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페미니스트들의 ‘번아웃’ 호소를 통해 드러난 강남역 이후 페미니즘 운동의 정치학
- Title
- 페미니스트들의 ‘번아웃’ 호소를 통해 드러난 강남역 이후 페미니즘 운동의 정치학
- Other Titles
- The Post-Gangnam Station Politics of the Feminist Movement through the “Burnout” syndrome
- Authors
- 이정연
- Issue Date
- 2022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여성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김은실
- Abstract
- 본 연구는 최근 1~2년 새에 강남역 이후의 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니즘 때문에 ‘번아웃(burnout)’을 느낀다고 호소하는 현상에 주목한다. 페미니스트들이 느끼는 여러 층위의 괴로움이 호소되는 기표인 ‘번아웃’의 내용을 들여다봄으로써 페미니즘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페미니스트 개인들의 삶을 어떤 조건에 놓이게 하며, 그로 인해 페미니즘 운동에는 어떤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지 포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에 ‘번아웃’을 느낀 적이 있는 페미니스트들의 구체적인 느낌과 경험, 이들이 호소하는 ‘번아웃’의 내용, 이들이 ‘번아웃’에 대응하는 과정을 들여다보았다. 연구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강남역 이후의 페미니스트들이 호소하는 ‘번아웃’은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 감정과 가라앉는 정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페미니스트들은 ‘번아웃’으로 인해 페미니즘에서 멀어지고 싶어 한다. ‘번아웃’의 배경이 되는 사회상은 가시화된 젠더 기반 폭력, 만연해진 반페미니즘과 여성혐오, 신자유주의적인 생존 불안이다. 이러한 배경은 물리적 위협, 낙인에 대한 공포, 사회적 관계 단절, 그로 인한 자원 상실과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두려움으로 작용한다. 페미니스트들은 어느 순간 자신이 기존에 꿈꾸던 진로를 더 이상 추구할 수 없고 페미니즘으로는 충분히 먹고살 수도 없음을 깨닫고 좌절한다. 이렇게 페미니스트이면서 기존 체제의 생존 경쟁에서 불리해져 괴로워하는 자기 모습을 페미니스트들은 모순으로 느낀다.
페미니즘 운동 내부에서 ‘번아웃’을 일으키는 구조는 크게 세 가지인데,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이질성을 위협으로 여겨 다양한 페미니즘들이 토론되기 어려운 상황, ‘완벽한’ 페미니스트의 틀에 맞추려는 자기검열, 페미니스트 공동체에서 페미니즘 이론에 기반을 둔 기대가 좌절되는 순간이다. 안전에 대한 갈망으로 인해 동질성이 중시되고 이질성은 위협이 되며, 공간별로 특정한 페미니즘 담론만이 통용된다. ‘래디컬’과 ‘교차’로 대표되는 ‘노선’ 구분은 서로를 죽일 수 있는 차이로 받아들여지고, 학계에서 사유되는 신자유주의적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 담론은 바깥으로 공유되지 못하며, 여성 청소년과 관련된 담론은 성인 여성의 시각에서만 논의된다. 실제로 페미니스트들은 노선에 비일관적인 모습을 보이고 서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다양한 견해를 갖지만, 그러한 페미니즘들은 수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페미니스트들은 더욱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며, 고통을 느끼지 않기 위해 사회적 관계를 끊고 물리적으로 공간을 이동한다.
또한, 페미니스트들은 ‘완벽한’ 페미니스트가 되지 못하는 자기 자신을 검열하며 자아상에 혼란을 느낀다. 이상적인 ‘페미니스트’의 틀이 있는 것처럼 생각되고, 그로 인해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하기 어려워한다. 이는 페미니즘에서 멀어지는 결과로도 나타난다. 그런가 하면,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스트 공동체 안에서 페미니스트 이론에서 나온 기대가 좌절되는 경험을 한다. 이들에게 이러한 희망과 기대는 중요하기에 이들은 원통함을 느끼고, 페미니즘에 느끼던 연대와 신뢰가 무너지면서 문화적 배반을 느낀다.
이처럼 페미니스트들에게 페미니즘은 이미 ‘번아웃’과 깊이 연결되어 있지만, 그 고통은 페미니스트 사회에서도, 바깥 사회에서도 수용되지 않는다. 페미니스트 공동체의 돌봄 제도는 안전하지 않은 것 같다는 이유로 실제로 이용되지 못하고, 페미니스트 공동체 내에는 신자유주의적 자원의 문제로 인해 모두가 힘들다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의 고통을 말하기 어렵다. 게다가 페미니즘이 고통과 연결되어 발화되면 안전하고 좋은 곳이라는 페미니스트 공동체의 이상이 깨지고 반페미니즘의 공격이 커질 수 있어, 페미니스트들은 고통을 사회화하지 못하고 행복한 모습만을 바깥에 드러낸다. 결국, 페미니스트들의 고통은 정신의학 체계 속에서 관리되거나 페미니즘과 멀어지는 방법으로 회피된다. 정신의학과 만나면서 페미니스트들은 치유 문화 속으로 들어가지만, 동시에 그럼으로써 그들은 자신의 고통을 구조적인 차원에서 문제화한다.
