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한업-
dc.contributor.author박재윤-
dc.creator박재윤-
dc.date.accessioned2022-09-05T16:30:59Z-
dc.date.available2022-09-05T16:30:59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OAK-00000018501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50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260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solution for community interpreting in Korea through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mediation. This study started with this problem the researcher had mind was approached directly through the intercultural lens in the field of community interpreting. The study has three purposes as follows. First,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practice of community interpreting, analyze the current institutional aspects, and to clarify the specificity different from that of international conference interpreting through experience analysis of community interpreters and public service providers. Second, it attempts examine the ma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ity" and "intercultural mediation" that are distinct from existing interpreting in the area of community interpreting using various perspectives and names around the world through European cases of intercultural mediation for migrants and refugees. Third, an improvement plan is proposed for community interpreting that considers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mediation by synthesizing policies and support accompanied by the culture of minority language speakers and the awareness of the intercultural society of indigenous residents. As of July 1, 2020, about 3.6% of the world's population has left their familiar cultural spaces and moved to unfamiliar ones. Such people who have migrated to other countries are not familiar with societal languages and cultures and need social support including interpretation from the local people at least for the first few years. From this point of view, providing interpretation for migrants who have come to live in other countries other than their birth countries can be seen as a process of not only connecting migrants and local residents and but also helping them to have access to public services in the countries. From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the concepts of cultural diversity, language human rights, and social integration become particularly important. Providing community interpreting service is related to public services provided in the countries which include legal service, medical care, and education. In many cases, it is also related to human rights and culture, including refugee application procedures, legal interpreting, and medical interpreting at hospitals. However, most interpreters who help migrants including refugees do not receive training for interpreting, and unregistered vestablish a system for stable services. Although providing services and language communication in the public domain at the level of members constituting a society should be deeply considered in terms of policy, the reality is that they are still lacking institutionally and cognitively. In the research method,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ty interpreting were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xisting multicultural society were reviewed to define concepts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ommunity interpreting. Literature review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overseas cases, focusing on traditional immigration countries and european immigration countrie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preceded their concerns in the field of refugee interpreting. Through this, cases that can be reference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find out what preparations are needed in the case of Korea, which is classified as a late immigrant country. In addition, in the stage of establishing a survey plan, the survey items were designed and surveyed, and the experiences of stakeholders such as legal services, medical care, and social welfare in communities with various interpreters and nationalities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Through this, the phenomenal nature of community interpreting in the public service field was designed to be reveal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concept and practice of intercultural mediation in Europe were analyzed, and finally,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in terms of institutional education to move community interpreting with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mediation in a better