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식이 섭취와 건강상태 연구

Title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식이 섭취와 건강상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etary intake and health status between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Authors
이승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미숙
Abstract
인구구조의 변화는 사회·경제뿐만 아니라 식문화를 포함하는 여러 분야의 변화로 이어지는 데, 특히 1인 가구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1인 가구는 성별 및 연령별 특징과 형성 원인, 생활 양식 등이 다양하고 복잡하여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1인 가구 관련 연구는 특정 연령대별로, 주로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거나, 단면 연구로서 주거, 고용, 빈곤 등의 주제별로 분리되어 수행되어왔다. 이에 전 연령대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영양섭취 상태와 그리고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총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1인 가구의 건강상태에서 질병의 유병률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 그 발생 위험을 분석하여 인과관계까지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연령별로 1인 가구의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정신적 건강을 포함하는 건강상태를 규명하기 위해 단면조사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추적조사인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자료를 연구에 이용하여 가구 유형의 변화에 따른 식품 정책의 기반자료와 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가지의 세부 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1은 단면 연구로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식행동 및 식이 섭취와 정신적 건강을 포함하는 질병의 유병률을 파악하는 것이고, 연구 2는 장시간 추적관찰을 통한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는 종단 연구로 가구 유형에 따른 식이 섭취 상태와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을 추정하여 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1에서는 19세 이상 대상자를 생애주기별 연령대로 구분하여, 가구 유형을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로 분류하였다. 제 6기 3차년도(2015년), 제 7기 1차년도(2016년), 2차년도(2017년), 3차년도(2018년), 제 8기 1차년도(2019년)인 최근 5개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NHANES)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19세 이상 총 대상자 18,958명 중에서 1인 가구는 2,434명(12.84%), 다인 가구는 16,524명(87.16%)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1인 가구는 19-29세에서 217명(11.34%), 30-49세 378명(6.03%), 50-64세 581명(10.63%), 65세 이상 1,258명(23.69%)으로 나타났다. 19-29세, 30-49세 1인 가구에서는 남성이, 50-64세와 65세 이상의 1인 가구에서는 여성이 더 많은 경향을 보였고, 1인 가구가 평균연령이 높고, 소득수준이 낮았다. 결혼여부는 연령의 특성 차이를 고려해 볼 때, 19-29세, 30-49세 1인 가구는 미혼이 많았고, 50-64세, 65세 이상에서는 기혼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교육수준은 65세 이상의 1인 가구는 교육수준이 낮았고, 그 외 연령대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에서 흡연자 비율이 높았고, 65세 이상 1인 가구는 음주하지 않은 비율이 높았지만, 그 외 연령대의 1인 가구는 음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행동에서 아침결식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유의미하게 그 비율이 높았고, 1인 가구는 집에서 식사하며, 혼자 먹는 비율이 높고, 외식빈도가 더 잦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품안정성에서는 연령이 높은 1인 가구에서 식품불안정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섭취 상태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에너지 섭취비율(CPF 비율), 영양소 섭취량,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대비 영양소 부족섭취 비율을 조사하였는데, CPF 비율은 19-29세와 30-49세 1인 가구에서 다인 가구에 비해 탄수화물 비율이 낮고, 지방 비율이 높았다. 반면 50-64세, 65세 이상의 1인 가구에서는 탄수화물 비율이 높고, 지방 비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더 적게 섭취하고, KDRIs 대비 영양소 부족 섭취자 비율은 높았다. 즉, 영양소 섭취량 차이는 19-29세에 비해 65세 이상 1인 가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30-49세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에서는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식사의 질은 영양소 적정 섭취비(Nutrient Adequacy Ratio; NAR),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ean adequacy ratio; MAR), 영양 질적 지수(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로 평가하였는데, 1인 가구의 식사의 질이 다인 가구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령대가 높은 군(50-64세, 65세 이상)의 1인 가구에서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점수가 더 낮게 나타났다.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건강상태에서 정신적 건강상태는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경험, 삶의 질로 평가하였는데, 50-64세, 65세 이상의 1인 가구에서 정신건강 상태가 좋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신체적 건강상태는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인 복부비만,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공복혈당장애, 저 HDL-콜레스테롤혈증을 분석하였고, 관련 변수를 모두 보정한 Model 3에서 1인 가구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19-29세, 30-49세 1인 가구보다 50-64세, 65세 이상의 1인 가구에서 유병 위험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연령이 낮은 군(19-29세, 30-49세)의 1인 가구에서는 식이 섭취 상태가 불량하더라도 그것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연령이 높은 군(50-64세와 65세 이상)의 1인 가구는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였고, 정신적 건강과 그리고 신체적 건강이 좋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는 단면 연구인 연구 1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종단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 특히 50-64세와 65세 이상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 5가지의 유병률이 다인 가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이는 관련성을 도출하였지만, 그 인과관계는 파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연구 2는 한국 중년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추적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로 분류한 가구 유형에 따른 식이 섭취 상태와 대사증후군 발생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수행하는 대규모 한국인 코호트인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40-69세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기반 코호트(안산-안성)를 2001년부터 2018년까지 16년에 걸쳐 2년 간격으로 추적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총 5,586명 중에서, 1인 가구는 138명(2.47%), 다인 가구는 5,448명(97.53%)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여성, 미혼, 농촌에 사는 비율과 평균연령이 더 높았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았다. 비흡연자와 음주하지 않은 비율이 1인 가구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식이 섭취 상태는 에너지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비율(CPF 비율), 영양소 섭취량,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 대비 부족섭취 비율을 조사하였고,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탄수화물 비율이 높고, 단백질과 지방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1인 가구가 영양소 섭취량은 더 적게 섭취하고 있었고,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KDRIs) 대비 영양소 부족섭취자 비율은 더 높았다. 식사의 질은 영양소 섭취비(NAR), 평균 영양소 섭취비(MAR), 영양 질적 지수(INQ)로 평가하였고, 1인 가구는 식사의 질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6년간의 추적조사 자료로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 5가지 질병인 복부비만,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공복혈당장애, 저 HDL-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해 콕스 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하여 해당 질병의 발생 위험을 제시하였다. 주요 변수들을 보정한 Model 3에서 다인 가구에 비해 1인 가구에서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의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1인 가구의 식이 섭취 상태는 양적인 문제를 넘어 질적인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사료 되어,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인 영양 질적 지수(INQ)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그 결과 식사의 질이 좋지 못한 1인 가구에서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 5개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표본은 복합표본설계방법인 다단계층화집락확률추출법으로 추출되었으므로 신뢰할 만한 자료이지만,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집단을 대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자료에서도 기반조사(2001-2002년)에만 가구 유형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1인 가구의 증가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둘째, 연구 2에서는 영양소 섭취량을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로 측정하여서 대상자의 정확한 실제 섭취량의 반영이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연구 1의 단면 연구와 연구 2의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종단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여 각 연구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서로 보완할 수 있었다. 특히, 연구 1의 단면 연구에서는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만을 파악할 수 있어, 그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에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연구 2에서 코호트 자료로 수행한 종단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을 추정하여 인과관계까지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식이 섭취는 영양소의 양적인 섭취보다는 식사의 질에서 차이를 보였고, 식사의 질이 낮은 1인 가구에서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인 가구의 빠른 증가에 맞춰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식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줄이는 식이 지침이 필요하며, 특히 1인 가구는 영양섭취의 양적인 부분을 넘어 식사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는 식사 구성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a Statistics Korea, single-person households accounted for 31.7% of all household types in 2020.