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0 Download: 0

무용작품 「사이의 여백」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작품 「사이의 여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Dance Work 「The Void Space Between」
Authors
조은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ntire process from the creation phases to the performance of 「The Void Space Between」 that is a dance work created by this researcher. It is a work choreographed at a time when the ‘social distancing’ was implemented since the pandemic was declared due to COVID-19 in early 2020, and this researcher created it under the theme of ‘spatial distance’ that gave changes and confusions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deal direction of communication that can reduce psychological alienation by making people aware of the ‘spatial distance’ to be kept in human relationships at this time through the dance work. To do so, this researcher studied the entire creative process of the dance work, 「The Void Space Between」 from its concept to choreography & practice and performance based on Practice-Based Research (PBR). To visualize the broad concept of spatial distance in the stage of work planning, Edward T. Hall’s concept of ‘four dimensions of spatial distance of human relations’ was studied in parallel with literature review. This is a method in Research-Based Practice (RBP) that emerges from a stage of PBR. With a RBP method, applying the spatial distance that was characterized as a theoretical concept to a dance composition was an advantage in establishing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work, and it was possible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he work would increase. In addition, a journal recording choreography and practice processes, videos, performance photos, and DVD images were used as data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er, who was this researcher, to face reality and present an ideal distance of communication was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movements of the work 「The Void Space Between」. The exploration of motions, which induces the dancers to express the sense of distance, an invisible area, with improvised motions, was a useful process. By revealing the ‘sense of the body’ caused by the distancing of space that is recognized in everyday life, but not seen, through dance, it was possible to show the choreographic intention to present the ideal distance of communication by facing reality through the dance work. Through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with dancers, this choreographer led them to become the subjects, focus on the senses, and improvise motions connected to the senses themselves. This practice process was an effective method for express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work to visualize the senses of the body, which is an invisible area, through dance,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create various movements.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of improvised movements was very helpful in awakening the sense of the moment that could be passed by and expressing it with dance. Second, the choreographic intention to effectively show spatial distance changes by visualizing Edward T. Hall’s four dimensions of spatial distance of human relations on the stage was clearly revealed in the three-dimensional stage production through the objets. By moving, transforming, and dismantling the four objets, the dancers were able to visualize the concept of spatial distance of the four dimensions of Hall’s human relations on the stage and effectively show the change in spatial distance. As su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ts opened the possibility of freely and widely expressing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appropriate use of the objets increased the understanding and immersion of the work. Third, it was learned that spatial distancing between humans is an essential life wisdom not only in the COVID-19 era but also in the post-COVID-19 era. In other words, it was also found that spatial distancing is not only a problem of physical space, but also expands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eanings. The problem of human spatial distance is not limited to the COVID-19 era, but necessary for all human live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vey the wisdom obtained by understanding the human spatial distance problem that will continue eve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now that we are in a global transition perio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reflect on the essential relations of humans through the topic of space distancing, and that the discourse on distancing was performed and studied as a dance work.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mall case for junior choreographers to wisely prepare for the post-COVID-19 era by thinking about life and dance art in a consilient manner.;본 논문은 연구자의 무용작품 「사이의 여백」의 창작에서부터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분석한 연구이다. 「사이의 여백」은 2020년 초 코로나19로 인해 팬데믹이 선언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던 시점에 안무한 작품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에 변화와 혼란을 준 ‘공간적 거리’를 주제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무용작품 「사이의 여백」에 관한 연구를 통해 현시점의 인간관계에서 지켜져야 할 ‘공간적 거리’를 사람들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심리적 소외감을 줄일 수 있는 이상적인 소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실기기반연구(Practice Based Research)를 기반으로 무용작품 「사이의 여백」의 작품구상부터 안무 및 연습, 그리고 공연까지의 전 창작과정과 작품을 연구하였다. 작품구상의 단계에서 공간적 거리라는 광범위한 개념을 시각화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병행하여 에드워드 홀의 ‘4가지 차원의 인간관계의 공간적 거리’ 개념을 연구하였다. 이는 연구기반실기(Research Based Practice)로 실기기반연구의 한 단계에서 행해지는 방식이다. 연구기반실기는 작품의 주제를 명료히 하고 이론적 개념으로 구분해 놓은 공간적 거리를 안무 구성에 적용할 수 있게 했다. 그래서 작품의 구조와 형식을 갖추는데 이점이 되었고, 관객에게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안무 및 연습 과정을 기록한 연습일지와 영상, 공연 사진 및 DVD영상을 연구의 객관적인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을 직시하고 이상적인 소통의 거리를 제시하고자 했던 안무자의 의도가 무용작품「사이의 여백」의 동작을 통해 분명히 드러났다. 무용수들에게 비가시적 영역인 거리 감각을 즉흥적 움직임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한 움직임 탐구는 유용한 과정이었다. 일상에서 인지하고 있지만 볼 수 없었던 공간의 거리두기로 인해 발생하는‘몸의 감각’을 춤으로 드러냄으로써 현실을 직시하도록 하여 이상적인 소통의 거리를 제시하고자 했던 안무 의도를 무용작품을 통해 보여 줄 수 있었다. 본 안무자는 무용수들과 민주적 소통과 토론을 통해 무용수가 주체가 되어서 자신의 감각에 집중하고 감각 자체와 연결된 움직임을 즉흥적으로 표출하도록 인도하였다. 이러한 연습 과정은 비가시적 영역인 몸의 감각을 춤으로 가시화하고자 한 작품의 주제표현에 효과적인 방법이었고, 새로운 동작을 창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즉흥적 움직임의 표출은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찰나의 감각을 깨우고 춤으로 표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에드워드 홀의 4가지 차원의 인간관계의 공간적 거리 개념을 무대 위에 시각화하여 공간적 거리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자 한 안무 의도가 오브제를 통한 입체적 무대연출에서 명료히 드러났다. 무용수가 오브제 4개를 이동, 변형, 해체함으로써 홀의 4가지 차원의 인간관계의 공간적 거리 개념을 무대 위에 시각화하여 공간적 거리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이처럼 오브제의 특성들은 본 안무자의 의도를 자유롭고 폭넓게 표현할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적절한 오브제의 활용은 작품에 대한 이해도와 몰입도를 높여주었다. 셋째, 인간의 공간적 거리두기는 코로나 시대뿐만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꼭 필요한 삶의 지혜라는 것을 터득하게 되었다. 즉, 공간적 거리두기는 물리적 공간만의 문제가 아니라 심리적·정서적인 의미까지 확대된다는 것,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인간의 공간적 거리 문제는 코로나 시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모든 인간의 삶에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될 인간의 공간적 거리 문제를 이해하고 얻은 지혜를 전할 수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세계적 전환기를 맞이한 지금, 공간의 거리두기라는 화두를 통해 인간의 본질적인 관계를 성찰할 수 있게 하고, 거리두기에 대한 담론을 무용작품으로 공연하고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후배 안무자들에게 삶과 무용예술을 통섭적으로 사고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현명하게 대비할 수 있는 작은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