direc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ourism interpreting for tourists was found to be systematically well-organized in Korea, but community interpreting for migrants was mainly focused on fostering marriage immigrants and translators, and medical interpreting was also mainly for tourists from a medical tourism perspective. Refugee interpreters were worse, so there were many cases where volunteers or uneducated interpreters were provided. Research centered on current judicial interpreting and legal interpreting has been expanded from community interpreting, which requires more social attention, confirming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support in this area from a broader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Community interpreting is macroscopically at the forefront of social integration, an area of protecting language human rights, that supports minority language users' access to public services, and a venue for intercultural mediation on differences that may arise from meetings between different culture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three things were particularly emphasized regarding community interpreting. First, the perspective of publicity is important as an area that requires social interest and institutional establishment, not just a problem for the local community. Second, since it is a three-way(trialogu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rocess in which interaction is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mmunication in situations where community interpreting is a co-constructing process, not just monopolized by interpreters. Third, the basic principles of intercultural mediation along with accuracy, neutrality, and confidentiality of interpreting ethics are needed in the TIME project, which presented intercultural mediation for Europe with the support of the European Council, and CRPC, which presented intercultural mediation for refugee protection. Final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terpreters and public service providers, problems in community interpreting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areas: non-professionality, role boundary ambiguity, cultural differences, asymmetry of powe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ltruism, improvisation, and urgency.;본 연구는 연구자 본인이 상호문화렌즈를 통해 난민 이주민을 위한 통역의 현장인 지역사회통역에서 마주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지역사회통역의 개념과 실제를 파악하고, 현 제도적 측면을 분석하고 실제 지역사회통역의 이해관계자들인 통역인과 공공서비스제공인들의 경험 분석을 통해 국제회의통역과 다른 특수성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관점과 이름으로 불리는 지역사회통역의 영역에 대해 기존의 통역과 구분되는 ‘공공성’과 ‘상호문화중재’의 주요 개념과 특징들을 유럽의 이주민과 난민을 위한 상호문화중재 실천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소수언어 사용자들의 문화와 그들을 바라보는 선주민들의 인식이 만나는 접점으로서의 지역사회통역에 대해 상호문화중재 개념이 동반된 정책과 지원들을 종합하여 제도적 교육적 측면의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020년 7월 1일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는 약 77억 9,480만 명이고, 그중 약 2억 8,060만 명이 자신의 출생 국가가 아닌 타국에 살고 있다. 이 수치는 전 세계 인구의 약 3.6%가 자신들에게 익숙한 문화 공간을 떠나 낯선 문화 공간으로 이주해 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타국에 사는 사람들은 현지 언어와 문화에 익숙하지 않기에 적어도 수년 동안은 다른 사람의 통역 및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주민을 위한 통역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주민과 선주민을 연결하고, 이주 사회의 공공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상호문화 관점에서 지역사회통역을 살펴보면 문화다양성, 언어인권, 사회통합의 개념이 특히 중요해진다. 지역사회통역은 법률, 의료, 교육과 같은 국가에서 제공되는 공적 서비스와 연관되고, 난민신청 절차나 사법통역, 병원에서의 의료통역 등 인권과 문화가 관련된 건이 다수이다. 하지만, 난민을 포함한 이주민을 위한 통역에 대해서는 대부분 통역 교육을 받지 않거나, 간단한 기초교육만으로 양성된 통역인이나 미등록 통역인들이 통역하는 일이 다수이고 자주 담당자가 바뀌는 등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한 체계의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회구성원의 차원에서 그리고 인권의 차원에서 공적 영역의 서비스 제공과 언어소통은 정책적으로 깊이 고려가 되어야 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도적으로, 인식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장에서 연구의 배경을 언급하고, 목적과 방법 그리고 연구 범위를 제시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계를 제시하며 연구의 방향성을 언급한다. 제3장에서는 지역사회통역의 개념과 실제를 다루며 기존 통·번역의 이론들과 국제표준기구인 ISO가 제시하는 지역사회통역에 대한 개념과 논의들을 살펴보고, 연구 대상으로서의 지역사회통역의 개념을 명시한다. 지역사회통역의 국외현황과 국내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지역사회통역의 제도적 측면과 교육내용 등을 확인한다. 제4장에서는 지역사회통역의 심층적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국내 이주민을 위한 지역사회통역의 현장에서 활동하는 통역인과 공공서비스제공인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한 내용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지역사회통역에서의 주요한 사항들과 의미들을 정리해본다. 제5장에서는 상호문화중재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고, 상호문화중재를 실행하는 상호문화중재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기존의 지역사회통역과 상호문화중재 개념을 명확하게 파악해본다. 