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부모의 미디어 사용 이해수준이 영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미디어 사용 이해수준이 영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s level of understanding media usage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s media usage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contro
Authors
박리해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민
Abstract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 기기는 연령을 불문하고 삶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현재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 세대들은 디지털네이티브(Digital Native)로서 자연스럽게 미디어 기기를 육아의 도구로 사용함으로써 어린 자녀들에게 일찍부터 미디어를 노출시키고 있다. 영유아 시기의 미디어의 노출은 성장・발달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많은 연구들을 증명되어져 왔으나 부모의 편의 목적으로 미디어를 노출시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들은 미디어 사용을 위한 기준이나 분별하는 것에 대한 역량 부족으로 자녀의 미디어 사용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시기의 부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자녀의 올바른 미디어 사용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는 부모가 먼저 미디어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지도방법을 습득해야하기 때문에 부모의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사회적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부모의 미디어 사용 이해수준과 자녀의 미디어사용시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수행을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과제인 아동 대상의 인터넷 중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코호트연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2-5세의 영유아 400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27.0와 PROCESS SP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미디어 사용 이해수준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미디어사용 이해수준은 통제방법을 통해 나타나는 선행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영향을 자녀의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부모의 통제는 부모의 미디어 사용 이해수준과 영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시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미디어 통제를 살펴볼 때, 부모의 미디어 사용 이해수준을 선행요인으로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두 요인은 자녀의 스마트 기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영유아 성별에 따라 세 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들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인식이 비슷할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미디어 사용 시간을 고려하는 것보다 성별에 따른 미디어 사용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통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미디어 사용 이해수준을 높이기 위한 미디어 부모 교육을 활성화시켜야한다. 현재 우리나라 부모들의 경우 미디어 부모 교육 경험이나 가이드라인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미디어 부모 교육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국가적 홍보 강화와 우리나라 국민 정서에 맞는 지침서를 개발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녀의 성별, 연령, 기질 등의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중재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부모들은 자녀의 특성을 파악하여 위험요인과 취약성을 확인하여 영상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국내에서도 자녀의 성별, 연령 등의 특징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지침서와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해야한다. 셋째,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 및 중독을 예방하고 올바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기 위한 정책적 방안 및 사회적 서비스 지원이 마련되어야한다. 따라서 전문가들의 의견 및 연구를 기반으로 영유아 보호를 위한 국가적 정책 마련이 필요하며 사회적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전문가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control over media usage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s’ levels of understanding on media usage and screen tim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data was from ‘A Cohort Study to Identify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Internet Addiction in Children’, which is currently progressed by the project of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 sample of 400 children aged 2-5 year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control over media usage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s’ levels of understanding on media usage and screen tim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as investigated using SPSS27.0 and PROCESS SPSS macro 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levels of understanding on media usag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screen tim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control was verified between parents’ levels of understanding on media usage and children’s screen time.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arents’ levels of understanding on media usage is considered as a predisposing factor for parental control, and its effect can be confirmed by the children’s screen time of smart devi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se two factors suggest that it can act as protective factors, which can prevent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 devices. Third,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n gender. This can occur when parents have a similar perceptions on media usage, and it can be predicte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ontrol media usage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media usage by gender rather than screen time. The suggested discuss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parents’ educational program to raise the levels of understanding on media usage. In the case of Korean parents, it appeared that they have a littl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edia educational program, and utilization of guidelines is found to be very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public relations of media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Also, it requires to develop and support guidelines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media usage in Korea. Secon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various factors such as child's gender, age and temperament, which should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ly. Parents need to identify risk factors and vulnerabilities from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mediate media contents. Moreover,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guidelines and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child’s demographic an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Third, political support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children’s media dependence and addiction, and to develop media literacy.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a national policy and to activate expert 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infants and children based on the evidence and research about media us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