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7 Download: 0

탈북 학생 대안학교 과학교사의 수업 실천 탐색

Title
탈북 학생 대안학교 과학교사의 수업 실천 탐색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actice of Teaching by Science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미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lassroom practices of science teachers who teach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in real classroom situations. For this study, 22 sessions of observing the classroom practices of three science teachers at a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defectors were perform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In addition, additional stud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All classroom participation and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hile a participant log was documented during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life science I of grade 12, integrated science of grade 11, and science classes of grade 7 and 8.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based on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teachers understood the educational, cultural background of the students and the factors necessary fo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 and thus they practiced classes to improve their students’ 1) academic success, 2) social justice, and 3) Korean language. Second, the goal of the three teachers’ classroom practice was to go beyond the mere educational protocols of South Korea and to help North Korean students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This is strategically performed by teachers’ attempt to teach necessary scientific basic knowledge to students aiming to study health science, natural science, and general science department. During the science classes, the teachers also helped their students understand South Korean culture as well as factors that are necessary to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such as perseverance. Hence, such an objective surpasses the mere goals of education as they teach the core values of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Moreover, from the study result, the motive for the three teachers to set these goals and put them into practice was the sense of mission. These teachers thought it was their responsibility as instructors to educate these students and help them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three teachers fully understood the educational, cultural background of thes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a sense of duty. Hence, they set and practiced educational objective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imminent task of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In the near future, science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should incorpo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teachers must consider not only their academic success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cience curriculum, but also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when implementing educational goals. In this regard, their educational goal will be meaningful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y on how the teachers’ motivation, sense of duty,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be highlighted to actualize this meaningful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대안학교 과학교사들이 탈북 학생의 특징에 기반하여 과학을 가르치는 실천적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탈북 학생 대안학교에서 오랜 경력을 지닌 세 과학교사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탐색하기 위해 세 과학교사의 수업을 총 22차시 동안 참여관찰 하였다. 참여관찰이 끝난 후 그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교사의 실천을 학생에 관점에서도 탐구하고자 부가적으로 학생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반복적 비교 분석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사는 학생들의 교육적, 문화적 배경과 남한사회 적응에 필요한 요소들을 이해하여 이 학생의 학업적 성공, 사회 정의 실현, 한국어 향상을 위한 수업을 실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학생들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 참여와 과학개념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을 하여 결국 이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을 이루기 위해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교육내용과 차별 및 편견에 대한 태도를 연결하였으며, 수업에서 비판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수업을 실천함으로써 사회의 정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왔다. 마지막으로, 과학수업에서 한국어를 향상할 수 있는 수업을 실천하였다. 둘째, 세 교사의 수업 실천 속 목표는 한국 교육과정의 목표를 넘어 탈북 학생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는 것이었다. 보건계열, 자연계열, 이과계열로 진학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과학개념을 학습시키는 것, 과학 수업에서 남한사회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 남한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요소로서 성실함을 학습하는 것, 즉 이러한 목표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넘어 남한사회의 적응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은 세 교사는 이 학생들이 지닌 교육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였으며, 이 학생들의 남한사회 적응의 과제를 고려하여 과학교육과정 목표를 넘어 이 학생들에게 맞는 수업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였다는 것이다. 앞으로, 탈북 학생을 위한 과학교육에서 과학교사는 이 학생들의 교육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뿐 아니라 이 학생들이 남한사회 적응의 과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과학교육과정의 목표를 넘어 이 학생들을 위한 확장된 과학교육의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