페미니스트들은 ‘번아웃’을 느끼고 많은 자원을 잃어 가면서도 여전히 페미니스트로 살아간다. 이들은 ‘번아웃’되지 않으면서도 페미니스트로 계속 살기 위해 해외로의 이주를 (생각)하거나 다른 페미니스트들과 적극적으로 연결되려 한다. 또한, 신자유주의 체제 안에 있으면서도 자기 계발 논리를 거부하거나 페미니즘 운동의 지속과 피해자의 해방을 꿈꾸면서 신자유주의의 틀을 깬다. ‘번아웃’을 통과하며, 이들은 페미니즘 운동을 하며 만나는 고민과 갈등을 돌아보고 페미니즘과의 관계를 새롭게 맺어 간다. 즉, ‘번아웃’의 순간들은 페미니스트 되기(devenir)의 과정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강남역 이후의 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니즘과의 관계에서 고통스러워하는 순간들을 드러내고, 그를 통해 이들을 ‘번아웃’되게 만드는, 페미니즘 운동 안팎의 구조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번아웃’의 영향으로 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니즘 운동과 관계 맺는 방식은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이들은 ‘번아웃’을 어떻게 통과하며 페미니스트가 되어 가는지 들여다보려 했다. 또한, 쉽게 발화되기 어려워 지워지고 있는 페미니스트들의 고통에 주목함으로써 이를 사회화하고자 했다. 이는 페미니즘이 정의나 해방보다 행복과 연관되어 더 많이 논의되는 시대에 행복과 고통 자체를 사회적인 것으로 위치시킨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feminists faced after the misogynous hate crime “Gangnam Station,” as they expressed feeling "burnout” due to their political affiliation to feminism in the last 1-2 years. By looking into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text of "burnout”, which shows the various layers of pain felt by feminis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participation in the feminist movement jeopardizes the lives of the feminists. This study also endeavors to capture the collective burnout’s influence upon the feminist movement. For this reason, I looked into the specific feelings and experiences of feminists who had felt "burnout” as they engaged in the feminist movement, the nature of the "burnout" , and the ways they dealt with the burdens of "burnout”.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ing:
The state of "burnout” experienced by feminists after Gangnam Station is a psychological and social condition that includes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debilitating examples of affect. When feeling “burnout”, feminists want to distance themselves from feminism. The societal background of the "burnout” syndrome is prevailing gender-based violence, widespread anti-feminism sentiments, and survival anxiety linked to neoliberalism. This background is enacted through threats of physical injury, stigma, disruption of social relationships, loss of resources, and overall incurs the fear of one’s inability to survive in the neoliberal era. Feminists are frustrated when they realize that they can no longer pursue the path of life they had dreamed of and that they cannot make a living out of feminism. Feminists find it contradictory to see themselves being feminists and yet feeling pain for being disadvantaged in the current system.
There are three main mechanisms for causing "burnout” within the people engaged in the feminist movement. Heterogeneity is considered a threat to the extent that various kinds of feminisms become difficult to be discussed. Self-censorship becomes necessary to fit in the ‘perfect’ feminist framework, and expectations based on the practice of feminism theory become frustrated in feminist communities. Homogeneity is emphasized by the desire for safety, heterogeneity becomes a threat, and only certain feminist discourses are accepted by each space. The division of ‘the feminist route’ represented by "radical feminism” and "intersectional feminism” is regarded as a mutually destructive difference, the criticism of neoliberal feminism is not active outside of academia, and the intersectionality of adolescent women is often not discussed. In fact, feminists show inconsistent aspects of the ‘route’ and have diverse views that seem to contradict each other, but such feminism is unacceptable. As a result, feminists feel unsafe, break off social relations, and physically move to avoid suffering.
Feminists also censor themselves for not being "perfect” feminists and feel confused about their self-image. There seems to be an ideal "feminist” framework,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feminists to identify themselves as feminists. Also, feminists experience frustration with the expectations of feminist theory within feminist communities. Because such hopes and expectations are crucial to them, they feel bitterness, their sense of solidarity and trust they held in feminism is broken, and they feel a cultural betrayal.
In this way, feminism is already deeply connected to "burnout”, but the pain is not accepted by both feminists and outside society. The care mechanism of feminist communities is not actually used because it seems unsafe, and people in feminist communities are in trouble due to neoliberal problem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talk about each other's pain. Furthermore, if feminism is linked to pain, the ideal image of the feminist community, which is a safe and good place, could be destroyed, and anti-feminist attacks may increase. Therefore, feminists cannot bond over or share each other’s experience with pain, as only happiness is allowed to be displayed. After all, the “burnout” of feminists is managed within the psychiatric system. By seeing psychiatrists, feminists play a part in the therapeutic culture, but at the same time, they finally see their pain as a problem in a structural dimension.
Feminists still live as feminists despite feeling “burnout”. They (try to) move abroad or actively connect with other feminists to live as feminists without being "burned out”. They also resist the framework of neoliberalism by rejecting self-improvement logic and dreaming of sustaining the feminist movement and liberating victims of gender-based violence. While passing through the "burnout”, they look back on the worries and conflicts they encounter during the feminist movement and re-establish their relationship with feminism. In other words, the moment of "burnout” is the process of becoming a feminist.
Based on such discus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moments when feminists after Gangnam Station suffer from feminism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of the feminist movement that leads them to "burnout”. This study looked at how feminists are going through "burnout” and becoming feminists. I also tried to share the pain of feminists, which is not easily spoken of and is being erased in public discours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places happiness and suffering itself in a social setting in an era when even feminism prefers to discuss topics related to happiness rather than justice and liberation.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