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7 Download: 0

입체에서의 색채와 표면 특성이 맛 연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입체에서의 색채와 표면 특성이 맛 연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olor and Surface Properties on Taste Association in the 3D Environment
Authors
문지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맛 연상에 시각 정보가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큰데, 영향을 주는 요소들 중 가장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색’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맛 연상과 색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평면 샘플이나 음료의 농도를 이용한 색상에 대한 것이었다. 하지만 우리가 실제로 맛을 연상하는 대상의 형태는 입체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체 샘플에서의 색채와 표면 특성이 맛 연상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색채에서 연상된 맛 지각과 연상 강도에 대한 1차 설문을 평면 샘플에서 진행하였고, 독립 변수에 불투명도와 광택을 추가한 2차 설문을 입체 샘플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해당 결과들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면 샘플에서의 색상과 색조의 상호작용은 단맛, 신맛, 쓴맛에서만 맛 연상의 효과가 나타났고, 짠맛에서는 상호작용 효과 없이 낮은 연상 강도를 가지는 각각의 주효과만 나타났다. 그리고 입체 샘플에서는 평면 샘플에서와 마찬가지로 짠맛을 제외한 맛에서 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색상과 색조의 경우 단맛에서만 평면 샘플의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불투명도는 모든 맛 연상에서 불투명할 때 더 큰 연상 강도를 보였고, 광택은 유광과 단맛, 무광과 쓴맛이 서로 연상되었다. 마지막 입체성은 신맛과 쓴맛에 대해 영향을 주었는데 두가지 맛 모두 입체에서 더 강하게 연상되었다. 입체 샘플에서의 연상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은 평면 샘플보다 연상되는 능력이 크다는 의미이므로, 맛 연상에 여러 가지 표면 특성을 고려해야 맛 연상에 대한 시각 정보로 활용되는데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연구되었던 평면 샘플이나 음료에 대한 색으로서의 맛 연상이 아닌 입체로 범위를 확장해 색채와 표면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on taste association is very high.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is view, the most diversely used can be color. Recent research on taste association and color has been actively conducted but most of them have been about colors using flat samples or the concentration of drinks. However the type of object we actually associate with taste is 3D. Therefore, we would like to learn how color and surface characteristics affect the association of taste association in 3D samples considering surface properties. An experiment on the strength of associated sweetness, sourness, bitterness, and salty taste was conducted using flat samples, and based on this, opacity and gloss were added to the three-dimensional sample.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if the corresponding results exhibi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s a result, theinteraction of color and tonein the flat samples revealed the effect of taste association only in sweet, sour, and bitter tastes, on the other hand, only each main effect having a low association strength was revealed in salty taste without any interaction effect. In addition, same as the flat samples, each taste excluding the salty taste significantly influenced each other in the 3D samples. Only the sweet taste was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flat samples in the case of color and tone. Also, opacity showed great associative strength when all taste perceptions were opaque. In the association between gloss and taste, matte and bitterness, and the dimensions influenced the sour and bitter tastes, which were stronger in three dimensions. The fact of a greater association strength in the 3D samples indicates that the association ability in the 3D environ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flat. Therefore,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considering the various surface characteristics in taste associations is more effective in being utilized as visual information for taste associ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to expand the scope of taste association to the 3D in order to be used according to color and surface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taste association as the colors for flat samples or beverages, which have been studied a lot thus fa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