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장애수용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장애수용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Disability Acceptance on Life Satisfac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uthors
강담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disability acceptance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f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to derive services and policy support measure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local community to lead a high quality life. For analysi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data were used. PSED targeted registered persons with disabilities nationwide under Article 2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were aged between 15 and 64, as of May 15, 2016. The first wave of the survey of PSED has been conducted since 2008, and the second wave since 2016. This paper used the data of the 2020 survey. The method of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To identif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from the data, the SPSS 26.0 program was u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data were calculat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examined. In order to measure the impa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level and self-esteem, a mediation effect model was develope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Interpersonal ability, which affects soci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in various ways, helps mentally disabled people participate in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As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se activities increases, the number of resources supporting the mentally disabled increases, and poverty problems due to income generation become possible, which has a positive effect in relation to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Second, The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gree to which mentally disabled people accept their disabilitie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People with a high acquired incidence of mental disorders need to help them accept their disabilities as strength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to accommodate life that has changed since the outbreak. Third,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of mentally disabled peop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level and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social skills improvement is an essential factor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to interact with others, social skills training that can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needs to be operated. Social skills training is conducted by many institutions that run social welfare programs, and through social skills training, it can improve the ability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atisfactorily and form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s in social situations that promote individual social goal achievement. In additio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experie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social skills training improve their self-esteem.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and operate social skills tr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nterpersonal skills affect self-esteem.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degree of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the mentally disabl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art therapy programs and expanding training for peer support activists who can improve their values and accept disabilities smoothly through external activiti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rt therapy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ocess of accepting disabilities and help express their emotions and problems through art activities if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m in language. As an external activity that can improve the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peer support activists can be referred to. Peer support activities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have been discussed as a major factor in the recovery of mental disorders. When educating to train as a peer support activist, education on mental illness and drugs taken helps to accommodate one's disability. It can be predicted that mentally disabled people trained as peer support activists will be given a role in helping others and can help them recognize their abilities and experiences acquired through their disabilities as one ability. Third, Multilateral intervention at the social level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Many of the disabled, including the mentally disabled, are employed through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and the policie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ypes of disabilities or employed as part-time workers and put into work unrelated to their preferences. However, the higher the status of the disabled, their class of work,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is suggests that life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work deployed when mentally disabled people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so thi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as establishing policie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limited data used by this study led to analytical limitations. Other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such as residential environment, leisure activity frequency, and stress level were not included in the data. Second, this research targeted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registered under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ce this study did not include persons who were seriously ill for less than one year, or those who were not registered, as they did not want to be registered as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it failed to cover all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nationwide.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ath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mentally disabled people to life satisfaction, and has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studies and secondary data analysis. Due to the nature of the secondary data,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concept of variables such as interpersonal ability,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causal inference is difficult because it is cross-sectional data.;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장애수용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정신장애인들이 질 높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정책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했다. 장애인고용패널조사는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2016년 5월 15일 기준 만 15세 이상 64세 이하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규정하고 있는 등록장애인을 대상으로 1차 웨이브는 2008 년부터, 2차 웨이브는 2016년부터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020년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료에서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했으며,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인관계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장애수용정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모형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능력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 사회적 관계 형성, 취업 등 다방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능력은 정신장애인이 경제적·사회적 활동에 참 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활동 참여 횟수가 증가할수록 정신장애인을 지지해주는 자원의 수가 증가하고 소득 발생으로 인한 빈곤 문제 해결 등이 가능해지며 이는 정신장애인의 생활만족도와 연관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장애수용정도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정신장애인이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 후천적 발병률이 높은 정신장애인은 발병 후 변화한 삶을 수용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장애를 강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장애수용정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도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의 효과를 가졌다. 이에 대인관계능력과 장애수용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때 자아존중감을 함께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제시했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사회적 기술향상은 필수 요소이기 때문에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기술훈련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사회기술훈련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다수의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사회기술훈련을 통해 대인관계를 만족스럽게 발전시키고 개인의 사회적인 목표성취를 촉진시키는 사회상황에서 적절하게 언어적·비언어적 반응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회기술훈련을 통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경 험하게 된 정신장애인은 자아존중감도 향상된다. 이는 대인관계능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사회기술훈련을 확대하여 운영될 필요성이 있다고 시사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천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방법은 미술치료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며 정신장애인이 대외적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원활한 장애수용을 할 수 있는 동료지원활동가 양성 교 육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수용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장애수용정도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에 따라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장 애수용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장애수용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외적 활동으로는 동료지원활동가를 말할 수 있다.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원 활동은 정신장애의 회복에 있어 주요 요소로 논의되어 왔으며 동료지원활동가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 시 정신질환과 복용하는 약물에 대한 교육을 하여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다. 동료지원활동가로 양성된 정신장애인은 타인을 돕는 역할을 부여받고 이들이 자신의 장애를 통해 습득하게 된 능력, 경험이 하나의 능력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장애수용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사회적 차원의 다각적 개입이 필요하다. 정신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의 다수는 직업재활정책을 통해 취업을 하고 있으며 해당 정책은 특정 장애 유형에 집중되어 있거나 시간제 근무자로 고용되 어 본인의 선호와 관계없는 업무에 투입되는 사례가 발생한다. 하지만 장애인은 자신이 인지하는 종사상의 지위와 소속계층,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 이는 정신장애인이 경제활동 참여 시 배치되는 업무의 중요성과 지 위의 정도에 따라서도 생활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정신장애인의 적극적인 경제활동 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정책 수립과 동시에 이 부분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의 제한성으로 인해 분석의 한계가 있다. 데이터 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주거환경, 여가활동 빈도, 스트레스 등 다양한 변수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후속 연구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들을 파악하면 구체적인 지역사회 실천 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인정받은 정신장애인만 대상이 된다. 증상의 정도가 심함에도 불구하고 발병한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본인의 의지로 인해 정신장애인으로 등록하지 않은 사람은 제외되기 때문에 국내 모든 정신장애 인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장애수용정도가 생활만족에 이르는 경로를 파악하고자 진행된 연구로 횡단 연구 및 2차 자료 분석이 갖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2차 자료 특성상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 장애수용정도,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등 변인에 대한 정확한 개념 측정이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종단자료를 통해 각 변인들이 변화하는 것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