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3 Download: 0

텍스트 수정이 KSL 학습자의 교과 이해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텍스트 수정이 KSL 학습자의 교과 이해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ext Modification on the understanding and affective aspects of the subject of KSL learners : Focusing on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
Authors
김지예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수정이 KSL 학습자의 교과 이해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에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KSL 학습자의 교과 수업 적응 및 교과 학습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학령기라는 특징을 지닌 KSL 학습자에게 교과 교육은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과정임에도 이들을 위한 교재, 교과 교육과정, 학습 자료 등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현재 중등 교육과정은 한국어가 모어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KSL 학습자의 교과 부적응, 교과 학습 결손 등의 문제는 자명한 일로 보인다. 더불어 교과 교사 또한 한국어 능력이 미흡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데에 고전하고 있어 KSL 학습자를 위한 교과 교육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KSL 학습자의 교과 학습 부적응 문제는 고난도 어휘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교과별로 교과 적응을 위한 어휘 목록 선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선정된 어휘의 활용 및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휘를 중심으로 텍스트 수정을 적용하여 한국어 숙달도에 맞춰 교과 수업을 구성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수정의 방법을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교과는 사회 교과이며, 선정 이유는 어휘 자체가 교과의 개념이 되는 경우가 다수 발견되고 상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주제와 개념들이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에서 주요 어휘인 KSL 학습자, 텍스트 수정, 사회 교과의 용어 정리와 논문의 구성을 소개한다. Ⅱ장에서는 KSL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교육과 해외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제2 언어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교육을 비교하여 KSL 교육과정의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한계의 보완으로써 텍스트 수정 적용을 논의하기 위해 제2 언어 습득에서의 입력과 입력 수정을 살펴보고 텍스트 수정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후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한국어 교육과 교과 교육 연계의 필요성 및 어휘 연계의 요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텍스트 수정 방법 및 효과성에 관련한 연구를 확인함으로 본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연구 질문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연구 도구,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정책 학교의 특별학급에 해당하는 A 중학교의 10명의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텍스트, 사전․사후 평가지, 사전․사후 설문지, 사전․사후 면담지이다. 사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후 수업을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분석 방법은 평가의 경우 IBM SPSS Statistics 27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설문 조사의 경우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전사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사회 교과서의 텍스트를 수정하는 방법 및 과정을 밝히고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사전․사후 평가, 설문, 면담의 결과를 분석하여 텍스트 수정이 교과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사전․사후 평가는 대응 표본 t-검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사전․사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서는 텍스트 수정을 통해 교과 이해력이 향상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신감, 흥미, 한국어와 교과 수업 연계 요구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사전․사후 면담은 학습자에게 텍스트 수정이 어떻게 도움이 되었으며, 자신감이 향상된 이유가 무엇인지 등에 관련한 학습자의 의견, 감정, 느낌을 질문하였고 그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Ⅳ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KSL 학습자가 선호하는 텍스트 수정 방법과 교과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제언 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텍스트 수정을 통한 한국어와 교과 수업 연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습자의 교과 이해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써 텍스트 수정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분야에서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텍스트 수정의 효과성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텍스트 수정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과 더불어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하여 학습자가 요구하는 텍스트 수정 방안을 모색하고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한국어 능력이 현저히 낮은 학습자들을 위한 교과 교육의 방안으로 다양한 교과에서도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ext modification on KSL learners' course understanding and affective aspects of influences and, consequently, to improve KSL learners' subject learning ability and adapt to subject classes. Although curriculum education is an essential process for KSL learners of school age, textbooks, curriculum, and learning materials are not prepared for them. Given that the current secondary curriculum targets learners whose Korean is a primary language, problems such as KSL learners' maladjustment to the subject and lack of subject learning appear to be self-evident. In addition, subject teachers are also struggling to conduct classes for learners with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for subject education for KSL learne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problem of KSL learners' maladjustment to subject learning stems from the high-level vocabulary. Studies on the selection of vocabulary lists for subject adaptation for various subject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the use of vocabulary and educational methods for selection wa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link the Korean language and subject classes by applying text modification focusing on vocabulary. To this end, the method of text modification was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ubject for this study will be a social subject since there are ample cases in which vocabulary itself becomes a concept of subject and topics and concepts that can understand the mutual culture. Ten learners of Middle School A, which is a special class of a multicultural polic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PIK tests were conducted to subdivide the Korean proficiency of the participants, and as a result, Korea's ability was classified as class 2 and 3. After the class was conducted by modifying social textbooks to suit the Korean level of the study participants, pre-and post-evaluation, pre-and post-survey, and pre-and post-survey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ubject understanding and affective aspect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pre-and post-evaluation is to confirm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the pre-and post-survey is to confirm the subject's understanding and the learner's affective aspects. Pre- and post-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depth analyze learners' thoughts and emotions abou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questionnaire and to confirm tha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consistent.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by using the IBM SPSS Statistic 27 for evaluation, and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survey.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n from this study: Pre and post-evalu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paired sample t-test analysis. The result explains that the text modification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subject for learners. Pre and post-evaluation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 and post-evaluation. The result confirmed that subject understanding improved the feelings of confidence, interest, and the link between Korean and subject classes increased. Pre-and post-interviews confirmed the learner's opinions, feelings, and feelings related to how text modification was helpful to learners and why confidence was improved. The learner expressed that he/she was able to feel a positive effect on subject learning and affective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ext modification was effective as a method of improving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ext modification were actively conducted for academic learners, but studies on KSL learners were scant. In this sens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ext correction for KSL learners, and also sought text modification methods required by learner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and examined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subjects as a method of subject education for learners with low Korean language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