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섬망 노인을 돌보는 임상 간호사의 심리적 어려움

Title
섬망 노인을 돌보는 임상 간호사의 심리적 어려움
Other Titl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elders with delirium
Authors
황선미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essence by describ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ites of the clinical nurses who take care of elders with delirium.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clinical nurses in charge of delirium in elders,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nducted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technique, and gathered total of six participants for the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targeted on six clinical nurses who took care of the elders with delirium within one year from the participation dat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conventional data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erived five following topics : “Emotional fluctuation while caring elders with delirium,” “Feeling tired from delayed works,” “More hardship due to complaints from other patients and guardians,” “Feeling uncomfortable even during off-hours”, “Feeling rewarded when symptoms of delirium get better.” The participants were emotionally hurt when patients get aggressive or violent in their words and behaviors due to worsening of delirium symptoms even if they were aware that such words and behaviors are pathological symptoms. Although the participants felt frustrated when they couldn’t communicate well with delirium patients, the participants felt sorry and pathetic for the patients thinking about their own grandparents. The participants also regretted when they were angry with severe delirium symptoms. Elder patients with delirium have a high risk of accidents such as falls, so nurses spend more time with delirium patients and intensively care them for the safety. As a result, participants expressed that they were tired, saying that they were worri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focus on elder patients and that the nursing of patients with unstable conditions would be delayed and worsen. The participants also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 more hardship because they get complains from people who are sharing the room. When the patients, guardians, caregivers using the same wards complain about the discomforts they experience due to the elder patients with delirium, the participants felt sad and upset at the same time because there is no solution until the delirium patients get better.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felt pressured even after the work.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kept thinking about what happened with elders with delirium even at home and felt pressured about going to work again. The participants also said that elders with delirium, pressures, and hurt feelings remained in their head even after they got home. While they tried to forget about the pressures and emotional wounds from caring the elder patients with delirium in their own ways, the participants couldn’t get over them completely. Lastly, the participants felt touched and rewarded when the symptoms of delirium get better. Especially, the participants felt proud themselves when the elder patients recover from symptoms of delirium and mention about hurting physically and ment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motions of the clinical nurses who took care of the elder patients with delirium.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recognize, and improve the emotions of the nurses taking care of delirium patient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for suggesting the basic data for arranging the multilateral improvement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섬망을 경험하는 노인을 돌보는 임상 간호사의 심리적 어려움을 기술함으로써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노인 섬망을 간호하는 임상 간호사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022년 4월 26일부터 5월 31일까지 의도적 표집법과 눈덩이 굴리기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총 6명이 심층 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 참여 시점에서 1년 이내에 섬망이 있는 노인을 담당한 임상 간호사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통적인 내용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 결과 ‘섬망 노인 환자 간호 시 흔들리는 감정’, ‘업무가 지연되어 지침’, ‘다른 환자, 보호자의 항의로 어려움이 중첩됨’, ‘업무 외 시간에도 불편한 마음이 지속됨’,‘노인 환자의 섬망 증상이 호전되었을 때 보람을 느낌’으로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담당한 노인 환자의 섬망 증상이 심해져서 언어적, 행동적으로 과격하거나 폭력적인 모습을 보일 때 병리적 증상임을 인지함에도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섬망을 경험하는 노인 환자와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답답하다가도 자신의 조모가 생각이 나기도 하여 미안한 마음과 안쓰러운 감정이 들며, 노인 환자의 섬망 증상이 심할 때 화를 냈던 자신의 모습을 후회하기도 하였다. 섬망이 있는 노인 환자는 낙상 등 사고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환자 안전을 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여하게 되며 환자 옆에서 집중적으로 간호를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노인 환자에게 집중하여 다른 일을 하기 어려워지고, 상태가 불안정한 환자의 간호가 늦어져 상태악화가 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된다고 말하며 지친다고 표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섬망을 경험하는 노인 환자와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 이외에도 환자의 주변인으로부터 항의로 어려움이 중첩 된다고 하였다. 같은 병실의 다른 환자, 보호자, 및 간병인으로부터 섬망을 경험하는 노인 환자로 인한 불편감에 대한 항의를 받게 되지만, 환자가 호전되기까지는 해결방안이 없어 눈치를 보며 바쁜 일에 어려움이 가중되어 속상함과 함께 화도 난다고 표현하였다. 퇴근 후에도 연구 참여자들의 심적 부담은 연장선에 있었다. 일하는 중에 섬망 증상이 있는 노인 환자와 겪었던 일들을 퇴근 후에도 떠올리게 되어 불편한 마음과 출근에 부담이 된다고 표현하였다. 퇴근 후 쉬어야 할 시공간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근무 시 섬망 증상이 있는 노인 환자와 겪은 일들이 떠오르고 부담감이 머릿속에 맴돈다고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근무 중 섬망 노인 환자를 돌보며 받았던 부담스러운 마음과 상처를 각자의 방법으로 잊으려고 노력하였으나 완전하게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표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노인 환자의 섬망 증상이 호전되었을 때 벅찬 마음이 들며 보람을 느낀다고 표현하였다. 특히, 시간이 지나 노인 환자가 섬망 증상이 호전되어 신체적, 심리적으로 상처가 되었던 일들을 알아주고 대화를 나눌 때 뿌듯한 마음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 섬망 돌본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심리적 어려움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섬망이 있는 노인 환자를 돌보면서 느끼는 간호사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어려움을 인식하여 개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 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