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구강양치액과 타액대체제 병용이 치아 침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구강양치액과 타액대체제 병용이 치아 침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the mouthwash and saliva substitute on tooth erosion : An in vitro study
Authors
마미혜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영은
Abstract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구강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임상에서 구강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해 타액대체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잇몸질환이나 충치 예방 등을 목적으로 구강양치액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타액대체제가 인공 우식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과 구강양치액과 타액대체제를 병용했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공 우식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기 위함이다. 세 가지 종류의 타액대체제와 한 가지 종류의 구강양치액을 반복 도포하여 QLF-D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 Digital) 장비로 치아 침식 정도를 분석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건전한 소의 하악 전치 96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거한 우치는 치면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2mm * 3mm의 윈도우를 형성하였다. 치아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구강양치액만 사용한 군으로 인공 타액에 보관한 우치를 1일 2회 구강양치액에 10분간 침적하였고 침적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2군은 타액대체제만 사용한 군으로 인공 타액에 보관한 우치를 1일 6회 Spray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오아시스 (Oasis Consumer Health, Cleveland, OH, USA)와 제로미아액 (Xeromia Solution, Ostempama Co., Korea)을 분사하여 3분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Gel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드라이문트겔 (DryMund Gel, Dong-a CO., Korea)은 1일 6회 면봉을 이용하여 탈회된 치면에 도포하고 3분 후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3군은 타액대체제와 구강양치액을 병용한 군으로 인공 타액에 보관한 우치를 1일 6회 Spray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제로미아액과 오아시스를 분사하여 3분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고, 하루 2회 구강양치액에 10분간 침적하였다. Gel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드라이문트겔은 1일 6회 면봉을 이용하여 탈회된 치면에 도포하고 3분 후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고 하루 2회 구강양치액인 구강양치액에 10분간 침적하였다. 대조군을 위해 1일 2회 3분간 탈회 치면을 증류수로 닦은 후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모든 군의 인공 타액은 24시간마다 교체하였다. 치아 시편을 3-way syringe로 충분히 건조한 후 아크릴 상자에 시편을 넣어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촬영자가 촬영을 진행하였다. QLF-D 촬영 시점은 탈회 전, 0일, 3일, 7일, 14일이며 1개의 치아 당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 두개의 영역을 촬영하였다. 각 군의 ΔQ (병소 깊이에 대한 형광 소실도 단위 %, 병변의 면적의 곱 단위 px2) 의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QLF-D 전용 분석 프로그램 (QA2, Inspek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The Netherland) 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8.0 (SPSS,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타액대체제와 구강양치액이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에 따라 확인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를 사용하였고, 시간에 따른 ΔQ값의 변화와 제품에 따른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Greenhouse-Geisser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Tukey의 사후 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타액대체제를 사용했을 때 법랑질의 ΔQ를 비교한 결과 14일째에서 오아시스보다 제로미아, 드라이문트겔이 침식의 정도가 유의하게 더 컸다 (p < 0.05). 타액대체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와 구강양치액과 타액대체제를 병용하였을 때의 법랑질의 ΔQ를 비교한 결과 드라이문트겔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가 대조군, 오아시스, 제로미아+CPC, 드라이문트겔+CPC에 비해 침식의 정도가 유의하게 더 컸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pH가 높은 타액대체제의 사용을 추천하며 낮은 pH를 가진 타액대체제를 사용할 때에는 보다 높은 pH를 가진 구강양치액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무기질 소실량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With increasing the elderly population, the number of patients complaining of dry mouth is increasing. In clinical practice, saliva substitutes can be used to relieve dry mouth, and many people are using mouthwash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gum disease or tooth deca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ivary substitutes on artificial carious enamel and root dentin as a function of time. Three types of mouthwash were repeatedly applied and analyzed by QLF-D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 Digital) equipment for comparative evalu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96 healthy cow bovine teeth. After extraction, these are washed and dried, and a window which has 2mm*3mm area was formed in the enamel and root dentin. Teeth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was a group applying only oral gargle, which was immersed in artificial saliva twice a day for 10 minutes. After immersion, i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Group 2 utilized only salivary substitutes. Oasis (Oasis Consumer Health, Cleveland, OH, USA) and Xeromia Solution (Ostempama Co., Korea),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fter 3minutes,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DryMund Gel (Dong-a Co., Korea), a gel-type saliva substitute was applied to the demineralized tooth surface by using cotton swab 6 times a day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after 3 minutes. Group 3 was a group which was conducted by combination of saliva substitute and oral gargle, and spray-type salivary substitutes, Xeromia and Oasis solution were sprayed 6 times a day,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Then, they were immersed in mouthwash twice a day for 10 minutes. DryMund gel was applied to the demineralized tooth surface using cotton swab 6 times a day, stored in artificial saliva after 3 minutes, and immersed in oral gargle twice a day for 10 minutes. For the control group, after wiping the demineralized tooth surface with distilled water twice a day for 3 minutes. This group also was stored in artificial saliva. Artificial saliva in all groups was replaced every 24 hours. After sufficiently drying with a 3-way syringe, the specimens were placed in an acrylic box, and the same experimental conductor took pictures in the same environment. The QLF-D imaging time points were 0, 3, 7 and 14 days before demineralization, and two areas of enamel and root dentin were photographed per tooth. QLF-D (QA2, Inspek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The Netherland) was utilized to compare the amount of change in ∆Q (fluorescence loss unit % for lesion depth, product unit, px2, of lesion area) for each group and evaluat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8.0 (SPSS Chicago, IL, USA) program was us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p < 0.05.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n enamel and root dentin over time, and Greenhouse-Geisser 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if there was an effect on the change in ∆Q value and interaction between products and changes. Finally, Tukey’s post hoc test was applied to prov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Q value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 < 0.05. As a result, when comparting the ∆Q of enamel using saliva substitutes, the degree of eros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Xeromia and DryMund get than in Oasis on day 14 (p < 0.05). Also, when comparing the ∆Q of the enamel When both situations that were the saliva substitutes were used alone and both mouthwash and saliva substitute were used in combination were conducted, using only DryMund-gel indicated significant erosion (p < 0.05) than blended use of Oasis, Xeromia+CPC, DryMund-gel + CPC.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use a saliva substitute with a relatively high pH, and when using a saliva substitute with a low pH, it is believed that using a mouthwash with a higher pH can help reduce the amount of mineral lo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