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5 Download: 0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uthors
김태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남녀 청소년 집단을 분리하여 살펴보았으며, 성에 따른 경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남녀 중학생 235명(남학생 118명, 여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Barber(1996)가 개발하고 최명진(2010)이 번안한 심리적 통제 척도(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은 인지적 측면인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측면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 측면은 Diener 등(1985)이 개발한 척도를 임영진(2012)이 타당화한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K-SWLS)를 사용하였다. 주관적 안녕감의 정서적 측면은 Watson 등(1988)이 개발한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PANAS)를 박홍석, 이정미(2016)가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Cook(1988)이 개발하고 이인숙과 최해림(2005)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정서표현 양가성은 King과 Emmons(1990)가 개발한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naire: AEQ)를 최해연(2008)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6.0(IBM Co., Armonk, NY)과 AMOS 22.0(IBM Co., Armonk, N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PCC]),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 다중집단 분석(Multiple Group Analysis [MGA])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는 여자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만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나, 이 경로에서 청소년의 성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즉 이 경로에서 여자 청소년의 직접효과 크기가 작아 남자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남녀 청소년 모두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녀 청소년 모두 유의하였으나,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낮았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녀 청소년 모두 유의하였으나, 이 경로에서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남녀 청소년 모두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 수준이 낮았다. 셋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만 유의하였으나, 이 경로에서 성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즉 이 경로에서 남자 청소년의 직접효과 크기가 작아 여자 청소년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표현 양가성에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청소년의 성차가 유의하였으며,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만 정서표현 양가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 수준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녀 청소년 모두 유의하였으나, 이 경로에서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남녀 청소년 모두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성별을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각 개별 경로에서 남녀 청소년에 따른 직접효과 크기의 차이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력이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청소년기 아버지-자녀 관계를 위한 개입 방안을 고려함에 있어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낮은 주관적 안녕감 수준과 관련하여 주관적 안녕감을 낮추는 요인들에 대해 이해와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 analyzed boy and girl groups separately, and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athways according to gender. A total of 235 middle school student (118 boys, 117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e data wa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PC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ple Group Analysis(MGA) using SPSS 26.0(IBM Co., Armonk, NY) and AMOS 22.0 (IBM Co., Armonk, N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direct effects only on girl’s subjective well-being, but the gender difference of adolescents was not significant in this pathway. In other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boys because the direct effect sizes of girls were too small in this pathway. Second, in both boys and girls,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affected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internalized shame. The direct effects of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nalized shame were significant for both boys and girls, but the higher the level of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lower the internalized shame level in boys than girls. The direct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subjective well-being were significant in both boys and girls, but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is pathwa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the lower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for both boys and girls. Third, the indirect effects of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re significant only in boys. The direct effects of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significant only in boys, but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is path. In other words, the direct effects size of boys were too small in this pathway, so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direct e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he gender difference of adolescents was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boys, the higher the level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the lower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Lastly, the indirect effects of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boys. The direct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ere significant in both boys and girls, but the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is pathway. That is, in both boys and girls, the higher the internalized shame, the higher the level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examined by gender,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direct effects according to boys and girls in each individual path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fluences of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adolescent, and tha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dolescent's gender should be considered when considering interventions for the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 Lastly,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lower subjective well-being in relation to the low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and preparing an intervention pl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