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권순희 | - |
dc.contributor.author | RADNAEVA, ARIUNA | - |
dc.creator | RADNAEVA, ARIUNA | - |
dc.date.accessioned | 2022-08-04T16:32:14Z | - |
dc.date.available | 2022-08-04T16:32:14Z | - |
dc.date.issued | 2022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91712 | - |
dc.identifier.uri | 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91712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1967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러시아어권 중급 학습자를 위한‘마음’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을 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과 관련한 문헌 연구, 한국어와 러시아어 표준국어대사전과 말뭉치의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Lakoff & Johnson(1980)에서 제기한 개념적 은유 이론(conceptual metaphor theory)을 고찰한 결과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란 어떤 구체적인 개념(근원영역)을 통해서 추상적인 개념(목표영역)을 구조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로 바탕으로 감정, 의지, 생각 등을 나타내는 추상적인 ‘마음’을 구체적 개념으로 인지하며, 이때 마음은 우리 몸을 파악하는 기본이 된다. 그리고 개념적 은유의 일상적이고 개념적인 속성을 중요한 내용으로 다룬다. 그의 바탕이 되는 은유적 개념화는 우리가 특정한 은유 표현을 사용하는 인지적 동기를 설명한다. 그래서 한국어 학습자는 이러한 인지적 동기를 활용하여 개별적인 은유 표현을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며 기억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 중급 수준에는 추상적인 어휘가 많아지면서 학습자가 은유적 표현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한국어와 러시아어 간의 어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가 미미하며 양국의 ‘마음’ 개념적 은유의 상이점을 모르는 것에 기인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마음’과 러시아어 ‘душа’ 개념적 은유의 양상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러시아어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마음’과 러시아어 ‘душа’ 개념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양국 언어의 사전적 뜻풀이를 비교하였다. ‘마음’과 ‘душа’의 사전적 의미의 비교 결과, 러시아어 ‘душа’는 ‘마음’보다 뜻풀이가 많으며 인식하는 데 명백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와 러시아어 말뭉치 자료를 ‘구조적 은유’, ‘존재론적 은유’, ‘지향적 은유’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음’과 ‘душа’ 개념적 은유 표현 활용 방식을 고찰하며, 상호 다른 점을 비교 분석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러시아어에 존재하지 않은 [마음은 음식] 영상도식(Image Schema)을 예시로 삼아 러시아어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마음’ 개념적 은유를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고안하였다. ‘마음’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어휘 교육의 원리, 내용의 구성 및 방안의 실제를 체계화하였다.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 요소인 ‘맥락’, ‘유사성’, ‘이해와 종합과 자기화’를 바탕으로 어휘 교육 원리를 구안하였다. 개념적 은유를 통한 어휘 교수 학습 모형의 절차는 1단계 도입, 2단계 개념적 은유 인식, 3단계 어휘 의미의 형성 및 해석, 4단계 읽기 연습, 5단계 쓰기 연습 및 자기 점검이다. 이상과 같이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을 마련하였다. 은유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공유하는 사고방식을 보여주므로 이를 구체화하거나 비판적으로 생각함으로써 독서와 글쓰기, 말하기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은유를 형성함으로써 어휘를 습득하는 데 있어 창의성, 기억력,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구체적인 은유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어휘 능력 신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제언하였다. 특히, 개념적 은유에 나타난 영상도식을 활용하면 의미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오래 기억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vocabulary education plan using the conceptual metaphor of ‘mind(마음)’ for intermediate learners of Russian-speaking countries. It utilized a literature review of vocabulary education using conceptual metaphor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Korean and Russian-Standard Korean dictionaries and corpus as a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proposed by Lakoff & Johnson (1980), a conceptual metaphor is an abstract concept (target domain) structured through a specific concept (source domain). Based on this premise, the abstract ‘mind’ that represents emotions, will, and thoughts is recognized as a concrete concept, and the mind become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our body. Furthermore, this theory treats the everyday and conceptual properties of conceptual metaphors as essential matters. This underlying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explains the cognitive motives for which we use specific metaphorical expressions. Therefore, Korean learners can understand and remember individual metaphorical expressions more effectively by utilizing these cognitive motivations. In addition, as amount of abstract vocabulary words increases at the intermediate level of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acquiring metaphorical expressions. This difficulty is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for instruction between Korean and Russian and not kn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ceptual metaphors of ‘mi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tried to construct an effective method by comparing the aspects of the conceptual metaphor of the Korean ‘mind’ and the Russian ‘душа’.