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4 Download: 0

소재의 중첩을 통한 슬래시(Slash)기법의 조형성 연구

Title
소재의 중첩을 통한 슬래시(Slash)기법의 조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the Slash Technique through Overlapping of Materials
Authors
신경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본 논문은 중첩된 직물을 쌓아 올려 바느질하고 잘라내는 슬래시기법을 이용해 규칙적인 선과 면의 반복된 조형요소를 통해 자아표현을 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자의 작업은 선과 면의 시각적 반복뿐만 아니라 반복행위에서 비롯된 과정이 함께 내포되어 있다. 슬래시 방법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거시적 차원의 반복 원리와 구조 및 반복행위의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주관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반복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작품의 속성에 대한 규명으로 이루어졌다. 선, 면, 반복과 중첩은 슬래시 기법에서 주된 표현 요소로 나타난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선, 면, 반복과 중첩은 비례, 조화, 리듬, 공간감, 투시도법적 특성과 연결되며 이는 작품 구성에 있어서 핵심적 조형언어의 역할을 한다.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게슈탈트 심리학은 내면에 숨겨진 신체적·심리적 힘이 본질적인 자신의 내적 표현방법이 됨을 전체성과 단순성의 특징으로 정의하고 있다. 인간은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의 특성에 의하면 인간이 가장 안정된 구조로 지각하려는 경향을 파악하여 균형, 배열, 방향, 간격, 넓이 등의 기본적인 형식을 작품에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자아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자아표현의 의미와 반복적 행위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가 추구하는 근본적 개념을 수행적 반복행위를 통해 고도로 집중된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평온과 희열, 편안함을 도출하여 내면의 자아를 찾고자 하였다. 현대 미술가들은 새로운 예술의 표현방식으로 반복적 행위를 이해하고, 진정한 자아의 다양한 면모를 시각화하는 일환들을 여러 예술 매체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연구자는 무의식에 기초를 둔 자발적인 반복행위를 자아와 마주하게 함으로써 인간 행위의 긍정적 효과와 내면적인 평온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반복 작업을 통해 수행 차원에서 자아를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섬유 매체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하여 그 특징적 면모를 조형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작품 제작 방법으로 슬래시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기법의 표현방법은 직물의 형태와 구조, 배색과 배열이 중요한 특징적 요소이다. 슬래시의 형태는 선의 조형성을 강조한 것으로 기하학적인 장식성을 지닌다. 구조는 중첩된 개수에 따라 입체적이며 공간적 표현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슬래시 표현방식에서 배색과 배열방식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직물 배열의 순서와 방식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슬래시기법을 사용하여 선과 면을 시각적, 심리적 감정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고자 반복과 중첩의 작업과정을 통해 내면의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도입하였다. 작품의 소재는 슬래시 하였을 때 레이어 된 가장자리가 섬세하게 올이 풀려 부조적 느낌이 도드라지는 실크 오간자(oganga)를 사용하였다. 천연소재인 실크 오간자는 인간 친화적이고 감성적인 소재로, 중첩되었을 때 부드러움 속에 내재된 강인함과 인간의 내면을 보다 심층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소재이다. 색채는 인간의 심리와 상호 작용하며 일정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생각을 창조적으로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자에게 무채색은 삶의 질서, 정리정돈 및 이성적인 내면의 자아 인식과 심리적 평온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이라 할 수 있다. 직물을 중첩할 때 색 배열을 통해 그라데이션으로 효과를 드러낼 수 있는데 색과 색의 관계적 표현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를 통해 자아와의 소통을 전달하고 차분하면서 이성적인 내면의 이미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정신적 평온과 심리적 차이와 반복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슬래시 방향에 따른 조형화 작품은 슬래시기법에 적용한 직선의 반복성과 편안함 안정감을 표현하고 겹들의 트리밍된 사이로 깊이감이 드러나며 작품에서는 전통적인 슬래시 기법에서부터 변형, 발전되면서 직선으로 응축된 에너지를 표출한다. 슬래시의 방향과 변형에 따라 직물 고유의 물성이 드러나 무한공간으로 확장 시켜 새로운 조형물이 완성된다. 선에서 느껴지는 힘은 움직임, 열기, 긴장감, 고도의 절제감에 이르기까지 자유로운 에너지의 확장된 공간으로서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수없이 반복되어 절개된 선들 사이로 무채색 그라데이션과 직물의 중첩으로 인한 무게감은 새로운 공간과 깊이감의 표현이며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과정이다. 슬래시기법에서 반투명 소재의 직물 배열은 중요한 조형요소가 되기 때문에 가장 위에 올린 직물의 색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투시도법적 입체화 표현방법으로는 시각적 통일성을 주는 조형요소로 반복을 사용하였다. 반복된 사각형의 프레임 안에서 잘라내는 과정을 통해 비움이 드러나난다. 무채색 반투명 섬유를 이용해 여러 겹으로 중첩한 다음 사각 형태로 잘라 투시도법적 사각 층이 연속적으로 어우러지게 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 내면의 관계적 소통을 표현하였다. 원근법을 이용해 슬래시한 사각 형태에 공간감을 더하고 색의 반복을 통해 시각적 통일감을 주었다. 사각형 프레임은 엄격한 규칙성과 통일성 안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는 반복으로 다양성을 유도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변화요소로 사용하였으며 부분적 반복 방식에서부터 전체의 반복으로 이어져 표현방식의 스펙트럼을 확장시켜 나갔다. 겹(裌)에 의한 구조화로 이루어진 작품은 겹겹이 쌓아 나가는 과정을 통해 여러 겹의 직물들이 겹쳐짐으로써 채움을 표현하였다. 겹겹이 쌓은 직물은 고정되면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만든다. 고정을 통해 표현된 반복적 패턴화는 겹을 따라 또 하나의 밀집된 형태를 만들어낸다. 