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Robert Schumann의 Carnaval, Op. 9에 관한 분석 연구

Title
Robert Schumann의 Carnaval, Op. 9에 관한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obert Schumann’s Carnaval, Op. 9 : focusing on continuity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원

임지연
Abstract
본 논문은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피아노 독주곡인 Carnaval, Op. 9에 관한 연구이다. 《카니발》(Carnaval, Op. 9)은 1835년에 작곡되었으며, 총 21개의 곡으로 철자를 이용한 4개의 음(A, S, C, H)을 사용하여 곡 전체에 통일성과 연속성을 부여한다. 본 논문에서는 슈만이 활동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본 뒤 스핑크스의 사용 및 조성적 측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카니발》(Carnaval, Op. 9)을 분석했다. 총 21개의 곡은 서로 긴밀한 연결성을 맺고 있다. 슈만은 이 곡을 잘 짜여진 연곡, 순환 형식으로 의도하고 디자인했다. 주요 조성은 A♭장조이나 다른 가까운 연계 조성들(딸림조 또는 나란한 조 관계)인 E♭장조, B♭ 장조, g단조, c 단조, C장조, f단조, D♭장조도 활용되어 전체적인 조성적 응집성을 이끌어 내었다. 많은 경우에, 연접한 악장들은 미해결 종지들, 반종지들에 의해 연결된다. 제6곡에서 미해결된 g단조 종지는 제7곡의 도입부에서 B♭장조로 해결되며, 제9곡에 가서야 같은 g단조 종지로 해결된다. 그리고 곡의 재현을 통한 연속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제1곡의 부분이 상당한 비중으로 제21곡에서 재등장하였으며, 제20곡은 제1곡의 부분을 완벽히 재현하였다. 그리고 제8곡은 제7곡의 주제를 그대로 사용한 변주이므로, 제7곡의 발전부같은 역할을 한다. 제17곡의 A 부분은 제16곡을 그대로 재현하므로, 제16곡과 제17곡은 ABA 3부 형식으로 된 하나의 악장으로 본다. 제17곡은 제15곡과도 템포와 짜임새에서 공통점들을 공유하므로 제15곡에서부터 제17곡까지 연결되는 하나의 그룹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슈만의《카니발》은 21개의 독립된 개별 곡들의 단순한 모음곡이라기보다는, 순환 형식의 연곡으로 간주된다. 제1곡과 제7곡의 형식은 본 논문에서 새로 제시한 분석이다. 그리고 제5곡과 제8곡의 형식 구성과 스핑크스 동기의 사용 여부는 기존 논문들의 다양한 견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Carnaval, Op. 9, a piano cycle by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Carnaval (Op. 9), written in 1835, is a total of 21 songs with four spelled notes motive (A, S, C, H) that give the entire work a sense of unity and continuity. This paper begin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of the early 19th century. The analaysis of Carnaval (Op. 9) focuses on the correlation and interconnection between the movements not only by the use of the sphinx motives abut also from the aspects of tonality. All 21 movements are correlated and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intended and designed by Schumann as a organized cycle. The principal key is A♭ Major to which the other used are closely related - E♭ Major, B♭ Major, g minor, c minor, C Major, f minor, and D♭ Major. The use of those closely related keys(dominant or relative keys) resulted in overall tonal coherence. In many cases, the adjacent movements are connected by incomplete cadences and half cadences. The unresolved final g minor chord of the sixth movement is resolv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seventh movement to B♭ Major chord, and has not been resolved to g minor until the ninth movement. In addition, you can see the continuity through the reappearance of the preceding section or movement. The section of the first movement reappears in the Final movement as well as in the 20th movement. Since the theme of the seventh movement of the eighth movement reappears, the eighth movement seems like a short variation of the seventh movement, functioning as a development. Since part A of the 17th movement is a reuse of the 16th movement, the two movements are combined and regarded as a ternary form in ABA. The 15th and 17th movements share several commonalities, so that a group of variations from the 15th through the 17th movement results. Schumann’s Carnaval is thus regarded as a cycle instead of a mere collection of independent pieces. This paper present the new opinion on the form of the first and seventh movement, whose analysis is different form the existing studies. Due to significant disparities and controversies on the matter of form of the fifth and eighth movement and also the use of the Sphinx, this paper employs comparative analy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