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원곤 | - |
dc.contributor.author | 노화정 | - |
dc.creator | 노화정 | - |
dc.date.accessioned | 2022-08-04T16:32:43Z | - |
dc.date.available | 2022-08-04T16:32:43Z | - |
dc.date.issued | 2022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91889 | - |
dc.identifier.uri | 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91889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2120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를 양국의 태도전환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북중관계의 역동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해당 시기 북중관계의 속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는 단순히 북중 간 갈등기 혹은 냉각기로 평가되던 2018년 3월 북중정상회담 이전의 시기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의 역동을 ‘비대칭 동맹 약소국의 자율성과 안보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북중관계의 속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자 하였다. 시진핑 취임 직후 미사일 실험과 3차 핵실험으로 균열이 발생한 북중관계는 북한의 지속적인 핵·미사일 실험으로 인해 냉각기를 거치게 되었다는 것이 2018년 3월 북중정상회담 이전 북중관계에 대한 평가였다. 그러나 이 시기 북중관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북중 양국의 태도가 전환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시기 북중관계의 현상과 함께 북한과 중국의 입장과 태도를 1차 자료의 해석을 통해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폐쇄적인 국가 특성상 공개되지 않는 북한과 중국의 자료들을 2차 자료를 활용해 보충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한과 중국 사이에는 일곱 번의 태도전환이 있었고, 이를 통해 북중관계의 역동을 도출할 수 있었다.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북한이 대중 태도를 전환하여 중국에 대해 유화적 태도를 보인 것이 첫 번째 역동이다. 이후 중국 태도가 전환되지 않자 북한이 강경한 태도로 전환하여 중국을 압박한 것이 두 번째 역동이다. 세 번째 역동은 북중관계 회복을 거부해오던 중국이 2014년 9월 김정은의 건강 이상설로 인해 북한체제가 불안정해지자 대북 태도를 전환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네 번째 역동은 북한이 중국의 관계회복 노력에 대하여 거부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 이와 같은 태도를 보인 이유를 중국이 ‘투 트랙’ 전략을 구체적으로 발표한 데에서 찾았다. 이를 통해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방기(abandonment)될 위험이 없어졌다고 확신함으로써 핵 보유를 위한 계획을 지속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의 다섯 번째 역동은 2017년 상반기에 있었던 북중 간 언론공방전을 통해 북중갈등이 심화되는 모습이 나타난 것이다. 여섯 번째 역동은 심화된 북중 갈등이 중국의 태도전환으로 일면 소강되는 과정에서 관찰된다. 마지막으로 김정은 시기 북중관계의 일곱 번째 역동은 2018년 3월 북한과 중국이 급격하게 우호 협력 관계를 회복해 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같이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한과 중국의 일곱 번의 태도전환을 통해 역동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양국의 태도전환이 각 국가의 국익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는 ‘혈맹’, ‘순망치한’의 특수관계라기보다는 국익에 따라 협력과 갈등을 선택하는 전략적 관계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의 역동을 통해 이 시기 북중관계의 속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북한과 중국이 비대칭 동맹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비대칭 동맹의 속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활용했다. 구체적으로 ‘비대칭 동맹 약소국의 자율성과 안보’라는 관점에서 김정은-시진핑 시기의 북중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북중관계의 속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에서 비대칭 동맹 약소국인 북한의 안보와 자율성이 교환되는 시기와 교환되지 않는 시기가 있었다. 먼저, 북한이 중국에게 방기 당할 수 있다는 위험을 느끼고 있을 때, 북한의 자율성과 안보는 교환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중국의 강경하던 대북 태도가 전환되고 공식적으로 ‘투 트랙’전략이 언급되자 북한의 자율성과 안보는 교환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북한이 중국에게 방기 당할 수 있다는 위험이 사라졌다고 판단한 시점부터 북한의 자율성과 안보는 교환되지 않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는 비대칭 동맹의 약소국인 북한이 자율성과 안보가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의 역동을 ‘비대칭 동맹 약소국의 안보와 자율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2018년 3월 북중정상회담이 개최될 당시 북한의 위상은 단순히 비대칭 동맹의 약소국으로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s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based on the change of attitud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investigates the nature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 during the time period. In the proces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time before the North Korea-China summit held in 2018 March, previously evaluated as a period of conflict or cooling off period will be presented. Moreove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of North Korea-China relation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dynamics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and autonomy of the weaker country in an asymmetrical alliance.’ Before the North Korea-China summit in 2018 March, studies assessed that following the conflict in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 regarding the missile tests and third nuclear test immediately after Xi Jinping’s inauguration led to a period of cooling off due to North Korea’s continued nuclear and missile tests. However, a closer study of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 reveals a transition in the attitude of both countrie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phenomenon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is period along with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both countri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primary data. In the process, secondary data were used to supplement the information that are not disclosed due to the nature of North Korea and China as reclusive countr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There