중첩은 단순한 쌓기가 아니라 나를 채워가는 과정으로, 그 안에 내재돼 있는 무의식을 표현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쌓기를 통해 소재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표현하려 하였으며 입체적인 표현과 기법을 연구하여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슬래시기법을 사용한 선과 면의 반복과 중첩 작업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 3차원적 공간으로의 구조적 표현방법을 발견하고 섬유의 조형적 깊이를 더 할 수 있는 가능성과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탐구와 시도로 현대 조형언어로써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섬유예술에서의 슬래시는 새로운 조형성과 미적 특징을 가지고 재료의 특성뿐만 아니라 형태에서도 매우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반복적 행위에서 오는 내적 평온을 느꼈으며 작품과의 소통의 과정으로서 수행과 시간의 축적성을 담아내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슬래시기법의 조형성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과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슬래시기법의 조형성에서 출발한 본 연구가 새로운 섬유 조형 작업에 발전 계기가 되고, 새로운 조형 예술작업으로의 확장 가능성과 향후 작품의 다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This paper is a study for self-expression through repeated formative language of regular lines and faces using the slash technique to stack, stitch, and cut overlapped fabrics. The researcher's work involves not only the visual repetition of lines and faces, but also the process originates in the repetitive actio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slash method,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repetition at the macroscopic level and the meaning of repetitive action are discovered and analyzed from a subjective viewpoint followed by the identification of works created through repetitive processes. Lines, faces, repetitions, and overlapping appear as powerful expression elements in the slash technique. In the researcher's work, lines, planes, repetitions, and overlapping appear as proportions, harmony, rhythm, sense of space, and perspectival characteristics, which play the role of formative language in the composition of the work. Rudolf Arnheim's Gestalt psychology indicates tha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wers hidden in the inner side become an essential way of internal expression and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otality and simplicity. Humans can grasp the tendency of humans to perceive forms as the most stable structu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stalt visual-perceptual theory, and can use basic forms such as balance, arrangement, direction, spacing, and width as guidelines in their works. This study systematically explores the concept of self and examines the meaning of self-expression and repetitive actions with a view to finding the self in the inner side by deriving tranquility, joy, and comfort, which are the fundamental concepts pursued by the researcher, in the state of freedom from all ideas and thoughts with extreme concentration through performative repetitive actions. Contemporary artists understand repetitive actions as a new art expression method and are showing parts of visualizing various aspects of the true self through various art media.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positive effect and inner tranquility of human beings can be aroused by making human beings face their self through voluntary repetitive actions based on the unconscious. Through repetitive works, this researcher intends to explore the self in the performance dimension, and in that process, formatively embody the characteristic aspects util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extile medium. To that end, the slash technique was used as a method of making works. The expression method of this technique has important characteristic elements such as the shapes and structures of fabrics, coloration, and arrangement. The shape of the slash emphasizes the formativeness of the lines and plays a decorative role. In the case of structures, three-dimensional and spatial expressions play an important ro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verlapping, and since colors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loration and arrangement method in the slash expression method, the order and method of arranging the fabric become an important element. Using the slash technique, visual and psychological emotions were delivered with lines and faces in various methods and many methods were tried to express the self in the inner side through the work process of repetition and overlapping. Silk organza, which can be expressed in relief as the layered edges are delicately unraveled when slashed, wa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work. Silk organza, a natural material, is a human-friendly and emotional material, and it was a material suitable for expressing the strength inherent in softness and the inner side of human beings more deeply when it was overlapped. Colors interact