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6 Download: 0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lans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uthors
김유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culture is at the cente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ultural industry has been emerging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a core industry of the country throughout the world, so that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striving to establish policies and support for the cultural industry. Therefore,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need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creatively develop our own arts and culture and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nd started to study with the most basic questions about what traditional art education is, how and why it should be taught, and when and where traditional art education should be done for whom. Thus, it was considered how the clas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ould be actively take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advance in a more developmental direction.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dentify trends and problems in traditional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rt textbooks that reflect the core of current curriculum focusing on middle school and seek for plans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interviews with current middle school art teachers. The following procedure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t, and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social context were comprehend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Second, the connection with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was explored and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considered. Third,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unit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 on traditional art education reflecting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were selected by composition and contents, and the detailed outline for each standard was developed and conceived. Fourth,the final outline was applied and analyzed the traditional art unit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 in detail. Fifth,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of the middle school, and opinions on points of improvement were synthesized. Sixt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n the traditional art unit in art textbook and the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art teachers, plans were sought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o be specific about the research method, analysis criteria was selected in terms of aspects of composition and content of art textbooks for a total of 28 textbooks, including 14 types of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currently in use, and texts and images of art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tailed analysis criteria.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how much the art textbooks actually reflect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traditional art education, and overall tendency was identified for each textbook. In respect to the composition analysis, all the pages except for the cover, table of contents, appendices, and references of the art textbook were analyzed based on the units related to traditional art, and it was decided whether the traditional art unit presented contents and illustr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Regards to the content analysis, the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of the traditional art unit were analyzed as detailed criteria by area and textbook,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se criteri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mposition analysis, the area of the traditional art accounted for an average of 22 pages, approximately 11% of the total, and by volume it could not be found tha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whereas the proportion of traditional art fields was different for each publisher.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area,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art education could not be found in all 14 type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in the experience area, but it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area with an average of 15 pages, approximately 66% as well as in the appreciation area with an average of 8 pages, approximately 34% in the appreciation area. Second, in respect of content analysis, trends and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unit, learning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by area and textbook.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area, as with the results of composition analysis,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not covered by the experience area, but focused by the expression area, and the reflection ratio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In the contents of the unit, the unit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urrent art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s and presented a unit that can cultivat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art culture’. Beside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reorganize the development of the unit and the unit title, and to present various lesson objectives or materials for traditional art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level. There we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by publishers, and the content of learn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existing art textbooks focusing on theory and information delivery. In the learning activities, traditional art education was concentrated on the area of expression, and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for each publisher. There was no learning activity related to traditional art education confirmed in the experience area, and the number of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raditional art was an average of 6 in the expression area, and 1 in the appreciation area. In particular, there were a total of 6 publishers offering learning activitie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appreciation area, which are less than half of the total of 14 publishers. Expression activitie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but most of them are still activities such as drawing and making, and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limited to writing criticism and appreciation, it wa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activities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ers in the changing times. Concerning of illustrations, there were an average of 22 traditional art works published in the expression area, and an average of 36 traditional art works in the appreciation area. Since most of the appreciation area is art history, many images were adapted to explain Korean art by era. Furthermore, it was realized that the size of the illustrations would need to be improved to present the works of various types and periods in order to understand our ancestors’ wisdom and life and bring out the art characteristics as even the illustrations of 6 publishers that suggest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appreciation area were focused on paintings, crafts, and artworks of the Joseon Dynasty only. Third, as for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art teachers, they understand even though art textbooks were not used in actual classes, but should have been used or are necessary for students. They also agreed that it would be helpful in practicing traditional art education if the composition and learning contents of art textbooks were improved. It was mentioned that in order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be conducted with high-quality classes and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al field, teachers' competence should be strengthened,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the school budget and support should be expanded, and opportunities for teacher training should be increased. Moreover,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class hours, performance evaluation, teaching culture, and administrative work, and so on. It is also necessary for government policies and supports to keep the efforts of teachers and academic circles maintain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 reflecting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howed differently by textbook in respects of composition and content, and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erms of unit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the proposition of illustrations. In order to actively conduct traditional art-related classes in the educational field,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proportion of each area and to take an intertwined and integrated approach among areas.