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5 Download: 0

중고령 기혼여성의 은퇴 후 삶의 의미

Title
중고령 기혼여성의 은퇴 후 삶의 의미
Other Titles
Meaning of Life for a Pre-elderly Married Woman After Retirement
Authors
김성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s about the Meaning of Life after retirement of Pre-elderly married women, and of the essential meaning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experience. Currently, Pre-elderly married women who work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then retired can be said to be the first generation of socially significant female retirees in Korea. However, in our society, there is not much attention in their retirement. Although they were working at a time when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ct was enacted and female employment was relatively easy, in practice, the attitude that “marriage is retirement” was prevalent in organizations. Therefore, it was rare for women to continue working for more than 20 years after getting married and then retire. This point suggests that the past corporate Life of a Pre-elderly married woman who is currently retiring was not easy. Therefore, it can be surmised that Pre-elderly married women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retirement are those who have been loyal to their companies, who thoroughly managed themselves, and overcame difficult circumstances. It can be the biggest turning point in their lives for them to retire after finishing the road they had been running on fiercely while balancing work and famil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most of the participants identified with their work. One study participant described her Life before retirement as “the Life of a female warrior whose work is her identity.” In addition, it was a Life in which they could not ignore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or raising children, so they sprinted with all their might in the three roles. However,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felt they were not anywhere. The participants’ retirement experience was more about feelings of loss and despair than freedom and liberation of escaping from the three roles. Those feelings required a long and difficult process of mourning and were not easy to resolve. It is presumed that although they had a passive self that was seeking external recognition, the loss of status and position due to retirement was the same as the dismantling of one's identity. However, the participants did not avoid the pain of dismantlement, but rather experienced it as an opportunity to face their inner selves. This is regarded as the expression of the intrinsic desire of human beings, that is, the will to be meaningful (Frankle, 2005). In other words, the study participants did not seek the Meaning of their lives based on externally dictated standards, but wanted to make their own decisions. After that, they tried to return to society again using their professional careers, but unlike before, they showed that they pursued participation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sought shared growth with others beyond themselves and their family, appearing to be experiencing a new “Meaning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e-elderly married wome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a passive existence to an independent existence through a long and difficult process of adjusting to retirement, and ultimately pursued shared growth by reaching out beyond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into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reveal the essence of subjective experience in which “the Meaning of Life” is reconstructed. ;본 논문은 중고령 기혼여성의 은퇴후 삶의 의미에 대한 주관적 체험과 체험맥락에 따른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현재 20년이 넘게 일을 지속하다 은퇴하는 중고령 기혼여성은 우리나라에서 사회적으로 유의미한 여성 퇴직 1세대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에서는 이들의 퇴직에 대한 관심이 많지 않다. 이들이 일하던 시기는 남녀고용평등법 제정이 되어서 여성 취업이 비교적 용이해졌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직 내에는 ‘결혼은 퇴직’이라는 관례가 남아 있던 시기였기에 결혼을 하고도 지속적으로 20년 넘게 일을 하다가 은퇴를 하게 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현재 은퇴하는 중고령 기혼여성의 지난 회사생활이 결코 쉽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지점이다. 즉, 현재 은퇴를 경험하고 있는 중고령 기혼여성들이 철저하게 자신을 관리하며 쉽지 않은 환경을 이겨냈던 경험이 있는 이들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일-가정을 치열하게 양립하며 달려왔던 길을 마치고 은퇴를 하는 것은 인생 최대 전환기적 사건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 대부분은 일과 자신을 동일시했고 한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퇴직 전 삶을 ‘일과 동일시하는 여전사의 삶’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또한, 가족 돌봄이나 자녀 양육의 책임도 무시할 수 없어 1인 3역으로 온 힘을 다해 전력 질주를 했던 삶이기도 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을 정작 그 어느 곳에서도 자신은 없는 느낌이었다고 진술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은퇴 경험은 1인 3역에서 벗어나는 자유와 홀가분함보다는 상실과 절망의 감정이 더 컸다. 그 감정은 결코 해결하기 쉽지 않은 지난하고 험난한 애도의 과정을 필요로 했다. 이는 은퇴로 인한 지위와 위치의 상실이 비록 외부의 인정을 추구하던 수동적 자아이긴 했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해체함과 같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은 해체의 아픔을 회피하지 않고 고스란히 겪어내며 오히려 자신의 내면과 직면하는 기회로 삼았다. 그것은 인간에게 있는 본래적인 욕구, 즉,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한 의지의 발현과 같은 것이라 여겨진다(Frankle, 2005).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더는 자신들의 삶의 의미를 외부에서 주어지는 기준에 따라 찾지 않고 주체적으로 결정해 가고자 했음을 말한다. 이후 이들은 자신의 전문적 경력을 사용하여 다시 사회로의 환원을 시도하나, 이전과는 다르게 주체적인 실존으로서의 참여와 자신과 가족을 넘어 타인과의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변화된 ‘삶의 의미’를 체험하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중고령 기혼 여성이 지난하고 쉽지 않은 은퇴 과정을 통해 수동적이었던 실존이 주체적 실존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지났으며, 궁극적으로 자신과 가족을 넘어 세상으로 향해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삶의 의미’가 재구성되는 주관적 경험의 본질을 드러낼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