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1 Download: 0

VR 애니메이션에서 시선 유도요소를 적용한 연출 방안연구

Title
VR 애니메이션에서 시선 유도요소를 적용한 연출 방안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formance scheme in VR Animation through visual Inducing Elements
Authors
HU, JIA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최근 VR 기술은 애니메이션을 완전히 새로운 형태로 관객 앞에 나타나게 할 뿐만 아니라 관객이 경험하는 현전감과 몰입감을 증대시키고, 일반적인 영상과 달리 내적 감정 표현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어 발전 전망이 밝다. 전통 애니메이션은 관객들의 체험이란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에, 가상현실 기술과 접목된 몰입도 높은 VR 애니메이션에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VR은 애니메이션에 활력을 더해 주면서 애니메이션 창작에도 새로운 도전을 주고 있는데 이는 고정된 플롯의 한계를 벗어나 콘텐츠 내용이 더 다양해지고 인터랙티브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애니메이션 세계에 몰입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높은 자유도는 사용자가 보고 싶은 스토리의 방향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주의력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하다. 한편 VR 영상물과 체험 플랫폼이 보편화 되면서 360도 촬영과 제작 장비의 간편화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VR 애니메이션의 제작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시선 유도디자인을 거치지 않은 작품은 관객들이 이야기의 흐름을 이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선의 자유로 인해 집중이 더욱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VR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관객의 시선 유도를 하고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을지가 많은 전문가들과 VR 애니메이션 마니아들의 공통된 관심이다. 기존의 많은 VR 애니메이션 시선 디자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들이 VR 애니메이션의 연극성, 스토리텔링, 롱테이크, 인터랙티브특 등을 베이스로 설계되었지만 이처럼 단일한 특징에 맞춘 VR 시선 유도패턴은 완전하지는 않다고 보인다. VR 애니메이션에 적절한 시선 유도요소를 설정하면 관객이 제작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더 나은 애니메이션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울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VR 애니메이션에서의 시선 유도요소 연출방안을 찾을 목적으로 VR 애니메이션 관련 기술 발전을 정리하고 인간 눈의 물리적인 특징과 시선이동의 원리를 결합해 전통 영상과 VR 애니메이션에서의 시선 유도방식 차이점을 살펴봤다. 선행연구를 통해 색과 빛의 유도, 움직임 유도, 공간 유도, 사운드 유도 등 네가지 VR 애니메이션의 시선유도 요소를 추출하였다. 색과 빛의 유도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색이고 하나는 빛이다. 색 중에는, 색상과 채도 그리고 명도 세 가지 요소로 구분되어 있고 빛에는 조명과 특수효과로 구분되어 있다. 움직임 유도방법에는 주로 인물의 동선, 동작, 그리고 카메라의 동선과 앵글 변화로 논의되었다. 공간 유도방법에서는 전경, 중경, 후경 공간 속 오브젝트의 크기, 위치, 형태, 전후, 밀도 관계 측면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사운드 유도방법에는 사운드의 위치, 크기, 음향효과가 포함되어 있다. 4편의 VR 애니메이션 ‘Help’, ‘Pearl’, ‘Invasion!’, ‘Back to the moon’ 사례연구를 통해 각 유도요소의 연출방법을 분석하고 사용자들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시선 유도요소의 연출방안을 정교화 하였다. 개인 작품 ‘Wonderland’를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자연 친화적인 콘셉트의 프리렌더 VR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다. 본 작품 목적은 재미있는 관람 방식을 통하여 관객들이 VR 애니메이션에 대한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할지에 대한 관심을 함께 불러일으키기 위함이다. 위의 VR 시선 유도요소의 연출방안을 개인 작품의 연출 기법에 활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제작자의 의도대로 움직이고 스토리텔링에 더 나은 경험을 하도록 하였다. ;Recently, VR technology has not only brought a new form of animation to the audience, but also increased the feeling of a presence and engagement experienced by the audience, emphasizing the inner feelings generated by the dominant position of people, and presents a bright prospect of development. In the case that the traditional animation cannot satisfy the audience's desire for experience, the audience is pay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VR animation with high Immersion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is new form not only adds vitality to animation, but also makes animation production face unprecedented challenges. On the one hand, VR animation gets rid of the limitation of fixed frame, the content of the film is richer, and through a variety of interactive means, the audience can be immersed in a virtual animation world. This high degree of freedom allows the audience to choose the direction of the story they want to watch, but at the same time makes it difficult to stay focused. On the other hand, as VR video works and experience platform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the low threshold of shooting and production equipmen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people in general making VR animation. Some enthusiasts who care about VR animation have also begun to try a lot. A large number of works without visual direction planning not only make it impossible for the experiencer to understand the flow of the story, but also make it difficult to concentrate due to the free visual direction. Therefore, how to induce the audience's attention and effectively storytelling in VR animation has become a common concern of many professionals and VR animation enthusiasts. Many existing advanced studies on VR animation visual guidance design are based on VR animation's drama, storytelling, long take and interactive features. but such a visual guidance with a single feature is incomplete. At this time, setting appropriate visual guidance in VR animation can not only help creators better express themselves, but also help audiences understand creators' intentions and get a better animation experience.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looking for the performance scheme of visual inducing elements in VR animation, after sorting out the development of VR animation related technologies, combined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eyes and the principle of eye movement, the differences of visual inducing modes in traditional movies and VR animation were observed. Then, the previous research on VR animation visual design as the research object was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elements of the analysis were divided into four kinds according to the induction characteristics: color and light induction, movement induction, space induction and sound induction. There are two ways to induce color and light, one is color and the other is light. Color is divided into color, chroma, lightness three elements, light is divided into lighting and special effects. The movement induction method mainly discusses the motion line of the character, character movement, the motion line of the camera and the Angle change. In the space induction method, the size, position, form, before and after, and density of objects in panorama, middle and back space are analyzed. In addition, sound guidance methods include sound position, size and sound effect. Through these four methods analyzed the deductive methods of guiding elements in four VR animated films ‘Help’, ‘Pearl’, ‘Invasion!’ And ‘Back to the Moon’. And then refined the deductive scheme of guiding elements based on user interviews. ‘Wonderland’ is a pre-render VR animation with a environment-friendly concept and relieving stres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timulate the audience's interest in VR animation through an interesting way to watch and to arouse the attention of how to eliminate stress. By applying the performance scheme of the above VR visual-inducing elements into the directing techniques of personal works, want to achieve is that the user's eyes move according to the producer's intention, and a better experience in the st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