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6 Download: 0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eachers at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 Refugee Students
Authors
손지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의미’라는 주제로 실존적 관점에서 교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북한이탈청소년 교육과 교사들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통찰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변해가는 시대와 한국사회 속에서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교사이자 한 사람으로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과 그 안에서 실존적 의미를 찾아가는 것에 집중하여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지난 시간동안 빠르게 변화하며 이루어진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교육에 있어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해왔으며, 한국사회에서 북한이탈청소년들을 가장 가까이서 깊게 만나며 교육해온 사람들 중 하나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남북하나재단에서 학교 운영 예산의 일부를 지원받는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에서 3년 이상의 교직경력을 가진 전, 현직 교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2-3회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의미’의 본질적 주제는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교사 경험과 의미는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종교적 소명의식’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낯선 세계 속에 내던져진 나를 마주하게 되었고, 그들이 자신의 존재를 부르는 소리에 귀 기울였을 때, 기독교 신앙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였다. 그들은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로서의 소명을 발견하게 되었고,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의 교사가 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교사 경험과 의미는 ‘교육과 삶의 공동체로서의 학교’라는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육과 삶의 공동체로서의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에서 다양한 모습과 역할로 자신들의 자리를 채워가며 나다움을 찾아갔다. 그들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함께 세워나가는 학교의 특별한 의미를 경험하였다. 그들은 어려운 시절을 함께 하며 학교의 체계를 세워나갔고, 수업과 커리큘럼에 대한 자유롭고 창의적인 경험을 하며, 자신들이 근무하는 학교의 분위기와 모습을 형성하였고, 그들 자신과 학생들에게 특별한 존재적 의미를 가지는 학교를 만들어갔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교사 경험과 의미는 ‘나와 타인, 세계와의 실존적 만남’이라는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북한이탈청소년 교사경험을 통해 자기 자신을 만나고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였으며, 북한이탈학생들을 존재로서 바라보았고, 학생들과 실존적으로 관계 맺었다. 그들은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로서 한국사회의 다른 사람들과 만나고 소통하였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의 교사 경험과 의미는 ‘지속적인 성장과 성찰’이라는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학교의 정체성과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성찰하였고, 그 안에서 학교와 함께 하거나 학교를 떠나오게 되었다. 그들은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에서 보냈던 특별한 시간과 성장의 의미를 찾으며, 학교 밖 세계에서도 통일과 교육에 관하여 계속해서 지평을 확장해나가고 성장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끊임없이 존재에 대한 물음을 던지며 ‘한 인간으로서 나’와 ‘교사로서의 나’를 찾아가고 ‘되어가는(becoming)’ 존재로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세계-내-존재’로서 내던져진 세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찾아가고, ‘거주하며’, 자신의 의미의 세계를 건립해나가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교사로서 실존적 존재로 살아가며 의미를 찾아갈 뿐 아니라 학생들과 실존적으로 만나고 그들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북한이탈청소년 대안교육 현장의 급격한 변화와 체계화 분위기 속에서 교사정체성의 혼란과 소외를 경험하였지만 그 안에서 여전히 한 사람의 존재로서 의미를 찾아나가고 있었고, 외부의 세계에서도 교육과 북한에 대한 지평을 확장하며 성장해 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및 논의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되어감’의 존재로서 교사를 바라보는 실존적 존재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사들의 북한이탈청소년 교육현장에서의 오랜 교육경험은 통일을 준비하는 한국사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만한 전문성으로 여겨질 수 있다. 둘째,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한 사람’이라는 존재 이해의 관점에서 북한이탈청소년들을 바라보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북한이탈청소년들이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교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셋째, 북한이탈청소년 교육 현장에 대한 교육과 삶의 관점에서의 접근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understanding and insight behind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by conduct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eachers’experiences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under the theme of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teachers at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Particularly,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a teacher’ by focusing on the existential meaning as an individual and a teacher going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t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for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Korean society during times of change. This was not only because teachers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 field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s, but also because they are some of the extremely rare people in Korea who had deep personal connections with the North Korean refugees during their instuction.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 selected 4 (either former or current)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t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partly funded by Korea Hana found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2 or 3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from April 2020 to November 2020. The essential themes of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 teacher at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meaning as a teacher is expressed as their religious calling as a teacher at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he participants have come to face themselves as they were thrown into unfamiliar world, and as they heeded the sound of a calling for them, they discovered their new meaning in the Christian faith. They discovered their calling as ‘teacher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for the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Seco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meaning as a teacher is expressed as an essential theme of ‘school as a community of education and lif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find their true identity by filling in the positions of varying roles within the school which has become a community of education and life for them. Over time, they experienced the special meaning of establishing a school. As they were undergoing difficult times as a community, they were able to systematize the school and establish courses and curriculum in a free and creative setting. They created a school that has special existential meaning to them and the students by developing their own school character and atmosphere. Third, the teachers’ experiences and meaning of the study participants is expressed as an essential theme of ‘existential encounter with myself, others, and the world.’ As teachers for the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he participants saw and discovered themselves, and interacted with students on an existential level. As teachers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he participants acted as conduit connecting the students and people of Korea. Fourth,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meaning as a teacher is expressed as an essential theme of‘continous growth and reflection.’The participants contemplated and pondered upon the school identity and their own identity as teachers in a changing world. Because of the difficulties they faced, they either stayed or ended up leaving the school. Outside the school, they were continuously expanding their horizons of reunification and education by reflecting on the time spent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discus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constantly keep asking questions about ‘being’as they form their identity as ‘becoming beings’ by searching for their identity ‘I, as a human being’and ‘I, as a teacher.’ Second, the partcipants were building a world of their own meaning by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as a‘being-in-the-world’. Third, the participants were not only finding meaning by living as existential beings as teachers, but also they were educating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find the meaning of life. Fourth, despite experiencing confusion of teacher identity, amid the rapid change and systematization of alternative education field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hey were still searching for meaning as a person and growing by expanding their horizons in the areas of education and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existential existence of the teacher as the existence of ‘becoming’ in search of the meaning of lif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ong experience of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with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expertis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at is preparing for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Second, the study suggests to look at the North Korean refugees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a person who is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life.’This can lead to educating the North Korean youth refugees to find the meaning of life. Third, the study suggests an approach to education and life in the educational field of North Korean youth refuge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