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present the name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units taking the learners’ level into consideration in the appreciation area in order to reflect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and to be considered making efforts for activities that can reflect the times and arouse interest. Above all, appropriate images need to presented to show balanced and diverse traditional art in learning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Once traditional art education will be actively taught in the educational field learners in the transition period of lif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traditional art and connect it with life to enjoy and take advantage of in daily life, and then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era of visual culture can be a driving force to recognize our traditional art as one of the various cultures in the world, not just as old ones, and to maintain and develop the identity of our culture in the global commun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sought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hat can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reflecting the next revised art curriculum in 2022 is coming close,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 basic data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within art textbook. It is also expected to be a meaningful work throughout art education.;21세기 국가 경쟁력의 중심에는 문화가 존재한다. 세계적으로 문화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국가의 핵심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부도 문화산업에 대한 정책과 지원에 힘쓰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우리의 고유한 미술문화를 창조적으로 발전시키고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통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통미술교육은 무엇이며, 어떻게, 왜 실천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전통미술교육은 누구를 위하여 언제, 어디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물음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나아가 전통미술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를 중심으로 현행 교육과정의 핵심을 반영하고 있는 미술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전통미술교육의 경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직 미술교사들과의 면담 내용을 종합하여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첫째,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전통미술의 개념과 특징, 사회적 맥락에서 전통미술교육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에서 전통미술교육과의 연계성을 탐색하고 전통미술교육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셋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분석기준을 구성과 내용으로 선정하고, 기준에 따른 세부 틀을 선정하여 그에 따라 분석하였다. 넷째,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현직 중학교 미술교사 면담을 통해 전통미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에 관한 의견을 종합하였다. 다섯째,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결과와 면담 내용을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사용 중인 전체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14종, 총 28권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구성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분석기준을 선정하고 교과서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세부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전통미술교육을 실질적으로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현황을 확인하고 교과서별 경향을 확인하였다. 구성분석에서는 교과서의 표지, 목차, 부록, 참고문헌을 제외한 전체 쪽수에서 전통미술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였으며, 전통미술 단원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나 전통미술과 관련한 내용과 도판을 제시하였는가를 판단하였다. 내용분석은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 학습활동, 도판을 세부 기준으로 영역별, 교과서별로 분석하고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기준에 따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분석에서는 전통미술 영역이 전체적으로 평균 약 22쪽, 약 11%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권별로는 ①권에서는 평균 약 12쪽, 약 11%, ②권에서는 평균 약 11쪽, 약 10%로 전통미술 영역의 뚜렷한 차이점을 찾을 수 없었으며 출판사별로 전통미술 영역의 비중이 상이하였다. 영역별로는 체험 영역에서는 전통미술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없었고, 표현 영역에서는 평균 약 15쪽, 약 66%, 감상 영역에서는 평균 약 8쪽, 약 34%로 나타나며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내용분석에서는 단원의 내용, 학습활동, 도판을 영역별과 교과서별로 분석하여 경향과 특징을 확인하였다. 구성분석과 결과와 마찬가지로 체험에서는 전통미술교육을 다루지 않고 표현 영역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교과서별로 전통미술교육의 반영이 상이하였다. 단원의 내용에서는 현행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단원을 전개하고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단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단원의 전개와 단원명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전통미술 소재를 제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출판사별로 양적·질적인 면에서 편차가 심하고, 학습의 내용도 이론이나 정보 전달 중심으로 기존의 미술 교과서와 내용 측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학습활동에서는 전통미술교육이 표현 영역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출판사별로 차이가 컸다. 체험 영역에서는 전통미술교육 학습활동을 확인할 수 없었고, 표현 영역에서는 평균 약 6개이며 감상 영역에서는 평균 약 1개였다. 특히, 감상 영역에서 전통미술교육의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출판사의 교과서는 총 6종으로, 전체 14종 교과서의 반도 미치지 못하였다. 전통미술교육의 표현활동은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여전히 그리기, 만들기와 같은 활동이 대부분이며, 감상활동도 비평문 쓰기, 감상문 쓰기에 그치고 있어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학습자를 고려하여 다양한 활동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도판에서는 표현 영역에서 평균 약 22개의 전통미술 작품이, 감상 영역에서는 평균 약 36개의 전통미술 작품이 게재되었다. 이는 감상 영역이 대부분 미술사이기 때문에 시대별로 우리나라의 미술을 설명하기 위해 참고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었다. 감상 영역의 학습활동을 제시한 6개의 출판사의 도판 이미지들은 회화와 공예, 조선시대의 작품에만 편중되어 있어 우리 선조의 지혜와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과 시대의 작품 제시와 미술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도판의 개선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현직 미술 교사의 면담을 결과를 보면 현직 미술 교사들은 미술교과서를 실제 수업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으나 미술교과서를 수업 준비에 활용하며 학생들에게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미술교과서의 구성과 학습 내용에서 개선이 된다면 전통미술교육을 실천하는 것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이 양질의 수업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을 개선하고 교사의 역량을 강화해야 하고, 수업환경의 개선, 학교 예산과 지원의 확대, 교사 연수의 기회가 늘어나야 한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교과간의 통합, 박물관과 미술관을 연계하거나 수업 시수나 수행평가, 교직문화, 행정업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교사와 교육계의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과 지원도 필요하다고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전통미술교육은 구성과 내용에서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단원의 내용과 학습활동, 그리고 도판의 비중에 있어서 체험, 표현, 감상의 영역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 관련 수업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역별 비중의 적정화와 영역 간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행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반영하기 위해서 감상 영역에서는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단원의 명칭이나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학습활동과 도판에서는 시대를 반영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고민과 시도, 균형 있고 다양한 전통미술을 보여줄 수 있는 적절한 참고 이미지를 제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를 통해 전통미술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천되고, 인생의 과도기에 있는 학습자가 전통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삶과 연계하여 일상생활에서 향유하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각문화시대의 전통미술교육은 우리의 전통미술을 오래되고 낡은 것이 아니라, 세계의 다양한 문화 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지구공동체 안에서 우리의 문화 정체성을 유지·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전통미술교육이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고, 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보완하고자 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차기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제작을 앞둔 현 상황에서 전통미술교육 영역의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술교육 전반에 걸쳐 의미 있는 작업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