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6 Download: 0

상승하는 표상으로서의 날개의 은유

Title
상승하는 표상으로서의 날개의 은유
Other Titles
A Metaphor for Wings as a Rising Representation
Authors
박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목
Abstract
My work embodies the process of accepting extinction and overcoming sadness. I sought to find the roots of the principle of formation in the origin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facing death and to express the point of resonating with my aesthetic sense among Eastern rituals, myths, and religious art. Therefore, in the work process, the intended formative language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the deep layer, overlap and intersect, represented as a painting. I recognized that the sense of loss evolving into a sense of filling appeared as a familiar shape in my work and tracked the reason. In this process, I found that the images of the cultural archetypes, collected by choice, were visualized through a subjective formative transformation process. This paper is a record recounting why the familiar figure, ‘rising and flying image,’ is repeatedly revealed among the visualized results. The point where similar shapes are repeated in the inner sublimation stage of contemplation and overcoming of extinction is the visualized cultural archetypal sense where I feel the inner echo. Looking back on the memory of the funeral, I learned that the formative symbols acquired by chance originated from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the Eastern culture and realized that the universal sense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was also inside me. Since then, I have accepted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hilosophy to elicit a fundamental sense of aesthetics and a sense of creation and extinction inherent in myself. Furthermore, I have explored the formative image expressed in the Buddhist worldview and tried to visualize it by accepting images connected to my sense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transformation patterns of painting and changes in the inner consciousness of viewing the world organizationally influenced each other. First, I explored the art as a funeral to send the dead, the cultural archetypes that followed, and the pictorial clues in the classic. During this period, I focused my emotion on accepting the emptiness and sadness of death and funeral. I have been influenced by Buddhism's view of meditation and lif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Buddhist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work of this period takes on the form of abstract methodology that draws countless lines with the thinnest brush according to Zen's meditation attitude. Since then, I have felt the natural providence of being born and dying with the non-duality of Buddhist philosophy, the oneness of life and death. After feeling this, I gradually return to the image of flying freely with vital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my inner self. I investigated scripture and religious art to find formative materials. I felt the unbridled vitality when I saw the flower rain, Kalavinka, and the fairies flying without obstacles in the ceiling paintings of Dunhuang murals, reminiscent of delicate dance with the mysterious image of the lotus world.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painting through this.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sense of loneliness when acknowledging the human finality of the body ceasing to exist as an element of life. All beings must have felt instinctive fear in the face of the limit of death and created their own styles to overcome it. I have found the basis in the cultural archetypes of funeral rites, myths, and transcendent religions and have tried to conceive of these points as a form of paint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pecific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nvisioned result. I expect that the record of this paper will expand my follow-up research and pictorial worldview in the future.;연구자의 작업은 소멸을 받아들이고 슬픔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조형화한 것이다. 죽음을 마주하는 집단무의식의 원형에서 조형 원리의 뿌리를 찾고, 동양의 제의와 신화, 종교 미술의 도상 중 연구자의 미감과 공명하는 지점을 표현하고자 했다. 따라서 작업 과정에서 의도된 조형 언어와 심층에 내재한 미의식이 겹치고 교차하며 회화로 발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실에서 충만에 이르는 감각이 공통적인 형상으로 나타난 사실을 인지하고 그 까닭을 추적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취사선택 하에 채집된 원형 이미지들이 주관적인 조형적 변용 과정을 거쳐 시각화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논문은 그 시각화된 결과물들 사이에 공통적 도상인 ‘상승하고 날아다니는 상(飛象)’이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이유를 되짚어 나가는 기록이다. 소멸의 관조와 극복이라는 내면의 승화 단계에서 유사한 형상이 반복되는 지점이 연구자가 내적 울림을 느끼는 시각화된 원형적 감각이다. 연구자는 상중(喪中)의 기억을 되짚어가며 우연히 획득한 조형적 기호들이 사실은 동양 문화권의 생사관에서 비롯되었음을 알고, 고대로부터 전승된 보편적 감각이 연구자 본인의 내면에도 있음을 체득하게 되었다. 그 이후 연구자 본인에게 내재한 생멸에 대한 근원적인 미의식과 감각을 끌어내기 위해 불교철학의 관점을 수용해왔다. 나아가 불교적 세계관에서 표출된 조형 이미지를 탐구하고 연구자의 감각과 맞닿는 도상을 받아들여 시각화를 시도해왔다. 본 논문은 회화의 변모 양상과 세계를 응시하는 내면 의식의 변화가 서로 어떻게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규명한 것이다. 먼저 망자를 보내는 장의(葬儀)로서의 예술과 이에 따라 나타난 문화적 원형 및 고전 속의 회화적 단서를 조사해 보았다. 이 시기 연구자의 정서는 죽음과 장례를 목도한 후의 허망함과 슬픔을 받아들이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 불교철학적 관점을 수용하는 과정에서는 불교의 수행론과 생명관에 영향을 받아왔다. 이때의 작품은 선(禪)의 수행적 태도에 따라 세필로 무수한 선을 긋는 추상적 방법론에서 비롯된 형태를 띠게 된다. 이후 불교철학의 불이법문(不二法門)으로 나고 죽는 것의 자연스러운 섭리, 생멸의 전일성을 느꼈다. 이 점을 느끼고 연구자는 내면의 변화에 따라 차츰 생명력을 갖추어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상(飛象)으로 회귀한다. 연구자는 경전과 종교 미술에서 조형화할 수 있는 단서를 조사했다. 연화장세계의 신비로운 도상으로 가볍게 춤추는 느낌이 연상되는 꽃비와 가릉빈가, 돈황석굴의 천정화 속 걸림 없이 날아다니는 비천(飛天)을 보고 구속되지 않는 생명력이 느껴져 이를 통한 회화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육신의 소멸이라는 인간의 유한성을 체감한 고독감을 삶의 한 요소로 받아들여 나가는 과정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죽음이라는 한계 앞에서 모든 존재는 본능적인 두려움을 느꼈을 것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마다의 양식을 창조해냈다. 연구자는 상장(喪葬) 의식과 신화, 초월적인 종교라는 문화적 원형에서 그 근거를 발견했으며 이 지점들을 회화의 형태로 구상하고자 노력해왔다. 본 논문은 구상된 그 결과물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 과정의 기록이 앞으로 연구자의 후속 연구와 회화적 세계관을 확장시켜 주리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