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욥기 3장과 38장의 관련성 연구

Title
욥기 3장과 38장의 관련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evance with Job 3 and 38
Authors
김한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윤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욥의 발언을 대표하는 욥기 3장과 하나님의 발언을 대표하는 욥기 38장을 수사비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문학형식적·주제적 관련성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욥기 3장을 재앙과도 같은 고난을 만난 욥의 독백으로 규정해 왔고, 욥기 38장의 하나님 발언은 위압적인 질문으로 욥을 몰아붙이고 있거나 욥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회피하는 식으로 동문서답을 하고 있다고 해석해 왔다. 그러나 욥기 3장을 독백으로 규정하게 될 경우, 욥 발언이 향하고 있는 직접적인 대상자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욥 발언의 의미와 역할을 충분히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욥기 3장의 문학형식을 수사비평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탄식시로 규정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장의 구조는 욥기 전체의 주제를 부각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욥이 출생하는 먼 과거로부터 현재 시점으로의 주제 흐름, 도입부에 사용된 대화 관용구 ‘ויען ויאמר’, 수사적 질문의 사용 등이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욥기 3장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창세기 1장과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면서도 내용상 전통적인 창조신학을 역행한다는 점, 대조어를 사용하여 현실과 바람의 간극을 극대화하였다는 점, 그리고 인내자의 모습에서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는 반항자의 모습으로 변화한다는 점 등 전통적인 탄식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마찬가지로 욥기 38장의 문학형식을 분석한 결과, 도입부에 대화 관용구 대화 ‘ויען ויאמר’를 사용함으로써 주제를 부각시키는 구조를 체계화하고 있으며, 세계의 기초와 섭리 등 시원적 창조에 대한 질문들로부터 현재에도 경험할 수 있는 기후와 자연 현상의 문제까지 먼 과거에서 현재 시점으로 주제의 흐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욥기 3장이 하나님을 염두에 둔 탄식적 질문이며 38장에서 하나님이 욥을 지목하여 대답하시는 구조와 내용을 보인다는 점에서 38장을 대화시로 규정하였다. 38장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창조 주제에 대해 수사적 질문으로 대답하고 있다는 점, 3장과 동일한 단어와 비유들을 사용하여 38장의 창조신학과 구원에 대한 주제를 강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욥기 3장과 38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학형식적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욥기 전체 구조에서 볼 때 욥기 3장과 38장은 질문과 응답으로 대응하고 있다. 즉, 욥기 3장부터 42장 6절까지의 시문부 단락 중에서 욥기 3장은 친구들과의 대화와 하나님과의 대화를 열고 있으며, 38장은 하나님 발언 전체를 시작하는 첫 번째 발언에 해당한다. 아울러 3장과 38장의 문학형식에서 구조, 장르, 어휘가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밝혔다. 두 단락의 구조 체계는 매우 유사하며, 도입부에서 동일한 대화 관용구를 사용하고, 세 개의 연에서 유사한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조응하고 있다. 욥과 하나님의 관계성에 기반함으로써 3장의 탄식과 38장의 대화가 연결되고, 탄식시와 대화시의 내용이 전통적인 내용의 변주, 수사적 질문 사용이라는 형식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서로 조응하고 있다. 또한 3장과 38장의 어휘적 관련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두 단락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핵심 비유 역시 동일하게 활용함으로써 상호 의미의 대칭성을 이루었다. 3장과 38장의 문학형식적 조응은 주제적 관련성과도 연결되어, 3장과 38장의 공통 주제인 창조신학, 구원신학, 인과응보에서 의미의 대칭성을 이루어 하나님 발언의 주제를 부각시켰다. 창조신학 주제에 대해서는, 3장에 나타나는 창조질서의 역행을 38장에서 부정함으로써 창조세계에서의 하나님 주권의 자율성, 포괄성, 온전성을 극대화시킨다. 즉, 두 단락은 창조질서의 정반합을 경험한 욥에게 새로운 창조세계에 대한 관점을 갖게 하는 것으로 긴밀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구원신학 주제에 대해서는, 3장과 38장이 전통적인 탄식시나 구원신탁과 다르게 욥의 실존적 질문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으로서 또 다른 구원확언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3장과 38장에서의 ‘게베르’(גבר) 의미의 대칭성을 통해 하나님이 욥에게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욥기 3장과 욥기 38장은 문학형식적으로 구조, 장르, 어휘가 긴밀하게 조응하고 있으며, 주제적으로도 전통적인 내용에서는 벗어나 있지만 그 또한 상응한 측면이있음을 밝혔다. 또한 동일한 단어와 비유를 사용함으로써 3장과 38장이 유사성과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욥기 3장과 38장은 형식적·내용적으로 긴밀한 관련성을 가진 욥과 하나님의 대화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하나님의 발언은 욥 탄식의 모든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하나님이 욥의 발언을 인정, 수용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ravel the relevance of literal and themetic format between chapters 3 and 38 in the Book of Job by analyzing them from a rhetorical criticism perspective. Several researchers have defined chapter 3 of Job as Job's monologue in which he encountered catastrophic hardships and interpreted chapter 38 of God's remarks as a daunting question or as a way of evading an answer to Job's question. However, if chapter 3 is characterized as a monologue, it becomes difficult to fully grasp the meaning and role of Job's remarks since it makes readers unable to recognize