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4 Download: 0

초보 상담자의 진로 결정 동기와 상담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따른잠재 프로파일 분석과 진로 불안의 관계

Title
초보 상담자의 진로 결정 동기와 상담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따른잠재 프로파일 분석과 진로 불안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xiety and Latent profile analysis of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in counseling of Novice Counselors
Authors
한소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전문 상담자가 되기 위한 발달 초기에 있는 초보 상담자의 진로에 대한 불안에 주목하여, 진로 불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자의 진로를 결정한 동기와 상담장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상담 관련 대학원 석사 재학 이상이며, 실제 내담자와 상담한 경험이 있고, 상담 경력이 3년 이내인 초보 상담자 2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방법으론 SPSS 23.0을 이용하여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7.0을 이용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통해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의 하위 요인과 초보 상담자 어려움의 하위 요인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확인하였으며, Wald의 연관성 검정을 통해 각 유형에 따라 상담자 진로 불안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의 하위 요인과 초보 상담자 어려움의 하위 요인에 따라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본 결과, ‘평균 동기-어려움형’, ‘높은 동기-높은 적응형’, ‘평균 동기-적응형’, ‘외적 동기-높은 어려움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균 동기-어려움형’은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의 모든 하위 요인이 평균 정도였으며 초보 상담자 어려움의 모든 하위 요인이 평균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높은 동기-높은 적응형’은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의 모든 하위 요인 점수가 높았으며, 초보 상담자 어려움의 하위 요인 점수는 네 유형 중에서 가장 낮았다. ‘평균 동기-적응형’은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의 모든 하위 요인이 평균 정도였으나, 초보 상담자 어려움은 평균보다 전반적으로 낮았다. ‘외적 동기-높은 어려움형’은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 중 인정받는 진로, 융통성 있는 직업과 같이 외부의 결과를 위해 행동하는 외적 동기가 높았으며, 초보 상담자 어려움의 하위 요인 점수는 네 유형 중에서 가장 높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는 나이, 최종 학력, 상담 회기, 자격증 유무를 살펴보았으며, 그중 나이와 상담 회기가 초보 상담자의 유형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어릴수록 다른 유형보다‘높은 동기-높은 적응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현재까지 진행한 총 상담 회기 수가 많을수록‘높은 동기-높은 적응형’,‘외적 동기-높은 어려움형’보다‘평균 동기-어려움형’, ‘평균 동기-적응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초보 상담자의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상담자 진로 불안에서 집단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유형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유형 중에서‘외적 동기-높은 어려움형’의 상담자 진로 불안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는‘평균 동기-어려움형’,‘평균 동기-적응형’,‘높은 동기-높은 적응형’ 순서대로 상담자 진로 불안을 높게 지각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보 상담자의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와 상담장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따라 초보 상담자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며, 유형에 따라 상담자 진로 불안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주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던 선행 연구와 달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초보 상담자를 이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자 발달의 시작 단계에 있는 초보 상담자가 지닌 진로 결정 동기와 상담장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career anxiety in novice counselors, focusing on the possible influences of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difficulties while counseling. 205 novice counselors whose careers are less than 3 years, and whose academic backgrounds were above graduate school level were surveyed. In order to profile novice counselors according to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their difficulties, SPSS 23.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plus 7.0 for a latent profile analysis. In addition, demographic variables that can influence the profiles were confirmed through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Lastly, Wald’s measure of association was tested to verify any differences in counselor’s career anxiety depending on the profiles. First, latent profile analysis on novice counselor’s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difficulties in counseling showed four different profiles; ‘average motivation-hardship’, ‘high motivation-highly adjusted’, ‘average motivation-well adjusted’, and ‘external motivation-high hardship’. ‘Average motivation-hardship’ displays average levels of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higher levels of novice difficulties. ‘High motivation-highly adjusted’ showed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lower levels of most subfactors in novice counselor difficulties. ‘Average motivation-well adjusted’ showed average levels of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less novice difficulties. ‘External motivation-high hardship’ showed higher external motivations such as social reputation and job flexibility. And it showed an overall higher score in novice difficulty. Secon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cademic level, number of sessions, and certifications were also considered in analysis, of which age and number of sess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filing novice counselors. Younger counselors were more likely to be in ‘high motivation-highly adjusted’, and counselors with more session experiences were more likely to be part of the ‘average motivation-hardship’ or ‘average motivation-well adjusted’ profil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nselor’s career anxiety according to profile. Specifically, ‘external motivation-high hardshi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areer anxiety, followed by ‘average motivation-hardship’, ‘average motivation-well adjusted’, and then ‘high motivation-highly adjusted’. Such results imply how novice counselors can be profi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difficulties while counseling, which can result in differences in career anxiety. This is meaningful as previous researches were mostly qualitative, and that it us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o understand novice counselors. It also provides insight on career decision motivation and difficulties novice counselors face in their journey towards becoming a professional counsel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