또한, 기존의 접근법과는 다른 상호문화관점에서의 지역사회통역을 유럽의 상호문화중재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 점차 다문화사회와 이민 사회로 나아가는 한국 내 이주민을 위한 통역에 있어서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통역이 가지고 있는 함의를 통해 어떠한 정책과 교육적 제도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는지 사회적 인식 형성을 위해 어떠한 노력과 개선이 필요한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제6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상호문화중재의 개념을 도입하여 개선해볼 수 있는 한국의 지역사회통역을 위한 제도적, 교육적 개선안을 제시해본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면, 연구계획수립 단계에서는 지역사회통역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기존의 다문화사회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개념 정의와 함께 국내 지역사회통역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미 다문화사회를 겪고, 이러한 난민 이주민 통역의 영역에서 고민을 선행한 전통이민국가, 선발이민국가를 중점으로 국외사례를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후발이민국가로 분류되는 한국의 경우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알아보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계획 수립의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 설계 및 연구참여자를 검토하였고, 난민을 포함한 이주민들을 위한 공공서비스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령, 성별, 국적이 다양한 통역인과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에서 법률, 의료, 사회 복지와 같은 곳에서 활동하는 이해관계자들의 경험을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고 지역사회통역이 지니는 주요 개념을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영역에서의 지역사회통역의 현상적 본질이 다각적 관점에서 드러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유럽의 상호문화중재 개념과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지금의 상황에서지역사회통역이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안을 제도적 교육적 측면에서 제언해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제도적으로 한국의 경우 통역인 양성과 인증에 대해 잠시 머물다가 떠나갈 관광객을 위한 관광통역의 경우는 잘 정비되어 있었으나, 정작 함께 정착하여 살아갈 이주민을 위한 지역사회통역의 경우는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통역의 경우 주로 결혼이민자 통·번역사 양성에 맞춰져 있었고, 의료통역 또한 의료관광 관점에서의 주로 관광객을 위한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난민통역의 경우는 더 열악하여 자원활동가나 교육받지 않은 통역인이 진행하는 경우도 다수 있었다.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한 지역사회통역에서 지금의 사법통역, 법정통역 중심의 연구가 확장되어 보다 폭넓고 다학제적인 관점에서 본 영역에의 개선과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사회통역은 거시적으로는 사회통합의 최전선이고, 소수언어 사용자들의 공공서비스 접근을 지원하는 언어인권 수호의 영역이고, 서로 다른 문화 간 만남에서 발생 가능한 차이의 갈등에 대한 상호문화중재의 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통역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특히 강조하였다. 첫째, 지역사회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관심과 제도의 구축이 필요한 영역으로서 공공성의 관점이 강조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둘째,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대화통역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삼자 간 상호문화 의사소통의 과정이므로, 통역인만이 아닌 공공서비스제공인, 이주민 당사자 또한 지역사회통역이 공동구성과정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통역이 동반된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지원으로 진행된 다문화사회로의 유럽을 위한 상호문화중재 교육을 제시한 TIME(Train Intercultural Mediators for a Multicultural Europe)과 UNHCR의 지원으로 진행된 난민의 보호 차원에서의 상호문화중재를 제시한 CRPC의 안내서를 통해 사회적, 언어적으로 취약한 소수언어사용자들과의 통역 상황에서는 통역의 기본 윤리인 정확성, 중립성, 비밀보장과 함께 객관성, 공감, 비차별 또는 평등, 관용, 존중과 같이 통역의 기본 윤리와 공통되는 중립성과 비밀보장을 포함한 상호문화중재의 기본원칙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역인과 공공서비스제공인들의 심층 면담을 통해 지역사회통역에서의 문제점을 ① 비전문성 ② 역할 경계의 모호성 ③ 문화 차이의 갈등 ④ 권력의 비대칭성 ⑤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 ⑥ 이타성 ⑦ 즉흥성 & 긴급성으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① 전문교육과 인증제도 마련 ② 공동구성과정으로서의 협업 프로세스 ③ 상호문화중재 역량 강화 ④ 언어인권에 대한 상호문화감수성 향상 ⑤ 사회적 심리정서지원 확중 ⑥ 자기돌봄 역량 강화 ⑦ 통역인 풀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1 B. 연구의 목적과 범위 5 C. 연구 방법 7 II. 선행연구 고찰 9 A. 선행연구의 연구 동향 9 1. 국외 선행연구 9 2. 국내 선행연구 13 B. 선행연구의 한계 18 III. 지역사회통역의 이론과 실제 21 A. 지역사회통역의 이론 21 1. 통역의 개념 21 2. 지역사회통역의 개념 27 3. 국제표준화기구의 지역사회통역 34 4. 지역사회통역인의 역할과 역량 43 B. 지역사회통역의 현황 52 1. 국외현황 52 2. 국내현황 70 IV. 통역인과 공공서비스제공인 심층 면담 97 A. 심층 면담 개요 97 B. 심층 면담 분석 101 1. 통역인의 경험 분석 101 2. 공공서비스제공인의 경험 분석 123 C. 심층 면담 종합 165 V. 상호문화중재와 상호문화중재자 169 A. 상호문화중재의 개념 이해 169 1. 중재의 개념 169 2. 상호문화중재 개념 176 3. 상호문화중재 유형 179 4. 상호문화중재자의 역할과 역량 182 B. 유럽의 상호문화중재 사례 193 1. 이주민을 위한 상호문화중재 193 2. 난민을 위한 상호문화중재 199 VI. 한국 지역사회통역 개선 방안 205 A. 제도의 개선 206 B. 교육의 개선 213 VII. 결론 및 제언 224 A. 연구 결과 224 B.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27 참고 문헌 229 부록 250 부록 1. 통역의뢰인과 최종사용자를 위한 지침 사항 250 부록 2. 유럽의 국가별 상호문화중재 교육과정 251 부록 3. 연구참여 동의서 253 부록 4. 심층 면담 질문지 254 ABSTRACT 2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56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상호문화중재 개념을 통한 한국 지역사회통역 개선 방안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Interpreting in Korea through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Mediation-
dc.format.pagexi, 25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dc.date.awarded2022. 2-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