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4 Download: 0

분위기의 단면-집적(斷面)

Title
분위기의 단면-집적(斷面)
Other Titles
Cross Section of Atmosphere – Accumulation(集積)
Authors
김가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영
Abstract
본 논문은 단순한 재현에서 시작된 공간이라는 대상의 의미에 물음을 갖고,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 그 답을 작품에 나타내고자 중첩이라는 표현 방법을 연구하는 역추적 방식을 통해, 공간―사물―본인의 관계 속에서 느낀 분위기를 회화 작품으로써 수집하고 소유하는 과정을 풀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작품 제작 초기 단계에 구체적인 제작 동기나 목표, 특별한 개념을 갖고 시작하지 않는다. 본인은 작업을 시작할 때 무엇을 주제로 삼을지에 대해서 혼란스러웠고, 의미가 선행되는 경우 표현에 구속을 받으며 시각적으로 진부해짐을 느꼈다. 그 후 억지로 의미를 만들어 내기보다는 의미가 생겨나는 쪽으로 방향을 돌리게 되었고, 작업을 통해서 의미가 생겨나기를 바랬다. 그림을 통해 자연스럽게 내 관심사가 어디에 있는지, 표현하고 싶은 욕구의 지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느긋하게 살펴보며 작업을 시작했다. 초기 본인은 공간이라는 대상을 직관적으로 선택하여 아무 뜻 없이 단순하게 공간 그 자체를 재현함에 중점을 두었다. 스스로의 반복을 통해 어느 순간 공간과 사물이라는 대상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왜 이것들을 그리게 되었는지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우리에게 항상 어떤 인식과 감정,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공간과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 그리고 그 공간을 구성하고 차지하는 또 다른 요소인 인간은 유기적 관계로서 서로에게 반드시 영향을 끼친다. 공간―사물―인간의 관계를 고찰하던 중 본인은 그 관계 사이에서 감각적으로 느끼는 ‘분위기’에 주목하였다. 분위기는 공간―사물―인간의 상호 소통적 관계에서 느낀 인상과 감정에 성격이 가깝다고 볼 수 있는데, 변화하는 환경과 인간의 다양한 감정에 의해 분위기는 시시각각 유동적으로 변한다. 그 분위기를 느끼는 외부적인 경험에서 더 나아가 본인은 분위기가 사라지지 않도록 지속하고 싶고 옆에 계속 두고 싶은, 수집하고 소유하고 싶은 욕구가 내부에서 발현되었다. 소유한다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고 자연스럽게 수집하는 행위로 이어진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는 욕구 중 하나인 소유욕은 대상에 대한 애정과 애착으로 자기에게 속하게 하고 싶은 욕구이다. 본인은 앞서 말한 분위기라는 비물질적인 것을 수집하고 소유하는 과정을 작품 제작 과정 자체로 보았다. 즉 본인이 작가로서 공간과 사물이라는 대상을 그림이라는 조형언어로 전환하는 것은 본인의 내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실제로 경험한 분위기를 나만의 언어로 번역해 분위기로 소유하고, 그것을 온전히 자유롭게 누릴 수 있는 주체가 되고자 한다. 본인이 경험한 공간과 분위기를 더 적극적으로 향유하고 공유하고 싶다는 작업의 동기가 생기고 나서는 근본적인 작업 방향에 물음을 가지게 되었다. 단편적으로 재현에 그친 초기 작업을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분위기를 어떻게 조형화 할지, 보다 주체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있을지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자는 견이라는 소재를 바탕으로 각각의 한 프레임마다 본인이 느낀 분위기를 담아내는 것을 수집의 과정으로, 그 프레임들을 한 화면에 모아내는 것을 소유의 과정으로 보았다. 수집의 과정에서는 한 프레임 안에 다양한 시점을, 혹은 각각의 프레임마다 다른 시점을 이용해 본인이 경험한 공간과 사물의 이미지를 본인의 언어로 번역하여 화면에 재구성했다. 몸을 통해 감각적으로 경험한 유동적인 분위기는 고유한 시점이 아닌 변화하는 시점인 다시점과 맞닿아 있다. 수집이후에, 각각의 프레임에 담은 분위기들을 한 장, 한 장 배접하여 겹침으로써 새로운 한 화면으로 집적(集積)하는 중첩 방식은 본인만의 소유의 과정이다. 반투명한 소재의 견을 통한 중첩을 통해서 보이지 않는, 분명하지 않은, 모호한, 애매한 그 분위기를 조금 더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각각의 분위기들을 한 화면으로 모아, 그려진 부분, 그려지지 않은 부분, 그리고 그것들이 겹쳐지는 부분들의 총 합을 통해 유사한 지점을 찾아내고자 하는 과정이자, 본인이 소유하고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소유의 과정이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해 초기 아무 의미없이 단순하게 재현된 공간이라는 대상을 적극적으로 마주해 고찰하고, 그 과정 중 떠오른 생각과 감정을 통해서 의미를 찾고, 그 의미를 작업으로써 어떻게 풀어갈지 연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작점에 서 작업을 출발하게 되는 과정을 풀어내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자는 본 논고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이 만들어낸 조형방식을 가지고 새로이 본인의 작품 세계에 한 발 내딛으려 한다. ;Beginning with a question on meaning of object—the space derived from simple reproduction, this study aimed to trace process of collecting and possessing atmosphere I’ve felt in the relationship with space, things and myself as art painting through a backtracking route that studies overlapping expression method in a bid to find answer on that question and express it on the artwork. Any specific motive, goal or special concept were not involved in the early stage of making art for me. I was confused as to which subject I should take from the beginning. When the meaning came before in my work, I felt like being fettered in expression and the work turned out to be