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5 Download: 0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ternal Postnatal Attachment Scale

Titl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ternal Postnatal Attachment Scale
Other Titles
한국판 부아 애착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Authors
최유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ernal Postnatal Attachment Scale (K-PPAS). The transl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was conducted follow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guidelin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during April, 2022. A convenience sample of 396 fathers with infants in their first 12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8.0 and SPSS AMOS 28.0 programs.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ssess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participants were male with a mean age of 34.07±3.86 years, and almost all were married (98.7%) and living together with someone else (97.7%). Most were first-time fathers (83.3%), with a job (96.5%), and spent 8.68±4.30 hours on weekends and 3.65±2.36 hours on weekdays with their children. Childrearing support was received from their parents or parents-in-law (61.4%). 2. Regarding content validity, 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 based on the average method (S-CVI/Ave) was .99 and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 (I-CVI) ranged from .85 to 1.00. 3. In item analysis, the mean score of the K-PPAS item ranged from 2.97 to 4.19, with the skewness and kurtosis value ranging from -1.21 to .15, and -.64 to 1.88, respectively. The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item ranged from .30 to .68. 4. For construc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wo-factor structure was adequate with the addition of deleting 8 item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 acceptable model fit (χ2/df = 2.15, CFI = .93, TLI = .90, RMSEA = .08, SRMR = .06) was gained. 5. Convergent validity was acceptable with composite reliability value of two subscales (.81 and .67) above .60. For discriminant validity,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in the group without postnatal depression (t = -7.41, p < .001) than those with postnatal depression. Regarding criterion validit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presen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ernal Attachment Scale (r = .82, p < .01). 6. The Cronbach α of the K-PPAS and the two subscales ranged from .76 to .83 with adequate reli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PPAS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to measure father-infant attachment in Korea. It consisted of 11 items with two subscales (i.e. healthy attachment, and patience and tolerance). Hence, the K-PPAS is short and relatively convenient to be used to evaluate the attachment that a Korean father forms with his infant aged 12 months or younger. Furthermore, it can also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f assessing father-infant attachment,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support and enhance the formation of attachment between father and infant in need.;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부아 애착 척도(K-PPA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국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구 번안 과정은 세계보건기구(WHO)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온라인 설문 조사 방식으로 2022년 4월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생후 12개월 이하 영유아의 아버지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396명을 편의표집방법으로 모집하였다.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기준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분석과 Cronbach’s α을 확인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 28.0와 AMO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모두 남자이며 평균연령은 34.07±3.86세였고, 거의 대부분이 기혼(98.7%)이었으며, 동거(97.7%)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대부분은 직장인(96.5%)이었고 첫 자녀를 둔 아버지(83.3%)였다. 대상자는 주말에 평균 8.68±4.30시간, 평일에 평균 3.65±2.36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냈으며, 자녀의 양육 지원은 양가 부모(61.4%)로부터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2.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한 문항수준 내용타당도 지수(I-CVI)의 범위는 .85~1.00이었으며, 이의 평균인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VI/Ave)는 .99로 산출되었다. 3. 문항 분석 결과, K-PPAS 문항점수의 평균 범위는 2.97~4.19이었고, 왜도는 -1.21~.15, 첨도는 -.64~1.88이었다. 전체 문항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38에서 .59이었다. 4. 구성타당도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8개 항목을 삭제하여 2요인 구조가 적절함을 보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수용 가능한 모델 적합도(χ2/df=2.15, CFI=.93, TLI=.90, RMSEA=.08, SRMR=.06)를 보였다. 5. 수렴타당도는 2개 하위척도(.81, .67)의 CR값이 각각 .60이상으로 측정되어 수용 가능함을 보였다. 판별타당도는 산후우울증이 없는 군(t=-7.41, p<.001)에서 산후우울증이 있는 군보다 통계적 유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준거타당도에서는 K-PPAS와 PAS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82, p<.01). 6. K-PPAS와 2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α는 .76에서 .83의 범위로 적합한 신뢰도를 보였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K-PPAS가 국내에서 부아 애착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K-PPAS는 11개 문항으로 2개의 하위척도(건강한 애착, 인내와 관용)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K-PPAS는 국내의 아버지가 생후 12개월 이하의 영아와 형성하는 애착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쉽고 비교적 편리한 도구이다. 또한 부아 애착을 평가하는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아버지와 영아 간의 애착 형성을 지원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