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from Russian-speaking countr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Korean ‘mind’ and Russian ‘душа’, this study compared the dictionary definitions of the two language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ctionary meanings of ‘mind’ and ‘душа’, the Russian word ‘душа’ has more interpretations than 'mind'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recognition.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Korean and Russian corpus data by dividing them into 'structural metaphor', 'ontological metaphor', and 'oriented metaphor'.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inquired into the method of using the conceptual metaphor of ‘mind’ and ‘душа’,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ir differenc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nalysis results, we devised an educational plan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n the Russian-speaking world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ceptual metaphor of ‘mind’ by using as an example the image schema [MIND IS FOOD], which does not exist in Russian. Using the image schema as an example, we devised an educational plan that allows Russian-speaking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ceptual metaphor of ‘mind’. In order to design a vocabulary education plan using the ‘mind’ conceptual metaphor, we systematized the principles, content composition, and practice of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conceptual metaphors. The principles were devised based on elements of vocabulary education using conceptual metaphors, which are ‘context’, ‘similarity’, and ‘understanding, synthesis, and self-sufficiency’. Vocabulary education content using conceptual metaphors can be taught in stages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procedure of the vocabulary teaching-learning model through conceptual metaphor is step 1) introduction, step 2) conceptual metaphor recognition, step 3)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lexical meaning, step 4) reading practice and step 5) writing practice and self-examin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developed vocabulary education using conceptual metaphors. Since metaphoric expressions show the way of thinking shared by Korean learners, learners can effectively utilize the contents of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by specifying or critically thinking about these metaphors. In addition, by forming metaphors on their own, learners can increase their creativity, memory, and comprehension in acquiring vocabulary. This study proposes that it can significantly help improve students' vocabulary ability through concrete metapho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it suggest that meaning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and remembered for a long time by using the image schema shown in the conceptual metaphor.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B. 선행연구 검토 4 1. 국내 '마음' 표현의 은유 양상에 관한 연구 4 2. 국외 '마음' 표현의 은유 양상에 관한 연구 10 3. 한국어교육에서의 개념적 은유에 관한 연구 16 C. 연구대상 및 방법 19 II. 이론적 배경 26 A. 개념적 은유의 정의 및 작용 원리 26 B. 개념적 은유의 분류 29 C. 개념적 은유의 어휘 교육적 의의 33 III. 한국과 러시아에서의 '마음' 개념적 은유 비교 분석 36 A. '마음'과 'душа'의 사전 의미 비교 분석 36 1. 한국어 '마음'의 사전적 해석 37 2. 러시아 'душа'의 사전적 해석 38 3. '마음'과 'душа'의 양국 의미의 사전적 의미 45 B. '마음'과 'душа'의 개념적 은유의 양상 비교 분석 49 1. '마음' 관련 언어 표현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49 가. 구조적 은유 49 나. 존재론적 은유 55 다. 지향적 은유 66 2. 'Душа' 관련 언어 표현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69 가. 구조적 은유 69 나. 존재론적 은유 75 다. 지향적 은유 82 C. 비교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 86 IV. '마음'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 97 A.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목표 98 B.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원리 99 C.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 내용 구성 101 D.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실제 110 V. 결론 123 참고문헌 126 ABSTRACT 132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670923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ddc | 400 | - |
dc.title | 한국어 ‘마음’과 러시아어 ‘душа [두샤]’의 개념적 은유 비교를 통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subtitle | 러시아어권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 |
dc.title.translated | A study on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conceptual metaphor comparison between Korean‘mind(마음) [maem])’ and Russian ‘душа [dusha]’: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from Russian-speaking countries | - |
dc.format.page | vi, 134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 - |
dc.date.awarded | 2022.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