visually hackneyed. I decided to turn to a different direction by achieving meaning naturally, rather than creating it on purpose. Exploring my interest and where my desire for expression lies in through paintings, I started the work in easy-going manner. At first I chose objects i.e. space intuitively and focused on reproducing the space simply without imparting meaning. Repetitive works made me feel more interested in the space and things and I started to throw question on why I came to draw these things. The space surrounding us awakens specific recognition, emotion, and thoughts always. Things that exist in between space and space and humans as another element which makes and takes up that space are organically related and must affect each other. ‘Atmosphere’ came across, which I felt sensuously from the relationship among space, things and humans when I thought it over. The atmosphere was more of impression and emotion I’ve felt from interactive relationship among space, things and humans and it’s mobile and ever-changing depending on changing environment and various human emotions. The desire to keep atmosphere near me, collect and possess not to lose it manifested itself inside myself, going further from external experiences of feeling the atmosphere. The possession is human instinct and naturally leads to collecting. Desire to possess, as one of desires we all born with, is feeling attached to object and making it belong to myself. The whole process of collecting and possessing the aforementioned atmosphere which is immaterial thing is taken as the entire production of work. As an artist, the conversion of the objects like space and things into a formative language as painting is actually intended to satisfy his inner desire. And this study aimed at translating the atmosphere I’ve experienced into my own language and making it mine and taking pleasure in it freely. Motivation at my work to actively enjoy and share the space and atmosphere I’ve experienced led me to wonder where to go ultimately. I started to focus on how to shape intangible atmosphere and how to express it with subjectivity, far beyond initial works I used to just reproduce fragmentally. The expression of atmosphere I’ve felt on each frame made of silk was taken as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gathering all frames into one screen was considered as the possess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various viewpoints in one frame or each frame allowed to translate image of space and thing I’ve experienced into my own language and reconstruct them on the screen. The fluid atmosphere I’ve sensuously experienced with my body does not take its own viewpoint but is more of multiple viewpoints that keep changing. Then afterwards, the atmosphere put into each frame was overlapped one by one to accumulate (集積) into new one picture and it represented the possession process in my own way. Overlapped, semi-transparent silk fabric was to show intangible, indistinguishable, ambiguous, vague atmosphere much more clearly. It’s to take each atmosphere into one picture, put all fragments—regardless of whether it’s drawn or not—to be overlapped to find something similar and also, create the atmosphere where all individuals can possess it and take pleasure in it freely. This study paved the way for me to face and review the objects, which are simply reproduced space without any meaning in early stage, find meanings from thoughts and emotion that came across, and think over how to unfold them in my works. This study successfully discovered how to embark on art making from a new beginning. As a researcher, I will take a new step forward to my art pieces with formative art expression based on finding in this pap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