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6 Download: 0

도시 여성 군상극(群像劇)의 기호학적 분석

Title
도시 여성 군상극(群像劇)의 기호학적 분석
Other Titles
A Semiotic Analysis of Urban Women's Group Dramas
Authors
CHEN, YA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TV 드라마 중 도시 여성 군상극은 일반적으로 도시를 배경으로 삼아 세 명 이상의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해 성장하는 플롯의 드라마이다. 이는 주로 2000년대 이전 미국 TV 드라마에서 새롭게 나타났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한국과 중국에서도 이러한 유형의 드라마가 지속적으로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도시 여성 군상극은 복수의 여성 주인공이 각각의 성장 서사를 전개해 나가면서 교집합을 갖는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서사 관습을 구축했다. 동시에 미국, 중국, 한국 등 해당 국가의 도시성에 대한 규정과 여성의 지위와 역할 등에 따라서 도시별로 서사적 특수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허구적 서사의 공간이자 그 사회의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도시 공간에 대한 분석과, 이 공간에서 주체성을 실현하고자 노력하는 여성 캐릭터의 분석은 사회 문화적 의미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레마스의 기호학 이론을 적용해 도시 여성 군상극의 공간과 캐릭터를 분석하고 그 의의를 도출했다. 중국과 한국에서 도시 여성 군상극이 발전하는데 있어서는 공중파 TV에서 OTT로의 전환, 여성의 주체화와 복수 주인공에 대한 플롯의 유행, 세계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는 드라마 제작 환경의 변화 등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로 2016년 이후 등장한 중국과 한국의 도시 여성 군상극 23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세부적으로 2장에서는 중국과 한국은 물론 다양한 문화권에서 등장한 도시 여성 군상극의 초기 작품인 미국 드라마를 분석했다. <섹스 앤 더 시티>로 대변되는 미국 도시 여성 군상국에서는 특히 4명의 여성 주인공의 정체성, 사회적 역할, 주체적 욕망 등 향후 도시 여성 군상 드라마로 이어지는 서사적 관습성을 도출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여성 주인공의 모든 욕망이 직접적으로 발현되고 실현되고 좌절되는 공간으로서의 도시 공간과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3장에서는 주로 중국과 한국의 도시 여성 군상극의 여성 캐릭터를 비교 분석한다. 주요 여성 주인공을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을 적용해 분석했다. 그 결과 중국 드라마 <겨우 서른>에서 세 여성 캐릭터는 기본적으로 각각 물질적 조건, 사회적 역할 및 신분 등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각 인물 별로 당면한 문제와 갈등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이들은 도시 공간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서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서사의 목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반면 한국 드라마 <술꾼도시여자들>의 세 여성 캐릭터는 대학 시절부터 10년 동안 함께 지내온 친구로, 가족보다도 서로를 잘 이해한다는 설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들은 시간과 공간의 공유를 통해서 서로의 우호적 유대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당면한 개인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가는 점에 서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도시 여성 군상극은 캐릭터 설정에서부터 그 차별점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중국의 여성 군상극의 경우 일반적으로 주인공 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나이와 계급, 부의 정도 등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캐릭터가 다양한 여성 세대를 대변하는 것으로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이끌어낸다. 이런 점에서 중국 도시 여성 군상국의 여성 인물들은 병렬적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한국 드라마의 여성 주인공은 보통 3명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이 어린 시절부터 친밀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는 설정과 동일한 나이와 유사한 사회적 위치에서 역시 유사한 고민을 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세대의 갈등과 고민을 해결하는 방식으로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서 특정한 여성 개인의 서사가 해당 세대의 일반적인 여성의 보편적인 서사로 확장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한국 도시 여성 군상극의 여성 인물들은 연계적이라고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도시 여성 군상극의 서사적 공간이 도시에 대해서 분석했다. 중국의 도시 여성 군상극의 주요 배경은 상하이, 한국의 주요 배경은 서울로 나타난다. 동아시아에서 상하이와 서울은 대표적인 대도시로, 이들은 물리적 장소성을 넘어서서 사회문화적인 공간성을 획득한 상징적 기호이기도 하다. 또한 동아시아의 대도시가 갖는 보편성과 동시에 각 문화권별로 차별적인 특수성을 갖고 있기도 하다. 역사적인 측면에서는 전쟁, 무역, 자원에 의한 인구가 도시로 집중하여, 도시의 발전을 위해 조건을 만들었다. 무엇보다도 도시의 출현은 동아시아 여성에게 있어서 기존에 제공되지 못했던 사회 진출의 기회와 욕망의 발현, 관계의 구축 등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기존의 문학과 영상에서도 이러한 도시의 자집에 대해서 나타난 바 있다. 자집이란 '도시 이미지'을 가리키는 말로 ‘건축 이미지' 과 '물건 이미지' 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시 공간은 캐릭터의 활동 범위에 따라서 크게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적 공간은 집단으로서의 여성이 사회적 진출을 실현하는 무대가 되며, 사적 공간은 개인으로서의 여성이 욕망을 드러내거나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즉 도시라는 공간은 여성 캐릭터의 욕망이 출현하는 새로운 장소이자 동시에 이러한 욕망이 서로 연계되어 통합적 서사를 이룰 수 있는 콘텍스트로서 작용하는 것이다.;Among the TV dramas, urban women's group drama is a plot of growing drama with three or more women appearing as the main characters, generally set in the city. This was mainly new in American TV dramas before the 2000s, and after the 2000s, many of these types of dramas continued to appear in Korea and China. The urban women's group drama has established a universal narrative custom in that multiple female protagonists have an intersection as they develop their respective growth narratives. At the same time, it also shows narrative specificity for each city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n urbanity of the country,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Korea, and the status and role of women. Therefore, the analysis of urban spaces that reflect the paradigm of the society and the space of fictional narratives, and the analysis of female characters trying to realize their subjectivity in this space have socio-cultural meaning.