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7 Download: 0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간접인용 종결 표현 습득 연구

Title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간접인용 종결 표현 습득 연구
Authors
Tanyarak, Kanokkor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한국어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에 대한 이해와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 한국어 교육에서는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형태를 익히는 것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 인해 간접인용 종결 표현에 대한 교육이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태국 내 한국어 학습 현장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한 후 간접인용 종결 표현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 기존 간접인용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을 서술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는 간접인용 표현의 화용적 의미를 다룬 연구와 간접인용 표현의 습득 및 교육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본 후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 문제를 도출, 가설을 설정하였다. II장에서는 간접인용 표현의 개념 및 형태를 검토하고, 한국어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을 구분하여 관찰함으로써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먼저 간접인용 표현의 개념,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형태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형태에 기인한 화용적 의미를 ‘-단다’류, ‘-다고’류, ‘-다니’류, ‘-다니까’류, ‘-다면서’류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좀 더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 의사소통 기능도 함께 살펴보았다.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사소통 기능은 정보 구하기·알리기 기능, 지적 태도 표시하기·알아내기 기능, 감정 표시하기·알아내기 기능, 권고나 설득하기 기능, 대인관계와 관련한 기능의 총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간접인용 종결 표현을 학습할 때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두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III장은 연구 방법이다. 연구 절차에 따라 본 실험에 앞서 1, 2차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고,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 연구 도구, 분석 도구, 분석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실험의 참여자는 대학교 2, 3학년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비교 집단으로서의 한국인 모어 화자, 총 두 집단으로 구성되며 한국인 집단은 30명, 태국인 학습자 집단은 50명 모두 80명이다. 연구를 위한 설문 도구로는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 설문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총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이해 문항 설문지는 ‘연구 문제1’인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미화용적 기능에 대한 이해를 묻는 것이었고 사용 문항 설문지는 ‘연구 문제2’인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에 따른 한국어 간접인용 종결 표현 사용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분석하고 위해 t-검정(two-independent sample)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에 따른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사용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해당 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1’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들이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에 대한 이해 수준에서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간접인용 종결 표현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이해 정도는 의미화용적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접인용 종결 표현에 나타나는 의미화용적 기능을 대부분의 태국인 학습자들이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기본적인 의미화용적인 기능인 정보 전달으로 이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문제2’에서는 태국인 학습자 집단이 간접인용 종결 표현을 발화자 의도에 맞게 잘 사용하고 있 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모두 의미화용적 기능에서 태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가 간접인용 종결 표현을 선택한 비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장에서는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 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간접인용 종결 표현 교육 내용이 단순한 형태와 기본적인 의미로만 이루어진다는 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 교육을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에 따른 간접인용 종결 표현의 의미화용적 기능을 5가지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usage patterns of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Korean indirect quotation ending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by targeting Thai Korean learners. The educational efficiency was not high because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focused on learning indirect quotation ending expression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indirect citation education by providing the basis for what and how to apply it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with the content of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indirect citation ending express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reviews previous studies. Previous studies were divided into studies dealing with the pragmatic meaning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and studies on the acquisition and educa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In addition, research problems were derived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In Chapter II, a theoretical background was prepared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form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and by distinguishing and observing the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indirect quotation ending expressions. First, the concept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and the form of indirect quotation termination expression were summarized. Also, the pragmatic meanings due to the form of indirect quotation ending expressions were classified into ‘-danda’, ‘-dago’, ‘-dani’, ‘-dani’, and ‘-dadayo’.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indirect citation closing expression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information seeking/notifying function, intellectual attitude display/recognition function, emotion display/finding function, recommendation or persuasion function, and interpersonal related functions. For a more effective study, the communication function was also examined. In order to clarify the difficulties of Thai Korean learners learning indirect quotation ending expressions, two aspects were examined. Chapter III is about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the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and the mai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reflecting the modifications. In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tools, analysis tools, and analysis methods were described in detail. The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two groups: 3rd year university students, Thai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s a comparison group. The Korean group consisted of 30 people and the Thai learner group consisted of 50 people. As a questionnaire tool for research, a semantic functional questionnaire for indirect citation termination expressions was developed and used, an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types. The understanding question questionnaire asked about th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indirect citation closure expression, which is 'Research Question 1', and the usage question questionnaire was 'Research Question 2', the closure of Korean indirect citation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indirect citation closure expression. To find out how to use expression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t-test (two-independent sample) to analyz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volume function of indirect citation termination expressions. In addition,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indirect citation termination expressions according to communica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depth. Chapter IV describes the study results. In ‘Research Problem 1’, was investigated whether Thai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usage volume of indirect citation ending expressions. As a resul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indirect citation termination expres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mantic function. In most of the semantic functions, it was analyzed that Thai learners understood the basic semantic function of indirect citation ending expressions as information transfer. In 'Research Problem 2',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group of Thai learners used indirect quotation ending expressions well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ai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choosing indirect citation ending expressions for both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Chapters V to IV,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described. This study raises a question about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indirect quotation termination education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ais consist only of structure and basic meaning, and suggests that indirect quotation termination expressions should be introduced for semantic purpos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learning. se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mantic-purpose functions of indirect citation ending expressions according to communication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and stud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