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가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가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Play and Leisure Activities on Quality of Life in Children : School Level Differences
Authors
강혜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놀이 및 여가활동은 아동이 누려야 하는 기본 권리로서 아동의 건강한 발달과 행복을 위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의 아동에게 놀 권리는 잊혀지고 있다. 과도한 학업 시간은 아동의 놀 수 있는 시간을 빼앗아 갔고, 놀이 친화적 환경의 제약으로 대부분의 아동이 집에서 놀이 및 여가활동을 하고 있으며, 전자 기기 형태의 놀이에 의존하기 쉽게 만들었다. 아동의 삶에서 놀이 및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간과해온 것은 대한민국 아동의 삶의 질이 국제사회에서 꾸준히 최하위의 수준에 머물고 있는 원인일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가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동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부모 및 친구 관계와 학업성적이 놀이 및 여가활동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 모든 경로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집단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9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의 원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2,508명, 중학생 2,679명으로 총 5,187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Mplus 8.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들 간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으며, 다집단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집단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는 주관적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외에 모든 경로의 직접 효과도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를 높여야 하며, 아동의 놀 권리가 보장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부모 관계, 친구 관계, 학업성적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놀이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과 달리, 본 연구는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는 학업성적을 향상시키고 주관적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밝혔으며 이는 놀이, 학업,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을 수 있는 근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을 구성하는 주요한 변인인 사회적 관계가 놀이 및 여가활동의 만족을 통해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동의 건강한 관계 형성을 돕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놀 권리가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에서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가 친구 관계에 이르는 경로와 부모 관계가 주관적 삶의 질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의한 경로계수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 경로에서 모두 중학생 집단보다 초등학생 집단의 경로계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로가 존재하며, 이를 고려하여 아동의 놀 권리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가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성적 및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놀 권리 보장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에 따라 놀이 시간 및 공간을 보장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놀 권리가 보장되도록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놀이, 학습,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도록 노력해야 하며,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 모두에서 놀 권리가 보장되기 위하여 생애주기를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Children have a basic right to play and take part in leisure activities. This right should be ensured for healthy development and happiness in their lives. However, the right to play has been forgotten in children’s lives in modern times. Excessive academic commitments take away from play time, and most children play at home due to the lack of play-friendly environments, which makes children easily depend on electronic forms of entertainment. Ignoring the importance of play and leisure activities in children’s lives may be the reason behind why the quality of life(QOL) in Korean children is ranked bottom by international standar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play and leisure activities on subjective QOL in childre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were examined. Furthermore, for all path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For this analysis, the study used ‘Youth Happiness Indicator Survey’ conducted in 2019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of South Korea. The subjects are 5,187 children (2,508 elementary and 2,679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 23.0 and Mplus 8.7.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from play and leisure activitie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mpact children’s subjective QOL and other direct path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satisfaction from play and leisure activities and the children’s right to play should be assured to improve children’s QOL.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are all significant. Unlike the bias about play being pervasive in society, the study revealed that play and leisure activities can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nd also raise QOL. This information serves as a foundation to correct the social prejudice about play.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social relationships, the major variables comprising QOL in children, can be positively established through play and leisure activities. Thus, the children’s right to play should be ensured to help establish healthy relationships and enhance QOL. Third, according to the multi-group analysis of children in different school levels,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play and leisure activities on peer relationships and the effect of parents relationships on QOL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th coefficients. Moreover, in these two paths, the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path coefficients than the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significantly different paths exist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reason, children’s right to play should be assur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This study revealed the necessity of ensuring children’s right to play by examining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play and leisure activities on children’s QOL,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erformance, social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in school levels. Thus, various perspectives are needed to be considered on time and spaces for play for children. Furthermore, the interventions at home, in school and from the community are required to ensure the right to play. Alongside the aforementioned, inaccurate thoughts about the relation among play, studies and QOL should be corrected. Finally, differentiated approaches considering the life cycle should be required to assure the right to play in al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