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홈트레이닝 참여동기 및 운동열정에 따른 유형별 특성 및 만족도

Title
홈트레이닝 참여동기 및 운동열정에 따른 유형별 특성 및 만족도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each type according to home trai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passion
Authors
황인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천혜정
Abstract
본 연구는 혼자 집에서 운동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홈트레이닝에 참여하는 동기와 운동열정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집단별 인구통계학적 특징, 홈트 관련 특징, 홈트레이닝 경험 및 홈트레이닝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인들이 홈트레이닝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홈트레이닝을 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685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홈트레이닝 참여동기 및 운동열정에 따라 연구대상자를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4집단은 코로나 19로 인해 불가피하게 홈트를 하지만 운동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상황적 집착형(31.4%)’, 홈트 참여에 있어 열정은 없지만 편리하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참여하는 ‘부득불 편의추구형(31.7%)’, 다른 집단에 비해 두드러진 참여동기는 없지만, 홈트레이닝에 참여함으로써 삶과 잘 융화되는 ‘조화로운 운동지속형(19.6%)’, 홈트레이닝에 참여하는 것은 편하고, 참여자들의 삶과 조화를 이루는 ‘조화로운 편의추구형(17.4%)’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군집간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홈트 관련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가구구성, 직업 및 월평균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홈트 시작 시기, 홈트 참여빈도, 1회 평균 참여시간, 도구 사용여부에서도 군집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군집간 홈트 경험 및 홈트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일상탈출/재미, 자아확인, 효능감, 소통 등 홈트 경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휴식적 만족 등 홈트레이닝 만족도에서도 군집간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홈트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연령, 홈트 시작시기, 홈트 참여빈도, 도구사용여부, 편의동기와 자유동기, 자아확인 경험 및 소통경험, 홈트 만족도, 그리고 상황적 집착형, 조화로운 운동지속형 집단이 홈트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령이 적을수록, 홈트를 코로나 이전부터 시작한 경우, 홈트를 더 자주할수록,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편의동기와 자유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확인경험이 낮고 소통경험이 높을수록, 홈트레이닝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상황적 집착형 집단과 조화로운 운동지속형에 속한 집단이 홈트레이닝을 지속할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홈트레이닝을 하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홈트레이닝이 소비자의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데 필요한 방법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exercising alone at home, categorized the group according to the motivation and exercise enthusiasm for participating in home training, and empirically examined how each group differ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me training experience, and home trai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who do home training, and a total of 685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study subjects according to the motivation and exercise passion for participation in home training,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pecifically, the 4th group is a ‘situational obsession (31.4%)’, who inevitably does home training due to COVID-19, but is excessively immersed in exercise, ‘inevitably convenience-seeking type (31.7%)’, who has no passion for participating in home training, it is compulsory to participate in it because it is convenient, ‘harmonious exercise continuous type (19.6%)’, who has no outstanding motivation to participate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blends well with life by participating in home training, 'harmonious convenience pursuit type (17.4%)', who has comfortable and harmonized with the live of the participa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ome training-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clus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household composition,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in the start of home training, the frequency of home training participation, the average participation time once, and whether or not the tool was us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home training experience and home training satisfaction between clus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me training experiences such as daily escape/fun, self-confirmation, efficacy,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in home training satisfaction such as 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rest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y subjects 'homestretch intention, home training start timing, home training frequency, tool use, convenience motivation and free motivation, self-check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experience, home training satisfaction, and harmonious exercise persistence group. More specifically,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frequently the home training started before COVID-19, the higher the level of convenience and free motivation, the lower the self-identifi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home training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continue home trai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ways necessary for home training to improve understanding of home training consumers and to establish home training as a way to maintain consumers' heal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