to whom Job's remarks are directed. Based on a rhetorical critical analysis of Chapter 3's literary form, it was determined that the term "lament" is acceptable. Moreover, the systematic structure of Chapter 3 emphasizes Job's overall theme. The narrative flow from Job's birth in the far past to the present, the employment of dialogue idioms in the opening, and the use of rhetorical questions were also recognized. Analysis of Chapter 3's content revealed things that cannot be found in traditional laments, such as how it contradicts traditional theology of creation while using the same words as Genesis 1, how it uses contrast words to accentuate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ity, and how it transforms the author from a patient to a rebel who curses his birthday. Similarly, analyzing the literary form of Chapter 38 reveals that it systematizes the framework of emphasizing the issue through the use of the dialogue idiom ‘ויען ויאמר’in the introduction and narrative flow, commencing from the past in the development of the foundations to the current topics of natural occurrences. In addition, Chapter 38 was defined as a dialogue poem in that Chapter 3 includes Job’s lament questions with God in mind, and Chapter 38 displays the form of God's response to Job's queries. The analysis of Chapter 38's content showed that the topic of creation was answered with rhetorical questions, and the theme of theology of creation and redemption was strengthened by using the same terms and metaphors as Chapter 3.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ceding investigation, the relative format of Chapters 3 and 38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overall structure, chapters 3 and 38 correspond with questions and answers. In other words, among the verses from chapters 3 to 42:6, Chapter 3 initiates conversations with friends and with God, whilst Chapter 38 relates to the initial statement that opens God's full remark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tructure, genre, and terminology closely resembled those of Chapters 3 and 38. The structural frameworks of the two chapters are quite similar and are structurally coordinated, as evidenced by the usage of the identical conversation idioms in each chapter's introduction and the closeness of the three stanzas' temporal flows. The laments in chapter 3 and the conversations in chapter 38 are related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Job and God, and the contents of lament and conversation are coordina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formal similarity of variations of traditionality and the use of rhetorical questions. Also, Chapters 3 and 38 have a lexical connection due to their usage of the same term and metaphors to attain symmetry. The correspondence of literary form in Chapters 3 and 38 was also linked to its thematic relevance, creating semantic symmetry and highlighting the theme of God’s remarks. When it comes to theology of creation, Chapter 38 maximizes the autonomy, inclusivity, and integrity of God's sovereignty in the creative world in the created universe by opposing the reversal of the orders of creation described in Chapter 3. Hence, the two chapters show close relevance as giving Job, who has experienced the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of orders of creation, a perspective on the new world of creation. When considering the theology of salvation, Chapters 3 and 38 reveal that additional confirmation of salvation is made as God's response to Job's existential query, which differs from typical lamentations or salvation oracles. God accomplished this by giving Job a new identity, as evidenced by the symmetry of the meaning of ‘גבר’ in Chapters 3 and 38.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chapters 3 and 38 from the Book of Job are conversations between Job and God, corresponding the structure, genre, and vocabulary in literal form, addressed by untraditional topics, and employing the same phrases and metaphors. It is interpreted that God's comments are based on all in Job's lament,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God acknowledges and accepts Job's wor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