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pace and characters of urban female group plays were analyzed by applying Greimas' semiotic theory, and their significance was derived. In China and Korea, the development of urban women's group drama was mainly due to the shift from public TV to OTT, the trend of plots for women's subjectivity and plural characters, and changes in the drama production environment considering global universalit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paper, 23 urban women's group dramas in China and Korea, which have mainly appeared since 2016, were selected as the main research subjects. In detail, Chapter 2 analyzed American dramas, which were early works of urban women's group dramas that appeared not only in China and Korea but also in various cultures. In the U.S. urban women's group drama represented by , narrative customs were drawn that lead to urban women's group dramas in the future, especially the identity, social role, and subjective desire of the four female protagonists. Above all,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space as a space where all the desires of these female protagonists are directly expressed, realized, and frustrated. Chapter 3 mainly compared and analyzed female characters in urban women's group drama in China and Korea. The main female protagonist was analyzed by applying Greimas' Actantial Model. As a result, in the Chinese drama , the three female characters basically set different material conditions, social roles, and status, so each character sets different problems and conflicts. They are set to meet by chance in urban space, and ultimately aim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s the purpose of th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the three female characters of the Korean drama are friends who have been together for 10 years since college, and are based on the setting that they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than their families. They focus on the narrative that they solve the personal problems together while maintaining friendly tie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haring of time and space.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urban women's group drama can be confirmed from the character setting. First of all, in the case of women's group drama in China, the number of main characters is generally not constant, and it is set to differ in age, class, and degree of wealth. Therefore, each character represents a variety of female generations, drawing sympathy from viewers. In this respect, female figures in China's urban women's group drama can be seen as parallel.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protagonists of Korean dramas are usually fixed to three, and they are set to have similar concerns in a social position similar to the same age as the setting that they have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since childhood. Therefore, it draws sympathy from viewers by solving conflicts and worries of the same generation. Through this, the narrative of a specific female individual is expanded to the universal narrative of the general female of the gener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Korean urban women's group dramas are connected. In Chapter 4, analyzed the city as the narrative space of urban women's group drama. The main background of Chinese urban women's group drama appears in Shanghai, and the main background in Korea appears in Seoul. In East Asia, Shanghai and Seoul are representative metropolitan cities, and they are also symbolic symbols that have acquired socio-cultural spatiality beyond physical location. In addition, at the same time as the universality of large cities in East Asia, each culture has a distinctive specificity. In terms of historical factors, due to wars, trade, resources,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cities, creating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ities. Above all, the emergence of cities is also a space that enables East Asian women to express opportunities and desires for social advancement that have not been provided before, and to build relationships. I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videos, these urban subset have also appeared. Subset refers to 'urban image' and includes 'architectural image' and 'object image'. This urban spa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public space and a private space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character's activities. Public space becomes a stage for women as a group to realize social advancement, and private space becomes a space for women as individuals to express or realize their desires. In other words, the space of the city is a new place where the desires of female characters appear, and at the same time, it acts as a context in which these desires can b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ted narra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