with human psycholog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ertain images and creatively expressing thoughts. To the researcher, achromatic colors can be said to be colors that can effectively express the order of life, tidying up, extremely rational inner self-awareness, and psychological tranquility. When fabrics are overlapped, gradations appear through color arrangement. It will be used to confirm the fact that it is a relational expression of colors and through the relationships as such, not only the image in the inner side will be enhanced but also mental tranquility, psychological differences, and repetitions will be metaphorically expressed. The formative works with different slash directions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as such express the repeatability, comfort, and stability of the straight lines applied to the slash technique, and the sense of depth is revealed between the trimmed layers of fabrics, and the works express the energy condensed into straight lines developed while being transformed from the traditional slash technique.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slash,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fabric are revealed and expanded into an infinite space so that a new structure is completed. The power felt from the lines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an extended space of free energy, including movement, heat, tension, and a high degree of sense of restraint. The overlapping of achromatic gradations and heavy fabrics between the incised lines, repeated countless times, is an expression of a new sense of space and depth and is a process of amplifying energy. Since the arrangement of translucent fabrics is an important formative element in the slash technique, it can be seen that the works a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lors of the fabric placed on the top. As an expression method for perspective three-dimensional paintings, repetition is used as a formative element that gives visual unity. The researcher expressed emptiness through the process of cutting out the fabric within the repeated rectangular frames. Achromatic translucent fibers were overlapped into many layers and cut into square shapes thereafter so that the perspective square layers were continuously harmonized with a view to expressing rela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ide. Using perspective, a sense of space was added to the slashed square shapes, and a visual sense of unity was given using the repetition of colors. The rectangular frames provided diversity through repetition with subtle differences within strict regularity and unity, were used as an element of visual images, and are extending the spectrum of expression methods from partial repetition to the full repetition. The works created through the structurization of translucent materials express the filling by overlapping many layers of fabrics through the process of stacking them layer by layer. New visual images are created while the layered fabrics are fixed. Repeated patterning expressed with fixing is achieved and another dense form is made along the layers. To the researcher, overlapping is not a simple stacking, but a process of filling himself, and an effect to express the unconsciousness inherent in it was obtained. An attempt was made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rough stacking, and three-dimensional expressions and techniques were studied to give new change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such, structural expression methods into three-dimensional spaces wer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imaging the repetition and overlapping of lines and surfaces in various ways using the slash technique, and the possibility to add the depth of fiber formation and the fact that the foregoing methods can be used in works in diverse method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the foregoing methods as a new modern formative language was presented with new exploration and attemp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lashes in textile art have a new formativenes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enable a wide variety expressions of form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epetitive action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researcher's work are a process of inner tranqu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ntain the accumulation of performance and time and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