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부모의 의도적 통제,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Title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부모의 의도적 통제,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Other Titles
Infant’s Negative Emotionality, Parents’ Effortful Contro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Problem Behavior
Authors
임승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Belsky의 자녀 양육 과정 모델(A process model of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1984)을 기반으로 하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부모의 양육행동의 관계에 대한 부모의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또한 차별적 민감성 모델(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1997, 2005)을 이론적 틀로 하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자녀 양육 과정 모델의 경우 유아의 개인 내적 요소인 부정적 정서성과 부모의 양육행동을 상관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차별적 민감성 모델의 경우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부모의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독립적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이론의 모두 검증해보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만3~5세 자녀를 둔 205명의 어머니와 143명의 아버지로 질문지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척도는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EAS 기질 척도를(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Temperament Survey for Children-Parental Ratings, EAS) 박수연(2013)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부모의 의도적 통제는 Rothbart 등(2000)이 성인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Short Form(ATQ-SF) 중 의도적 통제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배윤진과 임지영(2012b)이 번안한 척도로 측정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Park, Belsky, Crnic와 Putnam(1997)과 이미정(1997)의 연구를 참고하여 고은주(2003)가 제작한 어머니 양육행동 척도를 김은진(2009)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은 Achebach와 Rescola(2000)가 개발한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1.5-5를 오경자, 김영아(2009)가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한국판 유아행동평가 척도 부모용(K-CBC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2.0(IBM Co., Armonk, NY)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어머니의 통제적, 반응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가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가 조절하였다. 즉,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을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거부적 양육행동이 증가하는 정도를 완화시켰다. 둘째, 유아 부정적 정서성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의 관계에 대한 아버지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아버지의 통제적, 거부적, 반응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가 유의미하게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통제적, 거부적, 반응적 양육행동 증가하였으며,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가 낮을수록 통제적인 양육행동과 거부적인 양육행동이 증가하였고,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가 높을수록 반응적 양육행동 또한 증가하였다. 셋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거부적 양육행동이 유의미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이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즉,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문제행동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어머니의 반응적 양육행동이 높은 경우 유아가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정도를 완화하게 된다. 넷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아버지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반응적 양육행동에 의해 유의미하게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의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문제행동이 더 증가하는데, 이때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행동의 수준이 낮은 경우 유아가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정도를 완화시킨다. 본 연구는 Belsky(1997, 2005)의 차별적 민감성 가설을 일부 지지하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부모의 반응적 양육행동과 거부적 양육행동이 완화시킨다는 것을 검증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Belsky(1984)의 양육과정 모델을 기초로 부모가 유아에게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벗어나 유아의 개인적 특성인 부정적 정서성이 부모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방향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아직 국내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모의 개인적 특성인 의도적 통제가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며 부모의 개인적 특성 또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차별적 민감성 가설과 양육 과정 모델에 기초하여 어머니와 아버지를 함께 살펴보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부모의 양육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데 있어 부와 모의 내적인 통제의 영향이 다르다는 점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부와 모의 양육행동이 다르다는 점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 양육 과정 모델과 차별적 민감성 가설은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지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부모의 양육행동을 설명하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두 이론이 각각 경험적으로 일부분 지지되었음을 발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한 조기개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effortful control on an infant's negative emoti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on infant's negative emotionality and infant’s problem behavior based on Belsky's (1984, 1997, 2005) ‘A process model of determinants of parenting’ and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In the case of ‘A process model of determinants of par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negative emotionality and the parenting behavior is premised on th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negative emoti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is independ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both theori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48 mothers or fa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and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method. The negative emotionality scale of infants was measured using the EAS substrate scale developed by Buses and Plomin (1984) (Emotional, Activity, and Social Temperament Survey for Children-Parental Ratings, EAS) and translated by Park Soo-yeon (2013). Parents' effortful control scale was translated by Bae Yoon-jin and Lim Ji-young (2012b) on an scale of questions corresponding to effortful control among the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Short Form (ATQ-SF) developed by Rothbart et al. (2000) to evaluate adult temperament. For parental parenting behavior, Kim Eun-jin (2009) reconstructed the mother parenting behavior scale produced by Ko Eun-joo (2003) regarding the studies of Park, Belsky, Crnic, and Putnam (1997) and Lee Mi-jung (1997). Infant‘s Problem behavior of infants was measured using Child Beach Checklist (CBCL) 1.5-5 developed by Achebach and Rescola (2000) using Oh Kyung-ja and Kim Young-ah (2009) standardized for Korean children (K-CBCL).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IBM Co., Armonk, N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s research probl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negative emotion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effortful control did not moderate the effect of infant's negative emotions on mother's controlled and reac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effortful control moderated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s of infants on the mother's rejection of parent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hild's negative emotions, the greater the mother's rejection of parenting behavior. At this time, the higher the level of effortful control of the mother, the less the degree to which the rejection parenting behavior increas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ther's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negative emotions a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father's effortful control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effect of infant negative emotions on father's control, rejection, and responsive parenting behavior.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al parent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and rejected parenting behavior did not moderate the effect of infant's negative emotions on problem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s of infants on problem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ntrolled by the mother's reactive parent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the higher the child's problem behavior. At this time, At this time, when the mother's reactive parenting behavior is high, the degree to which the child exhibits problematic behavior is decreased.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ther parent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s of infants on problem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moderated by father's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and reac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s of infants on problem behavior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the father's rejection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hild's negative emotions, the higher the child's problem behavior. At this time, if father’s level of rejection behavior is low, the degree to which the child represents problematic behavior is decreased. This study partially supports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erif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problematic behavior decreased by parents' reactive parenting behavior and rejection parenting behavior. Based on Belsky's (1984) ‘A process model of determinants of parenting’, it is meant that parents have deviated from relationships that unilaterally affect children and confirmed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with negative emotions, which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ffecting parents' parenting behavior.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at effortful control, a personal characteristic of parents that has not yet been studied in Korea, affects parent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that par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lso affect parenting behavior. Lastly, based on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and process model of determinants of parenting,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mother and father together and reveal that the influence of father and mother's internal control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negative emotions and problem behavior is different. In addition, these two theories explain the negative emotions and parenting behavior of infant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und that each of the two theories was partially supported empir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for mothers and fa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can be used as data for early intervention i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