have been seven transitions of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Each time of transition led to a change in the dynamics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 The first dynamic was North Korea changing its attitude to show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s China after its third nuclear test in February 2013. When China’s attitude did not change, North Korea transitioned to a more tough attitude to pressure China. This is the second dynamic. The third dynamic is when China, which had refused to reconcile i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changed its attitude when the North Korean regime became unstable due to rumors of Kim Jong Un’s health problems in September 2014. The fourth dynamic was North Korea’s rejection of China’s efforts for reconciliation. This study found the reason for such attitude in China’s concrete announcement of its “two-track” strategy. North Korea became convinced that there was no threat of becoming abandoned by China and was able to continue its plan to hold nuclear power. The fifth dynamic in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was the intensifying of the conflic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reflected in the media warfar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irst half of 2017. The sixth dynamic is observed when the intensified conflic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is subsided by China’s change of attitude. Lastly, the seventh dynamic in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Kim Jong Un period is the sudden reconciliation of their relationship leading to a cooperativ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in March 2018. In this way, the process of defining the seven dynamics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s by analyzing the transitions of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reveals that the transition was related to each countries’ national interests.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hip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to be a strategic relationship in which each countries transitions between cooperation and conflict according to their national interests rather than a distinct relationship of “blood alliance” or “without the lips, the teeth feel the cold(脣亡齒寒).”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by studying the dynamics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In particular, as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is an asymmetrical alliance,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nature of asymmetrical alliance was used. Specifically, the nature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was defined by analyzing the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and autonomy of the weaker country in an asymmetrical alliance.’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There were times the security and autonomy of North Korea, the weaker country in the asymmetrical alliance, were exchanged in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and times when there was no exchange of security and autonomy. First of all, the autonomy and security of North Korea were exchanged when North Korea was threatened by the possibility of abandonment by China. Meanwhile, when there was a transition in China’s tough attitude towards North Korea and the “two-track” strategy was officially announced, there was no exchange in North Korea’s autonomy and security. There was no such exchange from the point when North Korea decided that there was no threat of being abandoned by China. This means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both security and autonomy of North Korea, the weaker country in this asymmetrical alliance, in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ynamics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with the perspective of ‘security and autonomy of the weaker country in an asymmetrical alliance,’ it is concluded that North Korea’s status during the time of the North Korea-China summit in March 2018 is not just that of a weaker country in the asymmetrical alliance.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Ⅱ. 연구방법 9 A. 연구범위 9 B.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9 Ⅲ. 북한의 전통적 우호 협력 강조와 중국의 실무적 대응 12 A. 북중관계 균열의 발생(2012.11 ~ 2013.9) 12 B. 북한의 대중 태도 전환(2013.10 ~ 2014.8) 17 Ⅳ. 중국의 북중관계 회복 노력과 북한의 불응 23 A. 중국의 대북 태도 전환(2014.9 ~ 2014.12) 23 B. 북한의 북중관계 개선 거부(2015.1 ~ 2016.12) 26 Ⅴ. 북한의 핵 능력 완성과 중국의 딜레마 35 A. 북중 갈등의 심화(2017.1 ~ 2017.5) 35 B. 중국의 대북 태도 재전환(2017.6 ~ 2017.12) 41 C. 북중 우호 협력의 회복(2018.1 ~ 2018.3) 47 Ⅵ. 결론 52 참고문헌 57 ABSTRACT 64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779858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ddc | 900 | - |
dc.title | 김정은-시진핑 시기 북중관계의 연속과 단절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during the Kim Jong Un-Xi Jinping Period | - |
dc.creator.othername | Noh, Hwa Jeong | - |
dc.format.page | ⅲ, 67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북한학과 | - |
dc.date.awarded | 2022.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