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7 Download: 0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 양상 연구

Title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in Korean
Authors
Aye Mya Thandar Maung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rehend and perform relational coherence in Korean. First, this paper explores how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Korean relational coherence and how they differ from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ir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wareness of relational coherence affects the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and the kind of correlation that exists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t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relational coherence education of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reviews prior studies. Previous research papers ar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1) studies on the awareness of coherence and (2)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coherence. Subsequentl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e investigation of prior studies. Chapter II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concepts of ‘textuality’, ‘coherence’ and ‘relational coherence’. In the ‘textuality’ section, seven element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discourse are described. In the ‘coherence’ section,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oherence, ‘referential coherence’ and ‘relational coherence’ are outlined. Lastly, in the ‘relational coherence’ section, the classes of relational coherence of this study are defined, and each class is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Chapter III discusses research methods. First,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detailed, and the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ilot tests 1 and 2 are presented. Next, the subjects, data collection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of this study are also described. Chapter IV exam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In section A, the awareness of relational coherence of Myanmar Korean learners is discussed. This is analyzed by group and class, and the order of recognition of relational coherence of each group can be observed i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of the ‘Korean native speaker group’, ‘superior proficiency level group’, and ‘low proficiency level group’ in recognizing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It is certain that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low proficiency level group. In terms of recognition scores, the higher proficiency level group showed similar scores to Korean native speakers in all relations except in ‘parallel relation’, ‘time contiguity relation’, and ‘place contiguity relation’. Meanwhile, the learners with lower proficiency levels had relatively low recognition scores, reflecting their inability to effectively recognize relational coherence. The findings confirm that a speaker’s proficiency level influences their recognition of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patterns by classes of relational coherence in all items except for ‘claim-argument relation’ and ‘time contiguity relation’. All three group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cognition scores in ‘cause-effect relation’,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s and learner groups in the relations type in terms of the lowest percentage of recognition. Koreans received the lowest score in ‘time contiguity relation’, and the learner group scored the lowest in ‘parallel relation’. Although the three groups similarly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cause-effect relation’ category, it is evident that the order of recogni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classes of relational coherence in each group. In section B, the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Myanmar Korean learners is discussed. This is also analyzed by group and class, and the order of the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each group can be found i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of ‘Korean native speaker group’, ‘superior proficiency level group’, and ‘low proficiency level group’ in the overall frequency of use in realizing relational coherence in discour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alization frequency between the three groups, but the preferred order of relational coherence was different. All three groups preferred ‘claim-argument rel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writing topic of this paper, but Koreans preferred ‘elaboration relation’ the most, and the learners used ‘parallel relation’ overwhelmingly more than Koreans. All three groups rarely used ‘exception relation’, ‘violated expectation relation’, ‘denial of preventer relation’, ‘time contiguity relation’, and ‘place contiguity relation’. Overall, the high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form relational coherence with a frequency like that of native Koreans, but the low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prefer familiar relations that frequently appear in textbooks, which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alization frequency. These results confirm that a speaker’s proficiency influences their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In section C,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Myanmar Korean learners is discussed. This is also analyzed by group and class, and the order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of each group can be seen in the results. The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elational coherence. Awareness and performance by type were also found to be correlated in some relation types, and the performance of ‘example relation’ and ‘claim-argument rel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st of the relational coherence awareness types. In the relational coherence awareness rate and performance rate of Myanmar Korean learners, the awareness rate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rate.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proposes suggestions for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future research plans. This study is significant due to its investigation of Korean relational coherence performed by Myanmar Korean learners, which is a research topic that has never been conducted befor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tudy not only examined Myanmar Korean learners’ awareness and performance, but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which was unexplor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necessity of teaching coherence and relational coher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with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relational coherence teaching methods.;본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및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담화에서 관계적 응집성을 인식하고 실현함에 있어 어떠한 특징을 보이며,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이 담화 내 관계적 응집성을 실현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및 실현 간에 상관성이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계적 응집성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응집성 인식에 관한 연구’와 ‘응집성 실현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상세히 검토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대해 기술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로 본 연구의 출발점이 되는 ‘텍스트성(textually)’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담화를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7가지의 요소에 대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응집성(coherence)’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간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던 응집성에 대한 본 연구의 입장을 밝히고, 응집성의 의미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후, 응집성의 하위 부류인 ‘지시적 응집성(referential coherence)’ 및 ‘관계적 응집성(relational coherence)’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기술을 통해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이 되는 관계적 응집성의 유형을 도출하고, 각각의 유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절차를 기술한 후, 예비 실험 1과 2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제시하는 한편, 예비 실험을 통한 수정 및 보완 내용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본 실험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하였는데, 본 실험의 연구 참여자, 연구 문제별 자료 수집 방법 및 도구,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 분석 방법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 양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는데, A 절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양상을 알아보았다.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양상을 집단 및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통해 각 집단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순서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담화에서 관계적 응집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숙달도 상위 집단’, ‘숙달도 하위 집단’의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하위 집단으로 인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인식 점수에서도 상위 집단 학습자들은 ‘병렬 관계’, ‘시간적 근접 관계’, ‘공간적 근접 관계’를 제외하여 모든 관계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점수가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하위 집단에서는 인식 점수가 높지 않아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은 관계적 응집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관계적 응집성을 인식하는 데 숙달도가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계적 응집성의 유형별 인식 양상에는 ‘주장-논거 관계’ 및 ‘시간적 근접 관계’를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집단 모두 ‘원인-결과 관계’에서 인식 점수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인식 비율이 가장 낮은 관계 유형에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시간적 근접 관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학습자 집단은 ‘병렬 관계’에서 점수가 제일 낮았다. 세 집단이 ‘원인-결과 관계’에서 최고 점수를 받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나, 각 집단에서 관계적 응집성의 유형에 따라 인식하는 순서가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절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실현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집단 및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집단의 관계적 응집성 실현 순서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담화에서 관계적 응집성을 실현하는 데 전체 사용 빈도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숙달도 상위 집단’, ‘숙달도 하위 집단’의 세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세 집단 간의 실현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선호하는 관계적 응집성 순서는 다르게 나타나 흥미로웠다. 본고의 작문 주제의 특성상 세 집단 모두 ‘주장-논거 관계’를 선호하였으나, 그 다음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는 ‘상세화 관계’를 가장 많이 선호한 반면, 학습자들은 ‘병렬 관계’를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세 집단 모두 ‘예외 관계’, ‘어긋난 예측 관계’, ‘부인 관계’, ‘시간적 근접 관계’, ‘공간적 근접 관계’ 등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위 집단 학습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한 빈도로 관계적 응집성을 형성하고 있으나,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교재에 자주 등장하거나 익숙한 관계를 많이 선호하여 실현 빈도에 두 집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계적 응집성을 실현하는 데 숙달도가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 절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집단 및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집단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 및 실현 순서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계적 응집성의 인식과 실현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유형별 인식 및 실현 간에서도 일부의 관계 유형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시 관계’ 및 ‘주장-논거 관계’에 대한 실현이 대부분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인식률 및 실현율에서는 실현율이 높은 유형보다 인식률이 높은 유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현율보다 인식률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한 후,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던 응집성에 관한 연구로 관계적 응집성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인식 및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인식과 실현 양상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인식과 실현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응집성, 또한 관계적 응집성에 대한 교수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관계적 응집성을 교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