, ‘뿌듯하다’는 어떠한 사건을 가정할 때, 그리고 자기 자신 또는 성취와 관련한 맥락과 자주 어울리고 있었다. ‘흐뭇하다’는 사건과 대상을 가릴 것 없이 여러 맥락에서 두루 쓰였고, ‘흡족하다’는 사건 맥락의 경우 가장 적은 영역과의 합치를 보였으며 성취를 대상으로 하는 맥락에서 잘 쓰이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같은 변별 결과를 토대로 교사가 배경지식으로 함양해야 할 부분, 예문 선정 시 주의 사항 등을 교육적 함의에 기술하였고 이들을 종합해 각 어휘의 교육용 예문을 제공함으로써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말뭉치를 활용해 의미, 통사, 화용적 측면에서 차이를 다룸으로써 충실한 기초 연구라 볼 수 있다. 또한 감정형용사 유의어 변별을 수행한 선행연구에서 연구 대상 선정 이유와 과정을 상세히 밝히지 않은 점을 보완한 데에도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