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7 Download: 0

예술적 상상을 통한 몽상의 시각화

Title
예술적 상상을 통한 몽상의 시각화
Other Titles
Visualizing Daydream through Artistic Imagination : Decomposition and Assemblage of Fiber Materials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인
Abstract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무의식에 위치한 내면을 의식의 단계로 끌어올리면서 내면의 모호함을 시각화하는데 집중하는 것이다. 인간의 심리 유형에는 마음이 표현되는 발현의 상태 요소로서 의식과 무의식이 존재한다고 한다. 다양한 환경 속에서 우리는 의식적 사고가 삶에 전반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인지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무의식적 사고 역시 많은 관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의식적 사고가 이끌어낸 여러가지 행위와 내용들은 자아의 통제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정확한 무엇인가로 정의를 내리기는 힘들다. 따라서 의식의 단계에서 정의할 수 없는 정신의 단계인 무의식을 발견하고 이를 의식화 과정으로 도출하기 위하여 예술적 상상력을 대입한다. 이러한 과정을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무의식-몽상-상상-의식’의 단계인 상상의 여정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일련의 예술 행위의 과정과 비교함으로써 미처 인지하지 못한 무의식의 이야기를 예술적 상상력의 발화를 통해 추측하고 형상화하는 것을 증명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무의식에 위치하여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조형 작업을 통해 의식적으로 끌어낸다. 이를 위해서 가스통 바슐라르 (Gaston Bachelard, 1884-1962)의 상상력 철학과 비교하여 본인이 설정한 상상의 여정을 구체적으로 확장한다. 둘째, 몽상과 상상의 관계성을 이해하고 이를 예술도구로서 도입하여 재료에 대한 성질과 형질을 탐구함으로써 조형 작품으로 만드는 예술적 형식을 구현한다. 셋째, 재료의 분해와 파편의 과정과 더불어 누적과 중첩의 과정 중심으로 한 선행 작가를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예술의 영역에서 상상을 어떻게 인지하고 표출하는지에 대해 집중하기 위함이다. 넷째, 형질의 변형 가능성인 형태적 상상력과 성질의 변형 가능성을 의미하는 물질적 상상력을 통해 재료가 가진 잠재성을 탐색하고 그로 인해 새롭게 발견한 물성을 활용하여 예술적 상상력과 본인의 작품과의 융합가능성을 증명한다. 본문은 크게 이론적 고찰과 작품 분석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인이 설정한 상상의 여정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무의식과 의식의 중간지점인 몽상의 개념을 중심으로 상상력을 서술한 바슐라르의 상상력 철학을 고찰한다. 또한 조형형식 중 재료의 분해와 누적을 중심으로 한 선행 작가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인의 예술적 상상력을 발화하고, 분해와 누적의 표현방식을 활용하여 작품 8점을 제작 및 분석한다. 연구 작품은 찢거나 분리, 분해하여 단위 조각으로 만든 후 다시 중첩과 누적의 과정을 거쳐 비정형의 형태인 덩어리를 도출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는 객관적으로 설명가능한 구체적 형상이 아닌 개인이 느낀 내면의 모호함을 중첩과 누적의 형태로 정의한다. 즉 물질이 가지는 보편적 형태에 머무르지 않고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 이외에 것을 탐구하는 데 집중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의 이론적 고찰과 작품 제작 및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슐라르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상상의 여정은 본인의 내면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정의하려는 욕망을 시작점으로 출발했고, 이는 주관적인 느낌과 감수성을 개인의 시선을 바탕으로 공유할 수 있는 재료의 잠재적 변형가능성에 대한 고찰로 이끌었다. 둘째, 무의식의 이야기를 의식적 차원으로 끄집어 내려는 무화 (無化)의 과정은 분해와 누적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덩어리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덩어리의 형태는 실체에 대한 사실적 모방이 아니라 본인의 내면을 인지하려는 연동 작용에서 나타난 예술적 상상력의 결과물로 발전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본인이 설정한 상상의 여정은 인지가능한 영역을 의식적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의 차원, 더 나아가 자기 자신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긍정적 과정으로 결론지었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laborate on the visualization of the ambiguousness of the inner mind via dragging it from the stage of unconsciousness to the level of consciousnes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coexist as elements of the state of expression in which the mind is expressed in terms of a type of human psychology. We recognize that the process of conscious thought profoundly affects our entire life in diverse environments. Meanwhile, it is also true that unconscious thought engages in our lives in an immense way. However, it is hard to precisely define this number of acts and contents that the unconscious thought had led us to, for it places totally outside of the realm of self-control. As an alternative, artistic imagination is substituted to discover unconsciousness, which is a level of the mind that cannot be defined in the stage of consciousness, and finally, deriving it as a process of consciousness. In order to shape up this process, the voyage imaginaire: a stage of ‘Unconsciousness-Dream-Imagination-Consciousness’, is set. By comparing these steps with the serial process of artistic acts, the fact that the story of unconsciousness that has not been yet recognized can be inferred and embodied through the utterance of artistic imagination, can be proved. This study can elaborate its purpose into 4 sections. First of all, it is crucial for something that has been located in the range of unconsciousness so that has been hidden and visually unrecognized to be dragged to the realm of consciousness by the work of molding. To achieve this, the voyage imaginaire, personally set by an individual can specifically expand through comparing with the Imaginary Philosophy by Gaston Bachelard. Secondly,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ydream and imagination can be used as an artistic tool to transform the examined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certain fiber materials into a molding piece. Thirdly, this study is done to focus on how to recognize and express the imagination in the domain of art, by selecting and analyzing previous artists who focused on the process of assemblage and overlapping as well as the process of decomposition and debris of fiber materials. Lastly, the examination and observation of the potential, both by “materialistic imagination” meaning the changeability of property and by “formative imagination” meaning the variability of shape, is done. Thereby, newly discovered physical properties can be utilized to prove the utmost pos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artistic imagination and my own artwork. The body of this paper is largely composed of theoretical observation and artwork analysis. Before understanding the voyage imaginaire set by me,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examine the Imaginary Philosophy by Bachelard that narrated imagin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Daydream”, which is in between the realm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t also analyzes and compares the cases of preceding artists focusing on the decomposition and assemblage of materials in the molding form. Regarding the context of this theoretical background, 8 of the art pieces are produced and analyzed by utilizing the expression formula of decomposition and assemblage. Each concerned artwork is torn, separated, and decomposed into unit pieces, and once again subjected to the process of overlapping and accumulation to derive chunks formed to be amorphous. This defines the inner ambiguity of an individual to be a configuration of overlap and accumulation, not as a specific shape that can be objectively elucidated. In other words, rather than staying on the universal form of materials, I focus on exploring things other than what physically appears in the visual realm.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both diverse theoretical exploration and artwork analysis, are as follow. To begin with, through Bachelard’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voyage imaginaire began as a starting point of my desire to deeply understand and define my own inner self. This led to a consideration of the potential variability of materials that could share subjective feelings and sensitivity based on my perspective. Furthermore, the process of neutralization(無化), which brings the unconscious story to the conscious dimension, was expressed as a lump made out of the steps of decomposition and assemblage. It could be found that this form of the lump was developed not as a realistic imitation of the substance, but as an outcome of the artistic imagination that emerged from the interlocking action to acknowledge the inner self. Last but not the least, the voyage imaginaire set by me does not let its domain of recognition merely on a conscious level but also expands its realm to that of the unconscious as well. Thus, I conclude this voyage to be a positive process that can motivate me to find my own potential and possibilities, to the best of my knowled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