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의성, 실재감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의성, 실재감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resence on Education Satisfaction in the Synchronous Online Parent Program
Authors
김수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소효정
Abstract
COVID-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인하여 2020년 상반기부터 기존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던 교육이 온라인 교육으로 빠르게 전환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수자와 학습자 간 쌍방향 소통을 지원하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서로 다른 공간과 장소에서 함께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형태(Han & Lee, 2020)의 실시간 온라인 교육(Synchronous Online Education)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 ‧ 초 ‧ 중 ‧ 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교육 분야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의 새로운 접속방식과 참여방식의 수용이 요구되는 가운데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은 새로운 미디어나 기술의 수용(행위)의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을 전제하고 있으며(Davis, 1989),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은 학습자가 수업에서 교수자의 의해 전달되는 학습 내용과 강의 방식에 대해 반응하고 참여하고 있음을 자신이 지각하는 일종의 메타인지(meta-cognition)라고 볼 수 있으며(Park, 2020),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이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초등학교 및 대학교 등 정규교육과정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부모교육의 경우 정규교육과정과는 달리 대부분 자율적인 신청과 참여로 이루어지며, 단회기 교육이 주를 이룬다는 점과 부모가 정기적인 교육 참여 환경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는 차이가 존재함으로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참고할 수 있는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실재감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예측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의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발전적인 방안을 도출하여, 이후의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 설계 및 운영전략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부모가 인식한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의 인지된 유용성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2. 부모가 인식한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의 인지된 용이성은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미치는가? 연구 문제 3. 부모가 인식한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서의 실재감(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4. 부모가 인식한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 검증을 위해 2021년 8~9월 중 부모교육 전문 운영기관인 B기관의 웹사이트 공고를 통해 전국의 유 ‧ 초 ‧ 중 ‧ 고등학생 자녀를 둔 20~50대 부모들을 모집하여 총 27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5.0을 활용하여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절차는 연구대상의 개인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후, Pearson의 상관분석 활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 결과를 질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부모가 인식하는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장점 및 단점에 대한 개방형 응답을 주요 표현 단위로 구분하고 유목화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의 분석 방법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은 교육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라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할 때 부모교육에서 제공되는 내용에 대해 인지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실제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적용될 때 더 높은 성취감과 학습효과를 느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효과를 체감하기까지는 좀 더 장기간의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 참여 경험에 대해 부모가 인식한 인지된 용이성은 교육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육아와 업무로 인해 오프라인 부모교육 참여가 쉽지 않았던 부모들이 공간의 구애 없이 쉽고, 편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었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셋째,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 참여 경험에 대해 부모가 인식한 교수 실재감은 투입 변인 중 교육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간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교수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학습내용의 효과적 제시 및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몰입시키기 위한 교수자의 안내와 역할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때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 참여 경험에 대해 부모가 인식한 사회적 실재감은 교육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부모 간, 부모-부모 간 상호공감대 형성 및 공존감을 높일 때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다섯째,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 참여 경험에 대해 부모가 인식한 감성적 실재감은 교육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에 참여한 부모들이 좀 더 자유롭게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와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이 교육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기존 경험에 근거하여 설문에 응답하였기에 각자 경험한 주제, 강사, 교육시간대 등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부모교육의 주제, 강사, 교육시간대 등을 통제변인으로 두어 동일한 조건 하에서 경험한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인식하는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실재감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을 변인으로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몰입, 학습성취도, 학습지속의향 등의 다양한 변인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실재감의 하위 요소인 4가지 중 인지적 실재감을 제외한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등 3가지만을 변인으로 다루었으며, 측정 결과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검증 결과에서 감성적 실재감의 문항 중 2개의 문항만이 요인으로 묶였으나 이를 제외시키지 않고 포함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넷째,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들은 Zoom, Youtube Live, Naver TV Live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실시간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참여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각 실시간 온라인 교육 지원 플랫폼별 참여자의 인식과 교육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추후 플랫폼별 실시간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virus, traditional offline education has been rapidly transitioning to online education from the first half of 2020. Also,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a form of education in which instructors and learners participate together from different spaces and places using technology that supports interactive communication (Han & Lee, 2020), is actively performed. This impact also influences on the field of parental education in order to support the upbringing with parents with children of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Program requires accepting new methods of accessing and participat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s a predictor that has an effect on the intent of the acceptance (behavior) of a new media or technology, which presuppose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Davis, 1989), and the impa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been identified. In addition, the presence received by learners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meta-cognition that learners are aware of their own response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delivered by instructors in the class (Park, 2020).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are crucial variables improving educational satisfaction. Most current studies o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are conducted for learners of regular curriculums such as elementary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there are differences compared to the regular courses in parenta education: most of them are composed of autonomous application and participation; they are mostly single-sessions; parents are not exposed to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on a regular basi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that can be referred to at the stage of preparing for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effects of perceived use, perceived ease of use, and presence perceived by parents on education satisfaction when participating in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Through this prediction, it intends to derive developmental measures that can increas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and presents implication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future design and operation strategy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As such,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perceived by parents affect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received by parents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presence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emotional presence) in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received by parents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Research Question 4. What 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perceived by parents? To verify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arents in their 20s to 50s with children from infant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through the announcement on the website of Institute B, an operating institution specialized in parental education in August to September 2021, and were analyzed by SPSS 25.0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earch analysis procedur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validated the adequac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utiliz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predict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add the qualitative aspect to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the analysis of contents was conducted by dividing parents’ open responses to the pros and cons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into the main expression units and by categorizi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analysis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he parents’ experience of involving in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was found to predict education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is can be inferred because a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participate easily and comfortably is provided for parents in any space who cannot easily participate in offline parent education due to childcare and work. Second, regarding the experience of involving in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teaching presence recognized by parents has the greatest impact on predic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the input variations. This suggests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in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when the effective pres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to increase the teaching presence and instructors’ guidance and roles to promote learner’s learning and learning immersion are effectively implement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presence perceived by parents concerning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exper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educational satisfaction. This finding makes it possible to infer that education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building mutual understanding and a sense of co-existence between the instructor-parent and the parent-parent. Fourth, the perceived emotional presence of parents in their synchronous online parental education experi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educational satisfaction, suggesting that offering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feelings more freely and a comfortable atmosphere can help increase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based on their previous experience in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they potentially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instructor, and educational time zone experienced by each. In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earner’s perception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experienced under the same conditions by placing the subject of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and educational time zones as control variables. Second, this study analyzed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with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resence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However, in the subsequent study, various variables such as immers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should be considered. Third, this study dealt with only three variables such as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excluding cognitive presence among four sub-factors of presence. Likewise, only two of the questions of emotional presence were grouped as factors in the analysis of factor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on the measurement results,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without excluding them. Fourt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d a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on various platforms, such as Zoom, YouTube Live, and Naver TV Live.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each synchronous online parenting education support platform to derive implications for operating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for each platform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