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rapidly, so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factors,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including mental health according to household type. For this purpos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data, a national-scale data, and the Korean Genome Epidemiology Survey(KoGES) data, a follow-up cohort data, were used for analysis. In Study 1, data from the 2015–2019 KNHANES were used, and a total of 18,958 participants was classified into 2 groups: a household with one member was defined as a single-person household, and two or more were described as multi-person households. Th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dietary behaviors, food security, nutrient intake and mental &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household type based on cross-sectional survey data. Of the total 18,958 people aged ≥ 19 years used in the analysis, there were 2,434 single-person households(12.84%) and 16,524 multi-person households(87.16%).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age ranged from 19-29 years: 217(11.34%), 30-49 years: 378(6.03%), 50-64 years: 581(10.63%), and ≥ 65 years: 1,258(23.69%). Dietary intake wa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CPF ratio, nutrient intake, and the rate of deficient intakes compared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KDRIs).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 aged 19-29 years and 30-49 years, the carbohydrate ratio was lower and the fat ratio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ulti-person household. On the other hand,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50-64 years and ≥ 65 years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carbohydrates and a lower percentage of fat. The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household type was larger in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 65 years compared to subjects aged 19-29 years, and there was no clear trend in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household type in the age group 30-49 years. In addition, dietary quality was evaluated by Nutrient Adequacy Ratio(NAR), Mean adequacy ratio(MAR),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INQ). It was foun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older age group(50-64, ≥65 years) scored lower than those of multi-person households. Mental health status was evaluated by stress recognition, depressive symptoms, and poor quality of life, and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50-64 and ≥ 65 years showed poor mental health status. And in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50-64 and over 65 year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than in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 65 years showed a higher risk of the disease. It is considered that even if the dietary intake is poor in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19-29 and 30-49 years, it does not affect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50-64 and ≥ 65 years lacked nutrient intake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and had po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rough Study 1,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as derived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50-64 and over 65 years. Based on this, in Study 2,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intake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follow-up data targeting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s and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Therefore,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KoGES) which was a community-based cohort(Ansan-Anseong) targeting 40-69 years followed for 16 years from 2001 to 2018 at 2-year intervals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total 5,586 persons used in the analysis, 138 persons(2.47%) wer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5,448 persons(97.53%) were in multi-person households. As a result of the study, dietary intake was that the carbohydrate ratio was high and the protein, fat ratio was significantly low in single-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ate less nutrients and the ratio of nutrient deficient intakes compared with KDRIs was higher. Dietary quality was poor in single-person household.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household type was 16 years of follow-up data, and the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he analysis presented the risk of developing the disease, the incidence rat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ents was higher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an in multi-person households.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Study 1, the dietary intake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differs in dietary quality beyond the quantitative intake of nutrient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n single-person households of the younger age group(19-29 years, 30-49 years), even if the dietary intake is poor, it does not affect mental and physical health. It was confirm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older group(50-64 years and ≥ 65 years) had insufficient nutrient intake, poor mental health, and high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Study 2, focusing on the results of Study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component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was investigated using the 16-year follow-up dat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five componen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d in the follow-up data. Furthermor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 lower the dietary quality, the higher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amples from the KNHANES were reliable data,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representing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every year. Because the KoGES also conducted a basic survey(2001-2002) on household types,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over time was not reflected. Second, in Study 2,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intake of the subject by measuring the nutrient intake by a semi-Food Frequency Questionnaire(FFQ).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cross-sectional study of Study 1 and the longitudinal study using the cohort data of Study 2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to complemen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study method. In particular, in the cross-sectional study of Study 1, only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could be identified, so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However, in the longitudinal study performed with cohort data in Study 2, a causal relationship was performed by estimating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dietary intak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showed a difference in quality rather than in quantity of nutrient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was high in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low dietary quality. Therefore, in order to lead a healthy life in line with the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dietary guidelines that reduce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diet, are needed. Al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a direction for meal composition that focuses on improving the dietary quality beyond the amount of nutrient intak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